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 yeas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Improved Production of Live Cells of Lactobacillus rhamnosus by Continuous Cultivation using Glucose-yeast Extract Medium

  • Ling Liew Siew;Mohamad Rosfarizan;Rahim Raha Abdul;Wan Ho Yin;Ariff Arbakariya Bi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439-446
    • /
    • 2006
  • In this study, the growth kinetics of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ic acid production in continuous culture were assessed at a range of dilution rates $(0.05 h^{-1}\;to\;0.40h^{-1})$ using a 2L stirred tank fermenter with a working volume of 600ml. Unstructured models, predicated on the Monod and Luedeking-Piret equations, were employed to simulate the growth of the bacterium, glucose consumption, and lactic acid production at different dilution rates in continuous cultures.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of L. rhamnosus, ${\mu}_{max}$, was estimated at $0.40h^{-1}$I, and the Monod cell growth saturation constant, Ks, at approximately 0.25g/L. Maximum cell viability $(1.3{\times}10^{10}CFU/ml)$ was achieved in the dilution rate range of $D=0.28h^{-1}\;to\;0.35h^{-1}$. Both maximum viable cell yield and productivity were achieved at $D=0.35h^{-1}$. The continuous cultivation of L. rhamnosus at $D=0.35h^{-1}$ resulted in substantial improvements in cell productivity, of 267% (viable cell count) that achieved via batch cultivation.

단위가축을 위한 생균제의 급여 효과 (Effect of Dietary Probiotics Supplementation to Feed for Monogastric Animals)

  • 민병준;김인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7-60
    • /
    • 2002
  • 생균제는 항생제와 반대의 어원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장내 미생물 균형을 기선함으로써 숙주 동물에게 유익한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 첨가제로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 중 하나로서 인식되어 왔다. Lactobacillus와 같은 젖산균은 유산을 생성하여 장의 산도를 pH를 저하시켜 잡균의 오염을 방지하며, 각종 비타민, 아미나산, 항균물질 등을 생산하여 가축 장내 미생물균총의 안정, 사료효율 증가, 내병성 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saccharomyces와 같은 효모균은 각종 소화효소를 생산하여 영양소 분해를 촉진하며 알코올과 글루타민산과 같은 사료의 기호성을 증진시키는 물질을 분비한다. 단위가축에 있어 생균제의 급여효과는 돼지에 있어 증체량과 사료효율을 증가시키고 설사발생빈도를 낮춘다. 또한, 가금에 있어서는 산란계의 산란율을 개선하고, 장내 유익한 미생물의 수를 증가시키며, 육계의 증체량을 증가시키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다.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생균제의 급여가 가축의 성적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고 보고하여 이를 규명할 수 있는 연구의 진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생균제의 효율적인 이용, 균주의 선발과 광합성미생물과 같은 친환경적인 생균제의 개발등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일 것이다.

  • PDF

수온, 염분 및 먹이에 따른 기수산 cyclopoid 요각류, Apocyclops royi의 생산력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on the Productivity of the Cyclopoid Copepod, Apocyclops royi)

  • 이균우;권오남;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2-59
    • /
    • 2005
  • 본 연구는 Apocyclops royi를 양식에서 초기 먹이생물로 적용시키기 위해 이들의 대량배양을 위한 수온과 염분의 최적범위 및 최적 성장을 위한 먹이를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A. royi 성체 암컷의 총 nauplius 생산력은 수온 $32^{\circ}C$에서 188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체 암컷 당 일간 nauplius 생산수도 총 생산수와 같은 경향을 보여 $32^{\circ}C$에서 13.4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uplius 부화 후 최초 포란할 때까지 발달 기간은 $32^{\circ}C$가 7.2일로 가장 빠른 발달을 보였으며 수온이 감소할수록 발달기간이 느린 경향을 보였다. A. royi 성체 암컷의 총 nauplius 생산력은 염분 10 ppt에서 169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체 암컷 당 일일 평균 nauplius 생산수는 10 ppt가 9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uplius 부화 후 최초 포란할 때까지 발달 기간은 10 ppt와 15 ppt이 각각 7.1일, 7.7일로 빠른 발달을 보였으며 염분이 높을수록 발달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A. royi 성체 암컷의 총 nauplius 생산력은 I. galbana와 T. suecica 공급구에서 각각 142, 127 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체 암컷 당 일일 평균 nauplius 생산수는 I. galbana 공급구가 8.2개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auplius 단계에서 copepodid 단계까지의 발달 기간은 I. galbana, T. suecica, P. tricornutum 공급구가 각각 3.4, 3.6, 3.7일로 담수산 농축 Chlorella와 빵 효모 공급구보다 빠른 발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cyclopoid 요각류인 A. royi는 대량배양의 잠재성이 있으며 최적 대량배양을 위해서는 수온 $32^{\circ}C$, 염분 10 ppt에서 먹이로 I. galbana를 공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균주로 발효시킨 프레쉬 치즈의 항리스테리아 활성 (Antilisterial activity of fresh cheese fermented by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 임은서;이은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07-418
    • /
    • 2015
  • 본 연구는 백김치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aracasei BK57의 항균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배양 조건을 검색하고, BK57 유산균으로 프레쉬 치즈를 제조한 후 균주의 활성과 유산 및 박테리오신 생산량을 측정하여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569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최대의 균 증식과 항균 물질 생산량은 pH 6.0으로 조정한 MRS broth에서 $37^{\circ}C$, 24시간 동안 호기적인 조건으로 배양했을 때 나타났다. 하지만, 효모추출물(2.0%)을 첨가한 전유 내에서 생성된 항균물질의 양과 유산균의 증식률은 MRS broth에서 보다는 다소 낮았다. 우유 내에서 L. monocytogenes의 저해율은 BK57 균주의 생균과 배양 상등액에 의해 높게 나타났으나, 유산균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에 의한 저해율은 우유 보다는 BHI broth 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BK57 균주로 발효시킨 프레쉬 치즈를 $4^{\circ}C$$15^{\circ}C$에서 6일간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수, 유산 생성량 및 박테리오신 활성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제조 직 후 프레쉬 치즈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L. monocytogenes ($10^5CFU/ml$)의 균수는 각각의 온도대에서 6일 이내에 최소 15% 이상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BK57 균주를 발효유제품 제조에 이용할 경우 리스테리아균을 제어할 수 있는 생물학적 보존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찰가자미 자어에 있어서 먹이생물의 영양강화을 위한 해양세균 (Erythrobacter sp. $S{\pi}-1$)의 이용 (Availability of Marine bacteria (Erythrobacter sp. $S{\pi}-1$) for enrichment of livefood in the slime flounder larvae, Microstomus achne)

  • 강석중;임영수;박상언;이원재;최병대;박흠기;박유수;오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8-802
    • /
    • 1999
  •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 자어를 대상으로 해양세균 (Erythrobacter sp. S$\pi$-1)을 공급한 rotifer와 Artemia의 영양개선효과를 Super Selco, 유지효모, 해수산 Chlorella와 비교 조사하였다 해양세균이 포함된 EPS-SR과 Super Selco를 공급한 rotifer에서 지방산중 DHA의 비율이 해수산 Chlorella를 공급한 rotifer보다 높았고, 그 결과 이들을 섭취한 자어의 성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해양세균이 포함된 EPS-A를 공급한 Artemia는 DHA와 n-3 HUFA의 비율이 다른 영양강화제와 영양강화제를 공급하지 않은 Artemia보다 높았다. 따라서 ESP-A를 공급한 자어의 성장과 생존률이 다른 영양강화제와 영양강화제를 공급하지 않은 자어보다 높게 나타났다. 해양세균 Erythrobacter sp. S$\pi$-1의 먹이 효율적인 측면에서 찰가자미 자어를 대상으로 할 때 먹이생물의 영양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dwardsiella tarda의 비배양성 생존상태(VBNC) 유도 및 소생 특성 (Induction and resuscit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Edwardsiella tarda)

  • 강남이;김은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13-318
    • /
    • 2016
  • Viable but nonculturable (VBNC) 상태에 들어간 세균은 일반적인 증균 배지에서는 집락을 형성하지 않지만, 죽은 것이 아니라 낮은 대사활성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circ}C$의 저온 빈영양 해수에서 Edwardsiella tarda를 VBNC 상태로 유도한 후, 해수 온도를 10에서 $25^{\circ}C$로 상승시킬 때 첨가된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 VBNC 상태인 균의 소생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E. tarda가 접종된 빈영양 해수 microcosm을 $10^{\circ}C$에 유지하였을 때 VBNC 유도 기간은 42-84일까지 다양하였다. 유도 기간 동안 acridine orange direct counting법으로 계수한 총 균수는 초기 접종 농도인 약 $10^8cells/ml$로 일정하였으며, direct viable counting법으로 계수한 생존 균수는 약 $10^4cells/ml$로 감소되었다. VBNC E. tarda에 효모추출물, 넙치근육추출물 그리고 혈청을 첨가하여 $25^{\circ}C$에서 소생을 유도한 결과 전체 시료 개수의 37%, 23%, 37%에서 각각 소생이 확인되었으며 소생된 E. tarda의 특성은 VBNC 유도 전 원래의 세균과 일치하였다. 소생된 E. tarda를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 복강 주사 하였을 때 접종 후 5일 이내에 시험어가 모두 사망함으로써 VBNC 상태의 E. tarda가 독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므로 E. tarda는 우리나라 남해 연안 겨울의 저온 빈영양 해수에서 VBNC 상태로 유도되었다가 여름과 가을 시기에 수온 상승과 더불어 소생되어 양식 넙치에 지속적인 발병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oulardii on sows' farrowing duration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weanling piglets' performance and IgG concentration

  • Sun, Haiqing;de Laguna, Fernando Bravo;Wang, Shuai;Liu, Fengju;Shi, Liang;Jian, Haidi;Hu, Xiaoxia;Qin, Peng;Tan, Jiaji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1호
    • /
    • pp.10-22
    • /
    • 2022
  • We studied the effect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oulardii CNCM I-1079 (LSB) supplemented to lactating sows on reproductive traits and farrowing duration and to piglets from day 7 of life on post-weaning performance and IgG concentration. Ninety-six Landrace × Yorkshire sows started the trial 5 days before the expected farrowing date. Sows were distribut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parity number and backfat thickness: control (CON: regular lactation diet) and LSB (CON + LSB at 2 × 109 colony forming units [CFU]/kg of feed). Seven days after birth, litt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group and supplemented creep feed with or without LSB at 2 × 109 CFU/kg. At weaning, piglets from CON sows were shifted to a commercial farm and allocated to 14 pens in groups of 25 piglets/pen according to the creep feed supplemented during lactation. Piglets followed a 3-phase feeding program: creep, pre-starter and starter, with or without LSB at 2 × 109 CFU/kg LSB in creep and pre-starter, and 1 × 109 CFU/kg LSB in starter. The piglets were vaccinated against classical swine fever on days 41 and 72 of life. One day before each vaccination and at the end of the t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5 randomly selected piglets per treatment and assessed for total IgG. Supplemented sows with non-supplemented litters displayed the lowest backfat thickness loss during lactation (p < 0.05). The LSB supplementation shortened farrowing duration (p < 0.05) and increased feed intake (p < 0.05) during the first week of lactation. The LSB-fed piglets were heavier at the end of creep (p < 0.05), pre-starter (p < 0.05), and the trial (p < 0.05); grew faster during creep (p < 0.05), starter (p < 0.05), and overall (p < 0.05); and displayed an improved feed conversion ratio during creep (p < 0.05). Total IgG content was higher at days 40 (p < 0.05) and 71 (p < 0.05) in LSB-fed piglets. We conclude that supplementing sows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boulardii CNCM I-1079 from late gestation until weaning shortens farrowing duration, increases feed intake, and minimizes backfat losses during lactation. When supplemented to piglet diet, post-weaning performance is improved. This improvement observed could be linked to a better immune status, as suggested by the higher IgG.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P-5 균주의 배지 최적화 및 상추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평가 (Medium optimization for growth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P-5 strain and evaluation of plant growth promotion using lettuce)

  • 최강현;서선일;박해성;임지환;김평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56-36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P-5 균주의 최적배지조성을 확인하기 위해 5종의 탄소원(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 corn starch)과 5종의 질소원(yeast extract, peptone, tryptone, soytone, soy bean flour)을 이용하여 각각의 생육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glucose와 soy bean flour를 각각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확립하였으며 최적 배지를 이용하였을 때 상업용 배지(TSB)에 비해 약 2500배의 생육을 확인할 수 있었다. B. amyloliquefaciens ISP-5 배양액을 상추에 엽면 살포하였을 때 상추의 엽폭과 엽장은 대조군에 비해 8.6%, 12.9%의 증가하였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24.2%, 23.9%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B. amyloloiquefaciens ISP-5 균주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는 상추용 식물생장촉진제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Schizosaccharomyces bombe 포자형성 유전자(spo5)의 Cloning 및 전사조절 (Cloning and Transcription Analysis of Sporulation Gene (spo5)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김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2-118
    • /
    • 2002
  • 분열효모 S. pombe의 포자형성은 배지상의 질소원 고갈에 의해 유도되어지며 감수분열로부터 포자형성에 도달하는 과정에는 다수의 특이적인 유전자들이 관여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S. pombe genomic library 형질 전환법으로 spo5 유전자를 상보하는 clone을 screening한 후, sport 유전자를 단리하였다$^{8)}$ . 전포자막 구축에 필수적인 sport 유전자를 보유하는 약 5kb의 DNA 단편을 대장균, 효모 shuttle vector pTB248'의 Hind III 부위에 subclonning하였다. 그리고 이 DNA단편으로부터 제한 효소 지도를 작성하여(Fig. 2), spo5 변이체의 상보 능력을 조사하였다 (Fig. 3). 결과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보능력은 동일하였으며, 이러한 상보성 실험 결과로부터 삽입된 단편상의 유전자 발현은 벡터의 promoter로부터 전사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삽입 단편상의 효모 고유의 promoter 에 의해서 전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clone화 한 DNA 단편 배열상에는 변역영역뿐만 아니라 promoter 영역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실변이 도입 해석으로부터, spo5 유전자는 Sma I 부터 Hind m의 3kb 영역에 존재하였고 (Fig. 3), Nor-thern분석에 의해서 spo5 유전자의 전사를 조사한 결과, spo5 -mRNA는 Sma I 부터 Hind III 의 3kb 영 역에서 약2.5kb 크기로 검출되었다. 이 단편의 유전해석으로 부터 약 2.5kb의 전사산물은 최대 80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code하는 단백질로 판단되었다(Fig. 4). 그리고, Northern 분석법에 의해서 spo5 유전자의 전사를 조사한 결과, 서술한 바와 같이, 이 유전자는 질소기아 조건하에서만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4-2.5kb 단편).었다. 그리고 Edman법으로 결정한 PPIase의 39아미노산 잔기가 이 배열내에 완전히 보존되어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이 ORF는PPIase구조 유전자의 1/3에 해당하는 단편임을 확인하였다. training system to a dangerous work like as "Interruption-free live-line work exchanging COS(Cut-Out-Switch)". In this program, the user works with a instruction on the window and speaker and can't work other tasks until each part of the task completed. The workers using this system can use their hands and viewpoint movement as he is in a real environment but the trainee can't use all parts and senses of a real body with the current VR technology. Despite of this weak point, when we consider the trends of improvement in electrical devic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 can say that 3D graphic VR application has a high potentiality.) 야생화 초지(NWP, IWP)는 관행 혼파초지나 하번초 혼파초지에 비하여 동물상이 다양하고 많게 분포되었으며 그중 외국산 야생화초지의 동물 개체수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야생화 초지는 봄부터 가을까지 야생화가 지속되었고, 양서류 및 곤충의 개체 수가 증가되었던 것으로 보아 야생화 초지의 공익적인 측면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커피발효물의 발효특성 및 항비만 효과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 of fermented products of coffee wine)

  • 박소현;오현화;정도연;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03-71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초균으로 발효된 브라질산 원두로 커피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효모 발효를 위한 혼합액(20% glucose, 1% yeast extract, 70% roasted coffee extract)에 Saccharomyces cerevisiae SRCM102539 균주를 접종한 후, 정치배양(30℃, 5일)하여 커피와인을 제조하였다. 커피식초는 Acetobacter pasteurianus CT_02 균주로 제조한 종초를 커피와인에 30%(v/v) 첨가하고, 진탕배양(30℃, 120 rpm, 15일)하였으며 발효기간 중 5일 간격으로 생균수, 이화학적 특성(수용성 고형분 함량, pH 및 총산도), 유기산, 유리당 및 에탄올 함량을 분석하였다. 초산균 발효 전(0일 차, AUFCW)과 후(15일 차, AFCW)의 생균수, 수용성 고형분 함량, pH 및 총산도의 변화는 각각 6.35 log CFU/mL에서 4.19 log CFU/mL, 8.10 °Brix에서 8.57 °Brix, 3.88에서 3.07 및 1.29%에서 7.45%로 나타났다. HPLC 분석을 통한 glucose의 함량은 발효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에탄올 함량은 AUFCW에서 6.02%(w/v)였으나, AFCW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AFCW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5,921.43 mg%), succinic acid(434.96 mg%)와 citric acid(69.43 mg%)로 3종이 검출되었다. 커피식초의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은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DI로 지방분화가 유도된 3T3-L1 세포에 대한 AFCW의 항비만 효능평가를 지질축적률, 렙틴 단백질 발현량 및 지방 생성관련 유전자(PPAR-γ 및 SREBP-1c)의 mRNA 발현량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AFCW의 항비만 효능은 200 ㎍/mL 농도 처리 시 MDI 단독 처리구 100%에 비해 지질축적률은 69.37%, 렙틴 단백질 함량은 50.20%로 감소하였으며, PPAR-γ 및 SREBP-1c의 mRNA 발현량은 각각 79.89% 및 48.81%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커피와 인으로 제조된 커피식초가 초산균의 발효과정을 통해 항비만 효능을 더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