• 제목/요약/키워드: Living archiv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7초

이토 토요의 건축에 나타난 자기완결적 3차원 조직체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lf-Contained Three-Dimensional Organic Body found in Architecture of Ito Toyo)

  • 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55-63
    • /
    • 2017
  • Recent projects of Japanese architect, Ito Toyo have been evolved into innovative and experimental stages that are unique and different from other contemporary architects. Since Ito established his own office in 1971, there were several critical changes and developments in terms of architectural philosophy as well as design methods. Particularly, after Sendai Mediatheque, Ito has tended to focus on creating three-dimensional organic body in which architectural form, space, structure, facilities, images are merged all together. With this new type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 Ito aims to generate a new notion of architecture as 'living organism'. This paper tried to analyze Ito's new concept of architecture, design process of three-dimensional organic body and its ultimat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For the analysis, three projects were selected: Taichung Metropolitan Opera House(2005), Berkeley Art Museum and Pacific Film Archive(2007), The New Deichman Library in Oslo(2008). These projects clearly represent several types of three-dimensional organic body. After the comparative studies, it is found that, in Ito's design process and method, there are unique characters: ambivalent relationship between plan and three-dimensional form, aiming new/hyper reality through complicated collaboration of analogue and digital design tools, and contradictory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urban context.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ever-evolving Ito's design concept and methods are very much valid and meaningful in contemporary spatial design in various perspectives.

Information-Seeking within Negative Affect: Lessons from North Korean Refugees' Everyday Information Practices within PTSD

  • 구정화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85-312
    • /
    • 2016
  • The study examines how stressful life experiences and negative affective conditions influence refugees' information seeking and uses. Fifty-five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South Korea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to determine their level of PTS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ness in information-seeking and their negative affect. Seven subjects with severe PTSD symptoms participated in an in-depth interview to describe their information practices in daily life contexts. The study found that participants with higher levels of PTSD tended to seek information more passively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PTSD. Almost all refugees were unable to recognize their information needs clearly but some subjects stated latent socio-affective needs and financial needs. Most refugees avoided seeking information and learned information through interpersonal sources-staffs in the Hana Refugee Center and volunteers in local community churches-and mass media. Some unique social phenomena were discovered in North Korean refugees' information world and the emergent features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some practical approaches for improving refugees' information world were also suggested.

친환경 잡초방제를 위한 생물제초제의 상용화 현황 (Status and Perspective of Bioherbicde Development for Organic Weed Management)

  • 변종영;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1호
    • /
    • pp.1-10
    • /
    • 2017
  • 생물제초제의 이용은 농업에서 지속성을 향한 중요한 단계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유기농업 및 종합잡초관리는 보존농업에서 합성제초제와는 다르게 한 종류의 잡초관리기술에 의존하지 않아야 하며, 생물제초제는 다른 잡초관리기술과 동시에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세균 및 진균으로부터 유래한 상업용 생물제초제를 선발하여 유기농업 농가에서 영농부가가치가 높은 고소득 작물을 대상으로 생물제초제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유기영농 과수원에서 비선택적으로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옥수수 글루텐 가루 제제와 각종 식물정유 제제 등 제품에 대한 실용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민속과 기록의 만남, '민속기록학'을 제창한다 (A Conjunction of Folklife and Archival Science : New Dimension for Folklife Archival Science)

  • 김덕묵
    • 기록학연구
    • /
    • 제34호
    • /
    • pp.165-219
    • /
    • 2012
  • 민속학과 기록학이 공유할 수 있는 것을 중심에 놓고 양자의 특기(特技)를 수렴하여 전문적인 학문체계로 만들어보고자 하는 것이 '민속기록학'이다. 민속기록학이란 양자를 절충하여 공동체에서 일어나는 생활문화의 기록 보존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탐구한다. 민속기록학은 가족, 마을, 향토사회, 현대 도시사회의 각종 공동체를 전문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전략이다. 그동안 기록학의 일부에서 민간영역이나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나 구체적인 실천방법과 경험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반면 민속학에서는 공동체 문화에 대한 현장관찰이나 조사방법에 대해 경험과 지식이 있으나 기록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전략, 마음가짐이 부족하였다. 양자의 장점을 결합할 때 공동체의 기록화와 아카이브 전략은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으며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다.

제초제저항성 유전자변형 들잔디의 시험 격리포장 주변 환경방출 모니터링 (Environmental Monitoring of Herbicide Tolerant Genetically Modified Zoysiagrass (Zoysia japonica) around Confined Field Trials)

  • 이범규;박기웅;김창기;강홍규;선현진;권용익;송인자;류태훈;이효연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05-311
    • /
    • 2014
  •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GM)작물의 종자 및 꽃가루를 통한 환경 생태계로의 확산은 안전성평가와 안전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국내에서는 LMO법에 따라 GM 작물의 개발 및 생산 등에 대한 안전관리와 GM 작물의 상업화를 위한 환경모니터링에 대한 방법, 기간, 빈도 등에 대한 계획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초제저항성 들잔디(zoysiagrass)의 야외환경모니터링을 수행을 통한 환경모니터링 시스템 기반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GM 들잔디는 제초제저항 형질의 JG21과 JG21에 방사능처리로 웅성불임을 유도한 JG21-MS 등 2개의 이벤트를 이용하였다. 환경모니터링은 충남 성환, 충북 오창, 제주대 및 제주 납원읍 등 4개 격리포장 주변에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종자 및 영양번식체에 의한 산포 조사와 화분에 의한 유전자이동에 대해 수행되었다. 모니터링 수행 결과 3개 지역에서 유전자이동 및 산포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2012년 제주 남원읍 지역 조사에서 격리포장 주변 2 m 부근에서 JG21 들잔디 1개체의 유출이 발견되어 보고 및 안전관리 조치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GM 들잔디의 검출 방법과 환경모니터링 기법들은 GM 들잔디 개발을 위한 포장시험 연구와 상업화 후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제초제(除草劑) BIALAPHOS에 대(對)한 연초(煙草)의 내성(耐性) 증대(增大) (Development of Herbicide(BIALAPHOS) Tolerant Tobacco through Tissue Culture)

  • 배윤주;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2-186
    • /
    • 1988
  • 제초제(除草劑) bialaphos 처리(處理)에서 살아남은 개체(個體)로부터 다시 bialaphos가 처리(處理)된 배지(培地)에서 callus의 유도(誘導), 생장(生長) 및 direct shooting, ammonia 함량(含量) 등(等)으로 내성(耐性)을 재검정(再檢定)하여 얻어진 약간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Bialaphos가 0.5~0.75 ppm의 저농도(低濃度)로 처리(處理)된 배지(培地)에서 생장(生長)한 callus로부터 분화(分化)된 식물체(植物體) 수(數)는 품종(品種)에 관계없이 분화(分化)가 잘 되었으나 1.0 ppm 처리구(處理區)에서 계대배양(繼代培養)된 것 가운데서는 KA 101만이 분화(分化)되었다. 2. 분화식물체(分化植物體) 가운데 bialaphos에 내성(耐性)인 개체(個體)를 재선발(再選拔)하기 위해 bialaphos 100.0 ppm 처리구(處理區)에 치상시(置床時) 모두 고사(枯死)하였으며 bialaphos 10.0 ppm 처리구(處理區)에서는 NC82 품종(品種) 2.43%. KA 101 2.76%. BY4 0.78%가 살아남아 품종간(品種間)에 다소 차이(差異)가 있었다. 3. Bialaphos 10.0 및 100.0 ppm의 처리구(處理區)에서 고사(枯死)한 shoot에 함유(含有)된 ammonia 함량(含量)은 무처리구(無處理區)보다 약 15배(倍) 정도(程度) 높아 shoot 의 고사원인(枯死原因)이 ammonia 축적(蓄積)에 의한 것임을 입증(立證)할 수 있었다. 4. NC 82 품종(品種)의 TP 1 (내성식물체(耐性植物體) 개체(個體)가 비선발개체(非選拔個體)보다 bialaphos가 2.5 ppm 첨가(添加)된 callus 증식배지(增殖培地)에서 callus 증식률(增殖率)이 2.14배(倍)나 높았고, bialaphos가 10.0 ppm 첨가(添加)된 shoot 분화배지(分化培地)에서는 샤레당(當) 11 개체(個體)의 shoot를 분화(分化)시켜 다른 개체(個體)보다 내성(耐性)이 컸다.

  • PDF

콩과 피복작물 리빙멀치에 따른 옥수수 무경운 재배지의 잡초군락 변화 (Change of Weed Community in No-till Corn with Legume Cover Crops as Living Mulch)

  • 최봉수;김충국;성기영;송득영;전원태;조현숙;정광호;강위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4-40
    • /
    • 2011
  • 이른 봄 녹비피복작물 생육에 따른 잡초의 발생은 헤어리베치구에서 크림손클로버구의 76%수준이었으며, 발생한 잡초총은 헤어리베치구에서 4종(냉이, 쇠별꽃, 점나도나물 및 꽃다지), 크림손클로버구에서 3종(냉이, 쇠별꽃 및 꽃다지)이었다. 두 피복작물 재배지에서 발생한 잡초 중 냉이는 다른 초종보다 현저히 많았고, 이에 따른 건물생산량도 가장 높았다. 크림손클로버구는 냉이 외에도 쇠별꽃의 개체수가 많았으며, 건물생산량도 쇠별꽃이 가장 높았다. 옥수수 생육중기의 경작지 발생 잡초는 관행구에서 9종으로 다양하였으며, 잡초의 개체수도 가장 많았다. 한편 헤어리베치구와 크림손클로버구의 발생 잡초는 각각 4종과 6종이었으며, 건물생산량은 각각 관행구의 18과 25% 수준으로 낮았다. 옥수수 수확 후 각 재배지 발생 잡초는 관행구에서 초종이 현저히 감소하여 바랭이를 비롯한 5종,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구에서 각각 5종과 4종이었다. 잡초의 건물율은 관행구에서 23.5%였으며,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구는 각각 13.8과 14.7%로 관행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한편 피복작물 재배구는 토양 피복에 의한 낮은 지온과 광차단 등으로 인하여 관행구에서 발생하지 않았던 쇠별꽃이 지속적으로 생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