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s

검색결과 2,543건 처리시간 0.03초

녹두의 전분지질에 관한연구 (Compositions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in Lipids Extracted from Mung Bean Starch)

  • 엄수현;송영옥;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3
    • /
    • 1990
  • 녹두전분으로 부터 유리지질과 저온 및 고온에서 결합지질을 추출한 다음 이들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였으며 아울러 각 지질들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녹두전분에서 추출한 유리지질에서의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함량은 각각 98.2%, 1.7%, 0.1% 이였으며 저온 및 고온에서 추출한 결합지질에서는 각각 84.3~85.7%, 10.5~11.0%, 5.2~3,3% 이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의 주된 성분은 triglyceride와 esterified sterol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총 중성지질의 90%를 차지 하였다. 당지질의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은 monogalactosyl diglycerides와 esteryl steryl glyceried가 주성분 이었다. 그리고 인지질의 경우 유리지질은 phosphatidyl ethanolamine (79.0%)이 그리고 결합지질은 phosphatidyl inositol등이 주성분이었고 고온추출 결합지질에서는 phosphatidyl giyeride 함량이 높았다. 또한 각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유리지질에서는 palmitic acid(50.2%), stearic acid(20.6%)이 주성분이었고 결합지질에서는 palmitic acid과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그리고 유 질에서는 arachidonic acid와 behenic acid가 또한 고온추출 결합지질에서는 behenic acid가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되어 있었다.

  • PDF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pidermal Barrier Function and Cornified Envelope (CE)-Bound Lipids

  • Hattori, Takao;Oyobikawa, Midori;Suzuki, Masami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570-577
    • /
    • 2003
  • The importance of cornified envelope (CE)-bound lipids to epidermal barrier function is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In the present study, we intentionally damaged the cornified layer of hairless mice by ultraviolet irradiation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treatment, and assessed the changes in epidermal barrier function by measuring 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 We also measured changes in the amount of CE-bound lipids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reatments increased TEWL and decreased CE-bound lipids (omega-hydroxy cerami de and omega-hydroxy acid). In addition, investigation of the chronological changes in TEWL reveale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EWL and CE-bound lipids, and a correlation between CE-bound lipids and epidermal barrier function. We then measured the amount of CE-bound lipids in the cheek and the medial side of the upper arm in humans. The results showed that because the cheek receives external stimulation on a daily basis, the amount of CE-bound lipids was significantly lower, while the level of TEWL was higher. These observations, together with those from the animal study, indicate that CE-bound lipids are related to epidermal barrier function.

  • PDF

한국산(韓國産) 보리가루의 지방질(脂肪質) 조성(組成) (Lipid Composition of Barley Flour Produced in Korea)

  • 전혜경;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58
    • /
    • 1984
  • 보리가루(쌀보리 품종 중 백동)의 지방질(脂肪質)을 유리(遊離) 및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로 분별(分別) 추출(抽出)하고, thin layer chromatorgraphy, column chromatography 및 gas-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각종 성분(成分)을 분리, 동정, 정량하였다. 보리가루의 유리(遊離) 및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 함량은 풍건물(風乾物) 기준으로 하여 각각 2.27%, 1.0%였고, 정제(精製) 후에는 각각 2.12%, 0.76%였다. 유리(遊離) 및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의 성분(成分)으로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트리글리세리드, 유리스테롤, 스테롤 에스테르, 유리지방산 및 극성지방질을 동정(同定)하였다,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에서는 트리글리세리드 56.2%, 유리지방산 14.9%, 스테롤류 13.4% 이었고,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에서는 극성지방질 73.8%, 유리지방산 8.4%, 트리글리세리드 5.2%로서 그 패턴이 달리 나타났다.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 중 비극성지방질(非極性脂肪質)의 함량은 93.6%로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에서의 26.2%의 4배가량 되었다. 그러나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중 인지방질(燐脂肪質)은 2.5%로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에서의 55.5% 의 1/25 가량 되었으며, 당지방질(糖脂肪質)의 경우는 3.9%로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의 주요 지방산(脂肪酸)은 각각 리놀레산 52.1%, 54.%, 팔미트산 24.8%, 30.0% 및 올레산 15.6%, 8.8%로서 서로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다만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중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의 함량은 72.8%로서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에서의 68.0% 보다 4.8% 더 많았다. 유리(遊離) 및 결합상태(結合長狀態)에서의 비극성지방질(非極性脂肪質), 당지방질(糖脂肪質) 및 인지방질(燐脂肪質)의 지방산(脂肪酸) 조성을 보면 비교한 결과 결합상태(結合狀態)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성분(脂肪成分)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 PDF

맥아제조시 유리.결합 및 중성 지질의 변화 (Changes in the Free, Bound and Neutral Lipids of Malt during Malting)

  • 신승렬;송준희;김광수;박정륭;이갑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46-351
    • /
    • 1986
  • 이조대맥의 맥아제조시 유리 및 결합지질과 중성지질의 함량변화와 구성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이조대맥의 지질함량 27.9mg/g-d.w.중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이 각각 22.6, 5.3mg/g-d.w.으로서 유리지질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맥아제조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다 같이 감소하였다. 2. 이조대맥의 중성지질의 함량은 21.0mg/g-d.w.으로서 전지질의 75% 정도 차지하였으며, 맥아제조시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3. 이조대맥의 주지질인 중성지질의 조성은 triglyceride가 54.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free fatty acid, free sterol, 1,2-diglyceride, 1,3-diglyceride순이었고, 이들 중 triglyceride는 발아기간중 감소하였으며, free fatty acid와 sterol ester는 증가하였다. 4. 유리지질 및 결합지질의 구성지방산은 다같이 linoleic acid가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palmitic acid, oleic acid 등이 주지방산이었다. 그리고 주지방산인 linoleic acid는 발아기간 중 증강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palmitic acid는 유리지질에서 증가하는 반면에 결합지질에서는 감소하였고, oleic acid는 유리지질에서 감소하는 반면 결합지질에서 변화하지 않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중성지질의 구성지방산 조성은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은 다같이 linoleic acid가 주지방산이었고 다음으로 palmitic acid, oleic acid순이었다. 발아과정중의 구성지방산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증가하는데 비하여 주지방산인 linoleic acid나 stearic acid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보리의 유리(遊離) 및 결합지질(結合脂質)의 조성에 관한 연구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Free and Bound Lipids in Barley Grain)

  • 김현구;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2-387
    • /
    • 1982
  • 우리나라에서 재배한 4가지 품종의 보리를 디 에틸에테르로 유리지질을, 그 찌꺼기로부터 클로로포름-메탄올-물의 혼합용매로 결합지질을 추출한 각 지방질의 조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료 보리중 유리 및 결합지질의 평균함량은 각각 1.57% 및 0.48%였다. 2. 유리 및 결합지질중의 중성지질은 81.1% 및 16.4%, 당지질은 11.4% 및 6.8%, 인지질은 6.7% 및 75.5%였다. 3. 유리 및 결합지질중의 중성지질중 TG가 각각 92.3% 및 68.5%로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FFA, MG, DG, FS 및 SE가 부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함량은 유리 및 결합지질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4. 총 유리 및 총 결합지질의 주요지방산은 리놀레산, 올레산, 팔미트산, 리놀렌산이었다. 또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획분의 주요 지방산 함량은 유리 및 결합지질간에 차이가 있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옥수수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Korean Corns)

  • 전호남;최갑성;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22-129
    • /
    • 1986
  • 한국산(韓國産) 옥수수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을 계통적(系統的)으로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수원(水原)19호(號), 횡성옥(橫城玉), 광옥(廣玉), 황옥(黃玉) 3호(號)의 네가지 품종(品種)을 시료(試料)로 하여 유리지질(遊離脂質)과 결합지질(結合脂質)을 추출(抽出)하고 정제(精製)한 후지질성분(後脂質成分) 및 구성지질산(構成脂質酸構)을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利用)하여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였다. 옥수수의 총지질(總脂質)의 평균함량(平均含量)은 5.02%로 유리지질(遊離脂質)이 4.09%, 결합지질(結合脂質)이 0.93%를 차지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은 중성지질(中性脂質) 89.61%, 당지질(糖脂質) 3.75%, 인지질(燐脂質) 6.40%였으나, 결합지질(結合脂質)은 중성지질(中性脂質) 14.26%, 당지질(糖脂質) 46.06%, 인지질(燐脂質) 37.18%로서 유리지질(遊離脂質)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의 함량(含量)이 높은 반면 결합지질(結合脂質)에는 극성지질(極性脂質)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유리지질중(遊離脂質中)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주성분(主成分)은 triglyceride(67.68%)였으며 결합지질(結合脂質)은 triglyceride(47.88%), free fatty acid(33.44%)로서 유리지질(遊離脂質)에 비하여 free fatty acid의 함량(含量)이 상당(相當)히 높았다. 또한 유리지질(遊離脂質)과 결합지질(結合脂質)의 당지질(糖脂質)은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인지질(燐脂質)의 주성분(主成分)은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serine이었고,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glycerol inositol도 존재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 및 결합지질(結合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주요지방산(主要脂肪酸)은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였으며, 유리지질(遊離脂質)은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의 순서(順序)로 함량(含量)이 낮았고, 결합지질(結合脂質)은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고 palmitic acid, oleic acid의 순서(順序)로 적었다.

  • PDF

들깨의 발아가 들깨지방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Germination on Characteristics of Perilla Seed Lipids)

  • 최은옥;황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1-57
    • /
    • 2011
  • Color,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d tocopherols and polyphenols contents of perilla seed lipids in response to seed germination were studied. Perilla seeds were germinated at $30^{\circ}C$ in the dark for 12, 36, or 48 h, after which total lipids were extracted by the Folch method using chloroform and methanol (2:1, v/v). Seed germinat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yellowness and greenness in perilla seed lipid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omposition of the lipids including major neutral lipids (>90%). Conten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in the perilla seed lipid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ponse to germination. Linolenic acid (>63%)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Seed germination tended to decrease the relative content of linolenic acid and increase the contents of oleic and stearic acids. Contents of antioxidants, especially ${\alpha}$-tocopherol and polyphenols, increased in response to seed germination. As the germination period was extended, the antioxidant content increased. Therefore, increases in useful components,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alpha}$-tocopherol, and polyphenols contents by seed germin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rilla seed utilization in food industry.

Effects of Oxidized Tallow on the Rabbit Serum Lip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In-vitro Lipids

  • Zeb, Alam;Rahman, Waheed Ur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51-157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s of thermally oxidized tallow on the serum lipids profile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of the lipids extracted from the different tissues of the rabbits. Tallow was thermally oxidized at $130^{\circ}C$ for 9, 18, 27, 36 and 45 h respectively. Thermally oxidized tallow was fed to the local strain of Himalayan rabbits for one week. Results show that oxidation increases the formation of hydroperoxides and decrease the level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tallow. The rabbit serum lipids profile showed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HDL-cholesterol with an increase of oxidation time. Serum glucose and rabbits body weight decrease significantly (p < 0.05) and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erum lipids profile. The percent RSA of the lipids extracted from the liver, brain and muscles tissue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with respect to 0.5, 1.0 and 1.5 g/body weight as well as oxidation time. Data suggests that thermal oxidation and use of thermally oxidized beef tallow is harmful and therefore an alternative way of cooking should be used.

지질의 산화 및 갈변에 미치는 각종 식품성분의 영향 (The Effect of Food Components on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 박정희;최병대;김태수;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3-152
    • /
    • 1989
  • 당이나 단백질등의 식품성분이 지질의 산화와 갈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종 식품성분에 조기유, 대두유 및 난황유를 각각 9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계의 실험구를 조성하고 건계에서의 실험결과 지질산화가 촉진되었던 starch구와 억제되었던 casein구에 각각 물을 20% 첨가하여 습계의 실험구를 조성하여 $40{\pm}1^{\circ}C$보존중의 과산화물가, 카아보닐가 및 갈변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계에서의 지질산화와 갈변은 조기유 혼합구의 경우는 대두유와 난황유 혼합구에 비해 과산화물가, 카아보닐가 및 갈변도가 월등히 높았다. 식품성분별로는 glucose, sucrose 및 starch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cellulose, albumin 및 casein 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대두유 혼합구에서는 전 구분 공히 과산화물가가 낮았으며 카아보닐가와 갈변도는 glucose, sucrose 및 starch 구에서는 높게 나타났고 albumin과 casein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난황유 혼합구에서는 과산화물가가 대두유 혼합구에서보다 낮았으며 특히 albumn과 casein구는 보존9주까지 과산화물가가 측정되지 않았다. 카아보닐가와 갈변도는 대두유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습계에서의 지질산화와 갈변은 각 지질을 starch에 혼합시킨 경우 조기유 혼합구에서는 과산화물가와 카아보닐가가 건계에서 보다 낮았으며 난황유 및 대두유 혼합구에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갈변도는 건계에서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각 지질을 casein에 혼합시킨 경우 과산화물가와 카아보닐가는 각 지질 공히 건계에서보다 낮았으나 갈변도는 오히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지질의 산화와 갈변도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해 본 결과 갈변반응은 건계에서보다 습계에서 잘 일어나며 지질의 산화정도가 낮은 식품계에서 생성된 갈변반응물질은 지질의 산화에 억제효과를 나타내나 지질의 산화가 격심한 식품계에서는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보리와 맥아(麥芽)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비교(比較) 연구 -제(第)1보(報) :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조성(組成)-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Barley and Malt -I. Composition of Neutral Lipids-)

  • 신효선;이강현;이상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36
    • /
    • 1981
  • 우리 나라에서 재배된 4가치 품종의 보리와 이들의 맥아를 클로로포름-메탄올-물로 추출한 총지방질중 중성지질의 조성을 관, 얇은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 맥아중의 총지방질의 평균함량은 각각 3.3% 및 2.9%였으며, 보리중의 총지방질은 맥아에서 평균 12.2%가 감소되었다. 2. 보리와 맥아중의 총지방질중 중성지질의 평균함량은 각각 73.8% 및 68.5%였으며, 보리중의 중성지질은 맥아에서 평균 7.2%가 감소 되었다. 3. 보리의 중성지질중 트리-글리세리드와 유리지방산의 평균함량은 각각 57.5% 및 15.4%였으나 맥아에서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은 감소하였으나, 유리지방산의 양은 증가하였다. 그 외에 sterol ester, free sterol, 1,3 및 1,2-diglyceride가 보리와 맥아의 중성지질중 부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맥아중의 이들 neutral non-triglyceride fraction의 함량은 보리에서 보다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보리와 맥아의 총지방질의 주된 지방산은 리놀레산, 팔미트산및 올레산이었으며, 맥아는 보리보다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하는데 반하여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