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ry Education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초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Aspects of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조희정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2호
    • /
    • pp.63-11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중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양상을 파악하였다. 검토 대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검정 심사에 통과하고 교육 현장에서 사용된 14개 출판사의 중학 국어 84종, 11개 출판사의 고등 국어 22종, 11개 출판사의 고등 문학 22종이다. 2009 개정 중학 국어에는 총 17종의 고전시가가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3개 출판사 중학 국어에서 소단원 본 제재로 고전시가를 단 한 번도 다루지 않았다는 특이점을 보인다. 2009 개정 고등 국어 교과서에는 <제망매가>, <가시리>, <관동별곡> 등으로 대표되는 19종의 고전시가가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중 고등 국어 교과서의 고전시가 본 제재 갈래는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의 국문 시가로 한정되었지만, 2009 개정 문학 교과서에서는 고전시가의 하위 갈래가 총망라되며 성취 기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구현하는 단원의 본 제재로 주로 채택되었다. 2009 개정 중학 국어에서 총 26종의 고전산문이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중학교 수준의 고전산문 제재 중 고전소설은 <홍길동전>, <박씨전>, <양반전> 등이 반복 채택되며 고전산문 대표 제재의 지위를 얻었다. 2009 개정 고등 국어 교과서에서는 16종의 고전산문이 본 제재로 채택되었는데, <봉산탈춤>, <춘향전>, <흥부전> 등이 주요 제재로 다루어졌다. 2009 개정 문학 교과서에는 고전산문의 하위 갈래인 서사무가, 설화, 판소리, 민속극, 고전소설, 한문 산문, 한글 산문 등의 대표 작품들이 성취 기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구체화하는 단원의 본 제재로 주로 채택되었다. 2009 개정 중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본 제재 또는 보조 제재로 4회 이상 수록된 고전 시가 제재 31종 중 반복 수록된 빈도가 높은 제재는 <서동요>,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제망매가>, <가시리>, <속미인곡>, <도산십이곡>, <두터비 파리를 물고>, <십 년을 경영하여>, <청산별곡> 순이다. 고전시가 중 수록 종류와 수록 빈도가 가장 높은 갈래는 시조이다. 2009 개정 중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본 제재 또는 보조 제재로 4회 이상 수록된 고전산문 29종 중 반복 수록된 빈도가 높은 제재는 <흥부전(흥부가)>, <봉산탈춤>, <춘향전(춘향가)>, <홍길동전>, <이옥설>, <주몽신화(동명왕편)>, <금오신화>, <사씨남정기>, <심청전(심청가)>, <양반전>, <박씨전> 순이다. 고전산문 제재 중 작품의 종류와 수록 빈도가 높은 중심적 갈래는 고전소설이고, 새롭고 다양한 제재가 유입되고 있는 갈래는 한문 산문이다.

시스템 사고 기법 기반의 문학 작품 분석 및 이해력 신장 방안 (Plan for Increasing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Skills of Literary Works based on Systems Thinking Technique)

  • 김훈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62-66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사고 기법에 근거 하여 문학작품 분석과 이해력 신장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분석법을 활용했으며, 문화교육의 주된 장르는 동화를 선택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국가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국어 수업에서의 동화 이용 실태를 분석하여 문학 교육의 가치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다음은 시스템 사고 기법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문학 작품 분석과 이해력 신장을 위한 수업전략과 적용 사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동화를 통해 언어적 능력 발달뿐만 아니라 창의력 증진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추후 활동들과 통합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유기적 구조를 갖춘 글을 쓰는 능력이 신장되고, 사고의 유연성을 계발할 수 있다. 셋째, 상상력을 길러주고, 간접적인 경험을 확산시켜 주어 통합적인 안목과 문제해결의 조정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거울 모르는 사람들>의 서사적 특성과 편집성 인격장애 (The epical character of and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 강미정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15호
    • /
    • pp.163-189
    • /
    • 2008
  •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the epic of and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I assume that the fact of not recognizing one's own face should be pathological problem. People who suffer from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show mistrust and anxiety. I expect that people who don't recognize their own faces from can be related to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The epic of from "An Outline of Korean Folklore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epic of mistrust and anxiety. The wife from distrusts her husband. She is in fear of being abandoned. She has a doubt that her husband has an affair, so she might lose him. After searching the epic of , I found some peculiarity of people's behave. When you have doubts about your lover, so you are in anxiety, it's hard to think logically. You keep digging for clues expecting that you would prove the unknown truth. It becomes really impossible to make a sense out of you. You cannot be persuaded. These all symptoms are related to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Not every version of from "An Outline of Korean Folklore Literature" is all about symptoms. There are some versions show the solution. Separation for a specified period, self-examination, and recovery of distrust can be the way of solving the problem. In the scene of literary therapy practice, the epic of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1949-1966년 중국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문이재도' 문예관의 특징 (The feature of the 'Mun-yi-jae-do' artistic attitude in Chinese Animation from 1949 to 1966)

  • 리우단야;이동훈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65권
    • /
    • pp.70-81
    • /
    • 2018
  • 1949-66년, 신중국 성립 후, 새로운 정권의 기반을 다지고, 국가적 이미지를 수립하기 위해 "무산계급 혁명교육" 은 새로운 시대 속 문예창작의 주요 노선이 되었다. 이 시기 중국 애니메이션은 이데올로기와 정치적 교육을 강조하면서 그 주요한 내용들이 소련의 문예사상과 창작방식에 대한 교조적 수용의 결과라는 오해를 낳게 된다. 정치적 특징을 강하게 드러내는 이 시기의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한편 창작자들의 주체적 수용과 중국 전통문화의 계승이라는 문화적 자각이 계속 작동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이 시기 애니메이션의 소재, 서사, 캐릭터 등이 중국의 '문이재도' 문예관의 사상적 특징과 전통적 표현방식을 계승하고 있었다는 사실에서 알수 있다. 따라서 소련 '교조주의'와는 구별되는 독자적 창작 스타일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할수 있다. "혁명 영웅 캐릭터", "혁명 사상의 신화적 표현", "독특한 나레이터 서술 방식" 이라는 1949-1966년 사이의 중국 애니메이션의 특징점은 곧 '문이재도'(文以?道) 문예관이 성립된 후 전통 예술창작의 중요한 표현수단이었던 '영웅 캐릭터', '신화 이야기', '설서 예술' 의 사상적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될 수 있다.

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맥락과 교육적 인식의 탐색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Analysis of the Context of Inclusion and Awareness of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in Literature - With a Focus o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 최홍원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5호
    • /
    • pp.5-46
    • /
    • 2017
  • 이 연구는 문학교육 현상에 대한 관심의 일환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맥락을 탐색하고, 이를 매개로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교과서가 고전문학교육의 실행에 지배적 영향력을 갖고 있으며, 특히 교과서 수록 제재는 특정한 사회적 조건 속에서 교육의 의도, 요구, 관점 등에 따라 선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고전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고전성과 문학성으로 나누고, 이를 준거로 2009,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록 실태와 맥락을 탐색하였다. '문학의 역할', '문학의 수용과 생산', '문학과 삶'의 영역에서 현대문학위주로 수록, 편성됨으로써 고전문학은 전반적으로 소외, 배제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비교하여 고전성 강조와 문학성 약화의 경향성이 전반적으로 심화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처럼 고전문학이 과거의 산물이자 역사적 자료의 차원에서만 수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차원의 외적 변화 못지않게 고전문학의 본질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같이 내적 차원의 대응이 요청된다. '문학'으로서의 보편성과, '고전'으로서의 시공간적 거리감이 오늘날 학습자의 문제 상황과 요구에 응답하는 다양한 관계 맺음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이로써 교과서 수록맥락과 양상의 다각화, 수록 가능한 작품의 폭과 범위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학습량 감축, 역량 개념의 도래, 전통적인 문학 개념의 해체와 같은 외적 환경의 변화 또한 맹목과 당위의 차원을 넘어 이 같은 고전문학의 새로운 가치 탐색을 끊임없이 요청하고 있다.

중국의 초등학생 필독목록 조사 분석 (A Investigation and Analysis List of Required Reading for Chin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한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5-319
    • /
    • 2016
  • 이 연구는 중국 어문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독서교육과 초등학생 필독목록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1년 제정된 어문교육과정표준의 교과외독서목록과 중국 교육부 추천의 2012년과 2015년의 초등학생 필독목록을 조사 및 비교 분석하고, 나아가 교과외독서목록과 2종의 교육부 추천 필독목록을 비교 분석하였다. 2종의 필독목록 조사 결과 장르별로 동화류와 과학도서류가 많았으며, 나라별로 영국도서가 많았으며, 교과외독서목록과의 비교 결과 해외도서와 중국저자의 반영률이 높았으며, 당대문학작품류와 과학류의 반영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중국저자와 중국 동화 및 당대 문학작품 등에 대한 연구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와 추천을 제안하였다.

The Phenomenon of Interference in Popular and Articistic Literature: Comparing Red Summer by Nguyễn Nhật Ánh and Goodbye Tsugumi by Yoshimoto Banana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Shoujo Manga

  • Nguyen, Thi Mai Lien;Thanh, Duc Hong Ha
    • 수완나부미
    • /
    • 제14권1호
    • /
    • pp.161-189
    • /
    • 2022
  • Nguyễn Nhật Ánh and Yoshimoto Banana are authors from two different literary movements, cultures, and countries. Their works are all best-sellers and have received many prestigious awards. Comparing their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shoujo manga, we can see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m. Regarding the concept of composition, they all want to create works that are accessible to the majority of the public. Therefore, they choose topics which are close and attractive to mass readers as well as simple style, characters, literary devices, artistic space and time that are famous in shoujo - a popular art form of Japan. However, the ideological content in the works of both is not explicit and simple, but expresses the eternal feelings and values of humanity such as love for people, love for the homeland, country, reflecting the depths of both the conscious and the subconscious as well as profound aesthetic and philosophical values, profound aesthetic and philosophical values. Their works present the trend of interference between popular culture and elite literature. We can draw lessons for young writers, cultural managers and a wide audience from the success of these two writers.

그래픽노블을 통한 다중문식성의 발달 (The Use of Graphic Novels for Developing Multiliteracies)

  • 윤은자
    • 영어영문학
    • /
    • 제56권4호
    • /
    • pp.575-596
    • /
    • 2010
  • The modes of narratives and communication have expanded due to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us texts have become multimodal and media hybridities and media crossover have been increasing as well. Multimodality requires new literac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ose multimodal texts other than existing traditional literacy approaches. The New London Group (2000) argues that multiliteracies are needed to serve today's changing multimodal texts. Kress (2003) also argues, visual texts have been prevailing, being mingled with other modes of texts such as linguistic, audio, gestural, and spatial modes. Literary texts are not exception in this trend of multimodality. The recent renaissance of comics, in particular, the new light on graphic novels can be interpreted in this historical vein. In comparison to comics, no consensus has been made in defining graphic novels, however, many studies have been recently conducted in order to look into the potential of graphic novels in building multiliteracies. In this paper, the graphic novel as a literary genre are explored from a histocial perspective and the definition of graphic novels was attempted to be made. In the light of multiliteracies, this paper presented cases that show how graphic novels can be utilized to build multiliteracies. Lastly, the use of graphic novels for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was introduced as well. The author hopes that at the age of multimodality, the potential graphic novels have in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can be taken into account by language teachers and students in expanding their territory of literacy.

미국문학작품의 한국어 번역본 출판상황 (A Bibliographic Study on Korean Translations of American Literature)

  • 박온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8권
    • /
    • pp.157-212
    • /
    • 1990
  • Translation has attained an important role in transmission and maintenance of human culture. As the world gets closer transla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useful means to carry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the language barrier. Translations of literary works in particular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valuable means of helping people to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in the interest of world peace. Korea has maintaine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ince she first opened her door to the States in 1882. No one can deny that American has had a strong influence on Korean culture, politics, economics and education through the long close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to find out how many and what American literary works have been introduced into Korea through translation from 1882 to 1982.

  • PDF

Literature as a Strange Body: Modernity, Literariness and Dislocation

  • Lee, Alex Taek-Gwang
    • 영어영문학
    • /
    • 제64권4호
    • /
    • pp.617-628
    • /
    • 2018
  • The aim of this essay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intellectual scenes.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to the local context, literature as a genre has served as a field in which colonial and post-colonial intellectuals have attempted to win the accreditation of Western enlightenment. Literature has been regarded as a crucial instrument of liberal arts and education in Korea. Literature has functioned as a social movement in Korea since its incep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radical intellectuals and literary writers published essays and articles in literary journals. This status as a social movement is still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outset, Korean literature has functioned as an enlightenment project for cultural development. As such, Korean literature retains a political meaning of "literariness," which reshuffles the hierarchy of the sensible and creates novelty against given aesthetic regimes. As a result, in the process these regimes are thereby de-purified of their status as purely aesthetic movements; their perspectives thereby come into contact with other discourses and practices outside the art world. This essay argues that as a genre, Korean literature always functions as "world literature" in Korean intellectual sc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