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id-solid

검색결과 2,346건 처리시간 0.03초

탈지미세조류로부터 초음파추출을 이용한 항산화 물질 생산 공정 최적화 (Process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Antioxidants from Lipid Extracted Microalgae Using 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 조재민;신슬기;정현진;민보라;김승기;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542-547
    • /
    • 2017
  • 초음파 추출법(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UAE)은 기존의 추출법 대비 높은 추출 효율과 짧은 추출시간으로 식물 세포벽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추출 또는 분리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어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탈지미세조류(Tetraselmis KCTC 12236BP)에서 폴리페놀 추출을 위해 UAE를 적용하여 총 폴리페놀(TPC) 생산에 미치는 주요 추출변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추출변수의 최적화를 위해 입자크기, 고액비(L/S ratio), 에탄올 농도,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요인으로 하여 순차적인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적용 된 모든 변수는 TPC 추출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추출 온도가 TPC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최적 추출조건은 혼합 입자 사용 시, 10% 고액비, 60% 에탄올, 추출온도 $100^{\circ}C$와 추출시간 30 분을 적용한 추출에서 8.7 mg GAE/g DW를 얻을 수 있었다. 동일한 추출조건에서 열수추출과 UAE를 비교하였을 때 UAE에서 TPC 추출이 1.8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저온 및 짧은 추출시간을 적용한UAE가 기존의 열수추출 공정에 비해 LEA를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생산에 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나노버블수에 의한 구리 오염 토양의 정화에 관한 기초 연구 (The Fundamental Study on th e Soil Remediation for Copper Contaminated Soil using Nanobubble Water)

  • 정소희;김동찬;한중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1-3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지반을 정화하기 위한 향상제로 친환경 재료인 나노버블수를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소 나노버블을 제조하여 입도분석과 제타 포텐셜 측정을 통해 장기 생존성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나노버블수를 회분식 탈착실험에 적용하여 구리 오염토양에 대한 나노버블수의 정화 효과를 증류수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가압용해식 나노버블 제조 장치를 통해 제조한 나노버블은 최소 14일간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리 오염 토양에 대한 회분식 탈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토양 종류에 관계없이 나노버블수의 제거효율은 전반적으로 증류수보다 높았으며 고액비와 반응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pH 변화에 따라 사질토는 산성 측에서 제거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점성토는 그 차이가 다소 낮았다. 실험 결과를 통해 나노버블의 구리 탈착 효과는 나노버블의 큰 비표면적과 제타 포텐셜에 기인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나노버블수의 중금속 제거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양정화의 향상제로 적용하여 친환경적인 정화공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준물질을 이용한 몰리브덴 동위원소 분석 (Molybdenum Isotope Analysis of Standard Reference Materials)

  • 조윤수;길영우;류종식;설정환;;정우철;박상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49권2호
    • /
    • pp.89-95
    • /
    • 2016
  • 산화 환원 환경에 민감하게 분별되는 몰리브덴(Mo) 안정동위원소는 지구화학적 과정을 유추할 수 있는 지시자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분석기기의 발달로 Mo 동위원소를 활용한 지질물질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Mo 동위원소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컬럼관(BioRad PolyPrep(R) column, 10 ml)과 음이온 교환수지(BioRad Resin AG(R) 1-X8, 200-400 mesh)를 이용한 두 번에 걸친 컬럼 작업을 통해 Mo을 분리 및 회수하였다. 이 분리법을 이용하여 고체(BHVO-2, SDO-1, PACS-2) 및 액체(IAPSO) 표준시료의 Mo 동위원소 분석을 다검출기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Multi-collector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MC-ICP-MS)로 측정한 결과, 측정된 표준물질의 Mo 동위원소 분석값은 참값과 오차 범위 내에서 잘 일치하였다.

관상어용 기포발생기를 개조한 시료채취 장치와 기존의 시료채취기와의 성능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Test Using Remodeled Bubble Generating Pump for Aquarium Fish and Established Air Sampling Pump)

  • 장봉기;천재영;손부순;이종화;박종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3-191
    • /
    • 2005
  •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established samplers (personal air sampler and MiniVOL portable air sampler) commonly used in the air environment or work environment with that of the sampler made by remodeling the air bubble generator for aquarium fishes. Sampling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the filter collection method for PM10 and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the liquid collection method for sulfur dioxide ($SO_2$) and nitrogen dioxide ($NO_2$), and the solid collection method for toluene, respectively.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SP between the Gilian personal air sampler (1st, $0.316{\pm}0.095$; 2nd $0.191{\pm}0.090$; 3rd, $0.185{\pm}0.073mg/m^3$) and the remodeled sampler (1st, $0.317{\pm}0.106$, 2nd $0.201{\pm}0.050$; 3rd $0.189{\pm}0.081mg/m^3$). There are also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among the Gilian personal air sampler ($0.058{\pm}0.006mg/m^3$), the remodeled sampler ($0.052{\pm}0.008mg/m^3$) and the MiniVOL portable air sampler ($0.054{\pm}0.007mg/m^3$).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SO2 by the established sampler and the remodeled one is $3.79{\pm}0.21ppb$ and $3.45{\pm}0.15ppb$,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are not sigm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NO2 between the Gilian personal air sampler (1st, $0.325{\pm}0.068$; 2nd $0.341{\pm}0.206$; 3rd, $2.971{\pm}0.078{\mu}g/m^3$) and the remodeled sampler (1st, $0.300{\pm}0.062$; 2nd $0.332{\pm}0.144$, 3rd, $2.968{\pm}0.085{\mu}g/m^3$).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luene between the Gilian personal air sampler (1st, $0.499{\pm}0.072$; 2nd $0.598{\pm}0.112$; 3rd $2.284{\pm}0.077{\mu}g/m^3$) and the remodeled sampler (1st, $0.463{\pm}0.133$; 2nd $0.603{\pm}0.082$; 3rd $2.353{\pm}0.115{\mu}g/m^3$). From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remodeled sampler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established samplers. There is possibility that the remodeled sampler can be used as a alternative device for Gilian personal air sampler in area and personal air sampling.

HPLC-ELSD를 이용한 발효유 제품 중의 Isomaltooligosaccharides 분석법 개발 (Determination of Isomaltooligosaccharides in Yoghurts by Using HPLC-ELSD)

  • 고진혁;이문석;곽병만;안장혁;박종수;권중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17-424
    • /
    • 2013
  • 본 연구를 통해 현행 이소말토올리고당 분석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원료 시럽뿐만 아니라 발효유 중의 미량의 이소말토올리고당 함량을 신속,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IDF method와 dSPE 기술을 적용하여 전처리 방법을 개선하였고, 당 전용 컬럼과 ELSD를 이용하여 기기분석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분석법은 유효성 검증 절차에 의해 선택성,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회수율, 정확성 및 정밀성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장에서 유통 중인 시럽 및 발효유 제품을 분석한 결과 이전에 발표된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론을 얻었으며(Goffin et al., 2011), 이소말토올리고당을 구성하는 성분 중 panose, isomaltose 및 isomaltotriose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방 및 단백질이 많고 유화의 특성을 가진 발효유 중에서의 이소말토올리고당 함량을 신속,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분석 기술은 향후 식품산업현장에는 물론 발효유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에게 발효유의 기능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이소말토올리고당 뿐만 아니라 당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QuEChERS법을 활용한 농산물 중 제초제 Tolpyralate의 최적 분석법 선발 및 검증 (Application and Validation of an Optimal Analytical Method using QuEChERS for the determination of Tolpyralate in Agricultural Products)

  • 이한솔;박지수;이수정;신혜선;김지영;윤상순;정용현;오재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6-252
    • /
    • 2020
  • BACKGROUND: Pesticides are broadly used to control weeds and pests, and the residues remaining in crops are managed in accordance with the MRLs (maximum residue limits). Therefore, an analytical method is required to quantify the residues, and we conducted a series of analyses to select and validate the quick and simple analytical method for tolpyralate in five agricultural products using QuEChERS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method and LC-MS/MS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METHODS AND RESULTS: The agricultural samples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followed by addition of anhydrous magnesium sulfate, sodium chloride, disodium hydrogencitrate sesquihydrate and trisodium citrate dihydrate. After shaking and centrifugation, purification was performed with d-SPE (dispersive-solid phase extraction) sorbents. To validate the optimized method, its selectivity, linearity, LOD (limit of detection), LOQ (limit of quantitation), accuracy,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from the inter-laboratory analyses were considered. LOQ of the analytical method was 0.01 mg/kg at five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linearity of matrix-matched calibration were good at seven concentration levels, from 0.0025 to 0.25 mg/L (R2≥0.9980). Mean recoveries at three spiking levels (n=5) were in the range of 85.2~112.4% with associate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values less than 6.2%,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between the two laboratories was also below 13%. All optimized results were valida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ranges requested in th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and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guidelines. CONCLUSION: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selected and validated method could serve as a basic data for detecting tolpyralate residue in imported and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밭토양(土壤) 물리성(物理性)과 고추 생육(生育)과의 상관(相關) 연구(硏究)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Fields and Plant Growth)

  • 조인상;허봉구;김리열;조영길;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5-208
    • /
    • 1987
  • 고추 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 적정(適定) 범위(範圍)와 지력판정(地力判定)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전국(全國) 주요(主要) 고추 주산단지내(主産團地內) 94개(個) 포장(圃場)에서 포장환경(圃場環境), 토양(土壤)의 물리화학성(物理化學性) 및 생육(生育)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고추 재배토양(栽培土壤)은 전체(全體)의 72%가 사질(砂質) 토양(土壤)이었다. 고추 작황(作況)이 양호(良好)할수록 작토심(作土深), 유효토심(有效土深) 및 근권심(根圈深)이 깊었고 가비중(假比重)과 경도(硬度)는 낮았다. 고추 생육(生育)에 적당(適當)한 토양(土壤) 삼상(三相) 범위(範圍)는 고상(固相) 50%이하(以下), 액상(液相) 15%이상(以上), 기상(氣相) 20%이상(以上)이었다. 고추 생육(生育)은 작토심(作土深), 유효토심(有效土深), 근권심(根圈深), 경도(硬度), 가비중(假比重), 유효인산(有效燐酸)과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고추 작황(作況)을 저해(沮害)하는 요인(要因)은 유효토심(有效土深)>가비중(假比重)>작토심(作土深)>경도(硬度)>경사(傾斜)의 순(順)이었다.

  • PDF

녹색꽃양배추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의 약배양 효율증진과 약유래 계통의 특성 (Factors Affecting Efficiency of Anther Culture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Anther -derived Progeny in Broccoli)

  • 남시춘;윤광현;백기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9-195
    • /
    • 1999
  • 녹색꽃양배추의 약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제 조건을 규명하고 다양한 유전적인 특성을 가진 품종들을 대상으로 다수의 계통을 유기하여 신품종 육성 소재로 이용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시험 결과 B5배지에 NAA 0.1 mg/L + 2.4-D 0.1mg/L + 당 10% 처리구에서 배상체 발생율이 가장 높았으며 액체배지가 고체배지보다 5배 정도 배발생에 효과적이었다. 약접종 직후 35$^{\circ}C$ 고온처리 일수에 따른 시험에서는 1일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시일이 경과할수록 배상체 발생율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품종간 배상체 유기율은 Green valient 2.8%에서 Haisi의 21%까지 차이가 심하였으나 이배체율은 62~74%로 품종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Rokguray와 Haisi두 품종 약유래 계통의 포장특성 검정결과 초장, 엽수, 측지수, 화뢰의 지름은 다양한 변이를 보였으며 두 품종에서 유기된 계통들 중 조숙이며 초장이 크고 화뢰의 지름이 큰 계통과 중만생이며 엽수가 많고 화뢰의 지름이 작은 계통을 각각 5계통, 7계통을 선발하여 F$_1$육성 소재로 이용하였다.

  • PDF

펄프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리그닌 추출물의 금속이온 분리를 위한 세라믹 분리막 개발 (Development of Ceramic Membrane for Metal Ion Separation of Lignin Extract from Pulp Process)

  • 신민창;최영찬;박정훈
    • 멤브레인
    • /
    • 제27권2호
    • /
    • pp.199-20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펄프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리그닌 추출물 내의 금속이온분리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alpha}$-Alumina 분말에 DMAc (N,N-dimethylacetamide) 용매와 PESf (Polyethersulfone) 고분자를 혼합하고 PVP (Polyvinylpyrrolidone) 분산제를 첨가하여 슬립 캐스팅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분리막은 CFP (Capillary Flow Porometer) 장치를 통해 기공크기를 측정하고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 분리막 표면과 단면을 관찰하였다. 플럭스는 분리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시간당 여과된 무게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기공크기측정은 0 psi에서 30 psi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승압조건에서 진행하였다. 분리막의 기공크기는 $0.4{\mu}m$ 크기를 가지며 플럭스는 분리막의 파울링에 의해 초기 플럭스 값인 $6.36kg{\cdot}m^{-2}{\cdot}h^{-1}$에서 $1.98kg{\cdot}m^{-2}{\cdot}h^{-1}$으로 감소하여 3시간 이후부터 일정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투과 실험 후 막 오염물질은 간단한 세척을 통해 제거 가능하였다. 분리실험을 통해 초기 리그닌 추출물 내에 포함되어 있던 Na은 69%만큼 줄었고, Fe은 87%, K은 95%, Ca은 93%, Mg은 96%만큼 제거됨을 보였다.

무기흡착제를 이용한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할로겐 가스 (BCl3, CF4) 의 처리 및 측정에 관한 연구 (Treatment of Halogen Gases, BCl3 and CF4, used in Semiconductor Process by Using Inorganic Gas Adsorption Agents)

  • 임흥빈;황청수;박정준
    • 분석과학
    • /
    • 제16권5호
    • /
    • pp.368-374
    • /
    • 2003
  • 반도체 공정에서는 많은 종류의 가스를 사용하는 데 그중 할로겐 가스는 독성과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본 실험은 할로겐 가스를 기존의 제거 방식이 아닌 수지를 이용한 제거 방법 및 측정을 하는 연구를 하였다. 우선 실험에 사용한 할로겐 가스로는 $BCl_3$$CF_4$ 가스를 제거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 장치는 실험조건을 고려하여 직접 제작을 하였다. 그리고 수지를 이용한 흡착 제거를 하기 위해 제올라이트, $Ag^+$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AgMnO_3$, ZnO등 여러 가지 수지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가스의 분석을 위해서 실제 사용되어지는 적외선 분광기 (FT-IR)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을 하여 각각의 수지에 대한 할로겐 가스의 제거량을 계산하여 수지의 제거 능력을 확인하였다. 제올라이트, Ag 제올라이트, $AgMnO_3$, ZnO등의 수지중에서 ZnO가 가장 좋은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BCl_3$ 가스의 경우 수지 1g에 대해 0.094 g을 제거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CF_4$ 가스는 일반적인 고체 수지는 제거를 하지 못하고 액체인 $CHCl_3$가 약간의 제거능력을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