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membrane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25초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부탄올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Butanol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의;최민경;조원기;김창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82-1087
    • /
    • 2003
  • 솔잎 추출물의 BuOH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흰쥐에 45일동안 투여하여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MF), 기초 및 유도산소라디칼(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PO) 및 산화단백질(OP), 리포푸신(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MF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에서 16∼22%의 유의적인MF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지만(p<0.01∼0.001), 간장 microsomes에서는 BuOH획분의 투여에 의한 MF의 유의적인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BOR 및 IOR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군은 각각 11∼27% 및 11∼28%의 BOR 및 IOR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p<0.05∼0.001), microsomes에서 BuOH-50, BuOH-100 투여군 및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군은 각각 l1∼24% 및 l5∼24%의 유의적인 IOR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p<0.05∼0.001, p<0.01∼0.001). LPO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100투여군과 microsomes에서는 BuOH-50, BuOH-100투여군에서 각각9%, 9∼l3%의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P<0.05∼0.01), OP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 서 BuOH-50 및 BuOH-100투여군에 서 10∼12%의 유의적인 OP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p<0.05), 간장의 microsomes에서는 유의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간장의 chloroform층에서 LF의 축적은 BuOH-50, BuOH-100투여군에서 8∼9%의 유의적인 LF의 축적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p<0.05). 따라서 솔잎 추출물의 BuOH 획분의 투여는 간장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생리적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염화탄소로 중독된 생쥐의 간독성에 대한 키토산올리고당의 효과 (Effect of Chitosan Oligosaccharide on the Mouse Liver with Toxicated by Carbon Tetrachloride)

  • 황구연;윤중식;김영호;정민주;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3호
    • /
    • pp.363-376
    • /
    • 1999
  • 사염화탄소가 간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키토산올리고당의 억제효과를 연구하고자 실험군을 3개군(group A, B, C)으로 구분하였다. A군에는 키토산올리고당(0.3% solution)을 7일간 전처치하고, 사염화탄소(0.3 ml/kg)을 복강투여 하였다. B군에는 키토산올리고당과 사염화탄소를 복강투여 하였다. C군에는 사염화탄소만을 투여하였다. 그리고 각 군은 사염화탄소 투여 후 24, 48, 72, 96시간 경과한 간세포의 변화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군에서 핵의 핵막은 전 시간대에 걸쳐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였고, 사립체도 정상소견을 보였다. 조면소포체는 48시간대까지 층판구조가 약간 파괴되었지만 리보소옴은 막에 부착된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72시간부터는 전형적인 층판구조를 이루었다. 평활막성 소포는 관찰되지 많았다. 그리고 용해소체가 72시간대까지 세포질에서 관찰되었다. 96시간대에서는 세포 소기관들이 정상적인 소견을 보여주었다. B군에서 핵막의 변형은 C군보다 비교적 덜하고, 사립체는 전반적으로 정상적인 소견을 보여주었다. 조면소포체의 일부는 층판구조를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수조가 팽대되었지만 리보소옴이 부착되어 있었다. 그리고 지방적이 24시간대에서 관찰되었다. 글리코겐이 48시간부터 세포질에서 관찰되었고, 72시간부터 용해소체도 관찰되었다. C군에서는 핵의 핵막이 전 시간대에서 매우 불규칙하고 핵질의 응축현상이 관찰되었다. 조면소포체는 층판 구조가 완전히 파괴되었고, 평활막성 소포가 세포질에서 관찰되었다. 사립체들은 비교적 독성에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24시간대부터 크고 작은 지방적이 세포질 전반에 걸쳐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키토산올리고당이 mouse간 세포에 미치는 사염화탄소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거대배아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항변이원성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Giant Embroynic Rices)

  • 강미영;이연리;고희종;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61-66
    • /
    • 2004
  • 신선찰거대배아미, 화청거대배아미 및 남풍거대배아미 등 거대배 돌연변이 계통 쌀 3종류 및 일반미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항산화 활성 및 항변이원성을 비교 검정하였다. 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및 Fenton 반응에 의해서 유도되는 hydroxy radical의 소거활성, hypo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인 superoxide radical의 소거활성, linoleic acid자동산화에 대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및 토끼 적혈구 막지질의 과산화 억제활성 둥으로써 검정하였으며, 항변이원성은 E. coli PQ 37 균주를 사용하여 화학적 변이원 mitomycin C에 대한 변이원성 억제효과를 SOS chromotest에 의해서 검정하였다. 일반미 품종에 비해서 거대배아미 품종의 항산화 활성 및 항변이원성이 모두 높았으며, 거대배아미 품종 중에서는 남풍거대배아미가 가장 효과적인 경향이 있었다. 남풍거대배아미의 DPPH radical, superoxide radical과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그리고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일반미보다 각각 2.3배, 3.3배, 1.7배 및 2.5배 정도까지 더 높았다.

Resolvin D5, a Lipid Mediator, Inhibits Production of Interleukin-6 and CCL5 Via the ERK-NF-κB Signaling Pathway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THP-1 Cells

  • Chun, Hyun-Woo;Lee, Jintak;Pham, Thu-Huyen;Lee, Jiyon;Yoon, Jae-Hwan;Lee, Jin;Oh, Deok-Kun;Oh, Jaewook;Yoon, Do-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85-92
    • /
    • 2020
  • One of the omega-3 essential fatty acids, docosahexaenoic acid (DHA), is a significant constituent of the cell membrane and the precursor of several potent lipid mediators. These mediator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preventing or treating several diseases. Resolvin D5, an oxidized lipid mediator derived from DHA, has been known to exert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the detailed mechanism underlying these effects has not yet been elucidated in human monocytic THP-1 cell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olvin D5 on inflammation-related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th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nuclear factor (NF)-κB signaling pathway. Resolvin D5 downregulate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 (IL)-6 and chemokine (C-C motif) ligand 5 (CCL5). Additionally, these inhibitory effects were found to be modulated b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NF-κB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THP-1 cells. Resolvin D5 inhibited the LPS-stimulated phosphorylation of ERK and translocation of p65 and p50 into the nucleus, resulting in the inhibition of IL-6 and CCL5 production. These results revealed that resolvin D5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in LPS-treated THP-1 cells by regulating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F-κB.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쥐에서 레스베라트롤이 자가포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veratrol on hepatic autophagy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이희재;양수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4호
    • /
    • pp.307-31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이 당뇨병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개선 효과를 가지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쥐를 대상으로 레스베라트롤을 4주간 osmotic pump를 사용하여 공급한 후 정상대조군과 고지방식이 제공 비만군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쥐를 대상으로 8 mg/kg/day의 레스베라트롤을 4주간 처리한 결과 체중 변화, 간 조직 중량, 식이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레스베라트롤은 공복 혈당, 혈청 내 인슐린,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었고, 인슐린 작용을 촉진시키는 혈청 아디포넥틴 수준을 개선시켰다. 또한, 고지방식이에 의해 높아진 간 조직 내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어 레스베라트롤이 지방간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3) 자가포식의 표지인자인 autophagosome 생성과 LC3-II 형성 분석 결과, 고지방식이에 의해 과도한 자가포식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레스베라트롤 처리는 이중막을 가지는 autophagosome 생성과 LC3-II 형성을 감소시켜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과도한 자가포식을 억제시킴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고지방식이와 함께 레스베라트롤을 제공하는 것은 당뇨병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관련 대사 인자들을 개선시키고, 이는 간에서의 자가포식 조절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

엽록체 지질 소기관의 기능과 지질대사에서의 역할 (Plastoglobule in chloroplast and its role in prenylquinone metabolism)

  • 김현욱;김은하;이경렬;정수진;노경희;김종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125-134
    • /
    • 2013
  • 최근 연구에서 엽록체의 미지의 소기관으로 알려졌던 플라스토글로뷸이 지질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이 제시되고 있다. 애기장대 플라스토글로뷸의 프로테옴 단백질 분석은 플라스토글로뷸이 단순히 지질 저장 기관으로써의 기능 뿐아니라 지질 합성 대사에 능동적으로 관여하는 소기관임을 제시하고 있다. 애기장대 플라스토글로뷸에서 34개의 단백질이 발견되었다. 이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보면 구조단백질인 플라스토글로불린과 엽록체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그리고 기능이 미확인된 단백질로 구분 된다. 이들 단백질 유전자의 돌연변이체와 리피도믹스 분석으로 이들 단백질의 기능 규명 연구가 필요하다. 토코페롤 합성의 마지막 단계에 관여하는 VTE1과 VTE4는 엽록체에서 각기 다른 위치에 존재하여 VTE1은 플라스토글로뷸에 존재하나 VTE4는 엽록체 내막에 존재한다. 이 같은 사실은 프레닐퀴논 대사물질이 엽록체 내에서 이동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플라스토글로뷸이 엽록체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있어 필수적인지에 대한 유전학 연구가 앞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다양한 스트레스와 발달단계에 따른 플라스토글로뷸의 프로테옴 분석은 지질대사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신규 단백질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지금까지 결과로는 플라스토글로뷸은 프레릴퀴논 대사에 있어서 교차로 역할을 함을 제안하고 있다.

Ultrastructure of Oocytes During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Follicle Cells in Female Sinonovacula constricta(BIVALVIA: PHARIDAE) in Western Korea

  • Chung, Ee-Yung;Ko, Cheol-Hwan;Kang, Hee-Woong;Choi, Ki-Ho;Jun, Je-Che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313-319
    • /
    • 2008
  • The ultrastructure of oocytes during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follicle cells in female Sinonovacula constricta(Lamarck, 1818) were investigated by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Ovarian follicles are surrounded by a matrix of vesicular connective tissue cells(VCT cells). VCT cells contain large quantities of glycogen particles and several lipid droplets in their cytoplasm. It is suggested that VCT cells act as a source of nutrients for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In early vitellogenic oocytes, several coated vesicles, which appear at the basal region of the oocyte, lead to the formation of membrane-bound vesicles via endocytosis. The uptake of nutritive materials in coated vesicles formed by endocytosis appears through the formation of coated pits on the oolemma during vitellogenesis. During the late stage of oogenesis, yolk precursors(yolk granules), mitochondria and lipid droplets are present in the cytoplasm of late vitellogenic oocytes. In particular, proteinaceous yolk granules containing several different components are intermingles and form immature yolk granules. In the mature oocyte, small immature yolk granules are intermingled and form large mature yolk granules. Vitellogenesis occurs through a process of autosynthesis, involving combined activity of the Golgi complex,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in the cytoplasm of vitellogenic oocytes. The process of heterosynthesis is where extraovarian precursors are incorporated into oocytes by endocytosis at the basal region of early vitellogenic oocytes before the formation of the vitelline coat. Follicle cells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itell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The functions of attached follicle cells to the oocyte during oocyte degeneration are phagocytosis and digestion of phagosomes originating from oocyte degeneration. After digestion of phagosomes, it is assumed that the function of follicle cells can permit a transfer of yolk precursors necessary for vitellogenesis and allows for the accumulation of glycogen and lipid during oocyte degeneration, which can be employed by vitellogenic oocytes. Follicle cells of S. constricta may possess a lysosomal system for induction of oocyte breakdown and might resorb phagosomes in the cytoplasm for nutrient accumulation during oocyte degeneration.

유지방의 특성과 변화 (Characterization and Modification of Milk Lipids)

  • 여영근;최병국;임아영;김효정;김수민;김대곤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119-136
    • /
    • 1998
  • 젖은 모든 새로 태어난 동물의 많은 필수영양소와 에너지를 공급해 주며, 유제품의 가공에 영향을 주는 독특한 물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의 유지방에 존재하는 주요 혹은 미량 성분의 조성과 구조를 비교하고, 갖 태어난 어린 동물의 영양요구량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젖의 내용물과 조성은 동물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이는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하기 위한 진화과정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에 따라 젖의 지방종의 분포는 유사하지만 지방산의 조성은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특이하다. 이는 각종 동물의 식이에서 오는 지방산과 유선에서 생합성된 지방산의 성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특징적으로 젖의 지방산은 다른 조직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짧은 사슬지방산과 중간 사슬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동물에서 젖의 주요 지방인 중성지방은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유는 어린 동물에 많은 필수영양소와 에너지를 공급해준다. 이러한 영양소들은 우유가공 중 많은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준다. 우유의 주요물질과 미량물질을 비교함으로써 신생동물에 영양요구량을 예견할 수도 있다. 우유의 조성분은 동물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그것은 주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진화된 과정 중에 생겨난 것이다. 우유의 지방종 분포는 비슷하지만 지방산의 조성은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특성이 있다. 이들 지방산 유선에서 합성되거나 사료섭취에 의한 것이다. 특징적으로 우유에서 발견되는 짧은 지방산과 긴 사슬의 지방산은 다른 조직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 우유에 주요 지방인 중성지질은 동물의 종류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지만 구조는 비슷하다. 실제로 우유 중의 지방구 형성과정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세포의 ER로 부터 유례된 TG를 함유한 소포체가 지방구의 핵을 이룬다는 지적이 있다. 최근에는 각종 혈관질환관련 질병의 증가로 우유의 지방산을 해양동물에서 온 EPA나 DHA와 같은 불포화지방산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 PDF

Effects of Flavonoids of Ginseng Leaves on Erythrocyte Membranes against Single Oxygen Caused Damage

  • Park, Soo-Nam;Choi, Sang-Won;Boo, Yong-Chool;Kim, Chang-Kew;Lee, Tae-Young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0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Korean Ginseng, 1990, Seoul, Korea
    • /
    • pp.49-57
    • /
    • 1990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extended exposure to reactive oxygens causes severe damage to susceptible biomolecul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lavonoids including trifling and kaempferol from Ginseng leaves on single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erythrocyte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 Each flavonoid aglycone (5-50UM) such as kaempferol, quercetin or baicalein exhibited a high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photohemolysis. They protected the cells by scavenging 102 and free radicals. Although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lavonoid glycosides were not much lower than those of their corresponding aglycones, their insolubility into lipid bilayers of membrane made them les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photohemolysis induced by 1O2. The 102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lavonoids were estimated by the decomposition of the flavonoid by 1O2 and the bleaching of free radicals by the flavonoid, respectively. The solubilization of the flavonoid into micelle or erythrocytes was deduced from spectrophotometric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The cooperation of L-ascorbic acid and a flavonoid, and a possible involvement of lipoxygenase or cyclooxygenase in the photohemolysis mechanism were discussed. Keywords Panax ginseng C.A Meyer, ginseng leaves, flavonoids, singe1 oxygen, Photohemolysis.

  • PDF

Fumonisin B1 Induces Apoptosis in Sphingosine 1-Phosphate Lyase-null F9 Cells through Increase of Sphingolipids Levels

  • Pak, Seon-Mi;Park, Nam-Young;Park, Myung-Yong;Kim, Wan-Jong;Lee, Jong-Hwa;Oh, Sei-Kwan;Yoo, Hwan-Soo;Lee, Yong-M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2호
    • /
    • pp.95-99
    • /
    • 2008
  • Apoptosis is essential for a variety of pathophysiological progress. Apoptosis induction by various agents changes cellular morphology, DNA content and lipid membrane composition. Recently, sphingosine 1-phosphate (S1P) is avidly released from not only platelets and erythrocytes but vascular endothelium. Here we established S1P releasing cells by deleting S1P lyase (F9-12 cells). We observed apoptosis induction by the treatment of fumonisin B1 (FB1) in F9-12 cells but not in F9 wild-type cells. We measured high amounts of accumulated S1P and dihydroS1P (DHS1P) in FB1-induced apoptotic F9-12 cells. We also showed DHS1P release in an early stage of the apoptosis induction by FB1 but not by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induced apoptosis, suggesting differential apoptotic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