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emulsion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1초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2. 말쥐치 내장유의 이용 (Studies on the Refining and Utilization of Filefish Viscera Oil 2. Utilization of Filefish Viscera Oil)

  • 강훈이;대도해명;소천천추;김동연;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1-186
    • /
    • 1992
  • EPA 및 DHA 함량이 높으면서 폐기되고 있는 말쥐치 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정제한 말쥐치내장유를 정어리 및 명태고기풀에 각각 첨가하여 어묵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말쥐치내장유의 첨가로 인해 어묵의 지질은 고기풀의 지질에 비하여 5~6% 증가하여 지질산패가 우려되나, 대두단백, 물 및 말쥐치내장유로 유화커어드 (emulsion curd)를 만들어 고기풀에 첨가함으로 인해 산소와의 접촉 기회를 줄이면서 항산화제인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하고 저온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대두유로 만든 어묵과 비교하여 지질산패도는 높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말쥐치 내장유를 첨가한 어묵의 조직감은 첨가하지 않은 어묵에 비하여 개선되었고 또한 저장중에도 안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영양학 및 생리학적 기능이 우수하면서 튀김유 등으로 소비가 곤란한 정제 말쥐치내장유를 저온저장 식품인 어묵, 어육소시지 등에 일정량 첨가하여 제조한 후 일상식으로 섭취한다면 폐기되는 말쥐 내장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국민보건 향상에도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 PDF

정어리를 기질로 제조한 Koji의 Lipase활성과 지질성분 (Studies on the Lipase Activity and Lipid Components of the Molded Sardine Meal 'Koji')

  • 김동수;소천천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76-481
    • /
    • 1994
  • 액젓 제조시 발효를 촉진하기 위하여 정어리를 기질로한 코오지를 제조하고 이것으로 부터 추출한 조효소액인 lipase의 pH 및 온도의존성과 코오지의 구성지질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Lipase의 최적 활성을 나타내는 pH는 $7{\sim}8$이었으며 pH 5.0 이하와 9.0 이상이 되면 활성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최적온도는 $40^{\circ}C$ 부근이였다. pH 및 온도에 변화에 따른 활성잔존율을 조사한 바 pH $6{\sim}9$ 범위에서 $90{\sim}100\%$, $40^{\circ}C$에서 1시간 가열처리했을때 약 $80\%$의 잔존율을 보였고 $50^{\circ}C$ 이상이 되면 잔존율은 크게 감소하여 $50^{\circ}C$$10\%$, $60^{\circ}C$$3\%$의 잔존율을 보였다. 코오지 지질 조성은 중성지질은 triglyceride가 $53.4\%$ 유리지방산은 $28.1\%$로 전체 중성 지질의 $81.5\%$를 차지하였고 인지질은 phosphatidylethanol이 $32.7\%$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phosphatidylinositol이 $25.5\%$, phosphatidylcholine이 $25.1\%$였고 그 외 lyso-phosphatidyl-choline, sphingomyeline 등도 $7.3\%$$3.5\%$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총지질과 중성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16:0, 22:6, 18:1n-9, 18:2n-6 및 20:5이였고 인지질의 경우는 22:6이 중성지질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16:0, 18:2n-6 및 20:5로 나타났다.

  • PDF

유화커드를 이용한 연어 패티의 DHA 강화 및 이의 식품성분 특성 (DHA Enrichment of Salmon Patty using Emulsion Curd and Its Component Characteristics)

  • 허민수;김형준;윤민석;박권현;신준호;이태기;김정균;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5-292
    • /
    • 2010
  • To prepare high-quality fast foods using salmon, this study developed a docosahexaenoic acid (DHA)-enriched salmon patty, and compared its quality with soybean oil-added patty and commercial patty. The moisture and lipid contents of the DHA-enriched patty were 61.9% and 7.7%,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was lower than in the commercial patty, while the lipid content was higher. The lipophilic and hydrophilic browning indices of the DHA-enriched patty were 0.10 and 0.05,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mmercial patty. The DHA-enriched patty had 5% less trichloroacetic acid (TCA)-soluble nitrogen than the commercial patty, and it was firm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browning indices, TCA-soluble nitrogen content, and hardness between the soybean-added and DHA-enriched patties prepared in this experiment. Examin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patties, the saturated acid and monoenoic acid composition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DHA-enriched patty > soybean oil-added patty > commercial patty, while the polyenoic acid composition increased in that order.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DHA-enriched patty was 19.13 g/100 g, which was 32% higher than that of the commercial patty (14.47 g/100 g). No enriching effect of minerals would be expected on eating a 100 g DHA-enriched patty, except for phosphorus.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DHA-enriched patty was superior in color and taste to the commercial patty,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flavor between the patties.

인돌을 이용한 잔류성 농약 endosulfan의 소장 흡수 억제 연구 (A study to reduce the intestinal transport of endosulfan by indole)

  • 공대철;김주연;최한솔;노상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96
    • /
    • 2014
  • Endosulfan은 높은 잔류성과 소수성을 가진 유기염소계 잔류성 농약이다. 이 연구는 십자화과 식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고 심혈관계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인돌을 이용하여 소장에서 endosufan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흰쥐를 이용해서 37 kBq의 $^{14}C$-endosulfan이 함유된 지질유화액을 시간당 3 mL씩 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받은 동물군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인돌이 함유된 지질유화액을 같은 조건에서 공급받은 동물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8시간 동안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림프순환계로 흡수된 대조군의 $^{14}C$-endosulfan 양에 비해 인돌을 공급받은 실험군의 $^{14}C$-endosulfan의 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콜레스테롤의 흡수도 인돌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8시간 동안 흡수되지 않고 장벽에 잔류하는 $^{14}C$-endosulfan 양이 인돌을 공급받은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림프순환계로의 endosulfan 흡수 감소현상은 인돌공급에 의해 소장의 점막에 잔류하는 endosulfan의 양이 증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십자화과 식물에 존재하는 인돌 성분의 섭취가 대표적인 잔류성 농약인 endosulfan의 소장에서의 흡수를 감소시켜 체내 잔류 저감화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이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이컨티니어스 큐빅상 액정의 생성과 자기조직화 (Self Assembly and Formation of Bi-continuous Cubic Liquid Crystalline Phase)

  • 김인영;최화숙;이소라;최성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78-485
    • /
    • 2014
  • 이 연구는 경표피흡수를 위하여 큐빅액정의 자기조직체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복수 수산기(-OH)를 가지는 친수부에 4개의 메칠 그룹을 가지는 양친매성지질인 diglyceryl phytylacetate (DGPA)를 합성하여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DGPA의 유화력은 1%의 적은 농도에서도 고 내상의 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W/O water-in-oil)에멀젼이 유지되었다. DGPA, dimethicone (2CS), water의 3성분계의 특정영역에서, 안정한 큐빅상의 액정이 형성되었다. 3상 구조도 작성을 통하여 큐빅 액정영역, 헥사고날 영역, 물과 헥사고날이 혼제된 영역, 역미셀 영역을 확인하였고, SAXS (small angled x-ray scattering)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증명하였다. 화장품의 응용으로, 큐보좀 (cubosome)에 10%의 마그네슘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 5%의 피리독신트리헥사데카노에이트를 봉입하여 캡슐화하였다. 큐보좀의 occlusive 효과는 역미셀(reverse micelle)보다 1.7배 우수한 효과를 가졌다. 큐보좀을 분산제인 poloxamer를 사용하여 W/O 에멀젼을 만든 것으로부터 큐빅구조의 액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따라서, DGPA의 양친매성지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큐빅상의 액정을 형성하는 기재로써 화장품 산업과 의약품분야에서 경표피흡수제로써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Lotus (Nelumbo nucifera) Rhizome as an Antioxidant Dietary Fiber in Cooked Sausage: Effect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Ham, Youn-Kyung;Hwang, Ko-Eun;Song, Dong-Heon;Kim, Yong-Jae;Shin, Dong-Jin;Kim, Kyung-Il;Lee, Hye-Jin;Kim, Na-Rae;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9-227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emulsion sausag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lotus rhizome powder (0, 1, 2, and 3%, based on total weight). Lotus rhizome powder had no significant (p>0.05) impact on pH, moisture, protein, or ash content of sausage. However, fat content was slightly but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when the level of lotus rhizome powder was increased in the sausages. The addition of lotus rhizome powder to sausages at over 1% resulted in significantly (p<0.05) darker and less red color of cooked sausage compared to control. Increase in lotus rhizome level slightly improved the emulsion stability and apparent viscosity. Significant (p<0.05) reduction in cooking loss was observed when more than 1% of lotus rhizome powder was added to sausages. The textural properties of sausages were unaffected by the inclusion of lotus rhizome except for springiness and chewiness. On the manufacture day, control sausage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TBARS value than treatments. Regarding sensory characteristics, increased levels of lotus rhizome powder decreased (p<0.05) color and juiciness scores. However, cooked sausages exhibited similar overall acceptability regardless of the level of lotus rhizome powder added to sausages. Therefore, lotus rhizome powder, an antioxidant dietary fiber,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ingredient in meat products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ier and functional food.

Effect of fermented blueberry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volatile molecule profiles of emulsion-type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Zhou, Hengyue;Zhuang, Xinbo;Zhou, Changyu;Ding, Daming;Li, Chunbao;Bai, Yun;Zhou, Guangh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5호
    • /
    • pp.812-824
    • /
    • 2020
  • Objectiv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assess the effect of fermented blueberry (FB; 2%, 4%, and 6%)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volatile molecule profiles of emulsion-type sausage stored at 4℃ for 28 days. Method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FB was determined throug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gainst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radicals. Four formulations of sausage treatments with different FB levels (0%, 2%, 4%, 6%) were prepared, then peroxide value (POVs),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protein carbonyls and thiol groups were measured. The aroma profiles of sausages for each treatment was also determined. Results: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icated that FB had greater scavenging ability than ascorbic acid against DPPH and hydroxyl radicals. Sausages with FB significantly retarded increases in POVs and TBARS, as well as in the content of protein carbonyls during all storage days (p<0.05). Particularly, 4% and 6% FB-treated sausages had better oxidation inhibition effects. However, FB accelerated the reduction in thiol groups (p<0.05). Additionally, FB inhibits the excessive formation of aldehyde compounds; for example, hexanal, which may cause rancid flavors, decreased from 58.25% to 19.41%. FB also created 6 alcohols (i.e.,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and phenylethyl alcohol), 5 ester compounds (i.e., ethyl acetate, ethyl lactate, and ethyl hexanoate) and 3-hydroxy-2-butanone in the sausages that contribute to sausage flavor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aroma profiles of sausages with and without FB are easily identified. Conclusion: The addition of FB c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lipid and protein oxidation and improve oxidative stability for storage. Also, adding FB could inhibit rancid flavors and contribute to sausage flavors.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 (Formation and Stability of Nanoemulsion Containing CoQ10 by Mechanical Emulsification)

  • 유인상
    • 공업화학
    • /
    • 제23권5호
    • /
    • pp.467-4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레시틴, 에탄올, 오일, Arlacel 60 (sorbitan monostearate)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최근 화장품과 식품의 원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피부의 노화방지용 항산화물질인 코엔자임 Q10 (CoQ10)를 기능성 원료로 함유하는 나노 에멀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에멀젼 제조방법으로는 반전유화법(phase inversion emulsion method)과 초음파를 이용한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때 에탄올과 레시틴의 영향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안정성과 그 밖의 각종 변수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자의 크기, 제타전위, 에멀젼의 형태와 같은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해 보았다. 최소크기의 나노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한 CoQ10의 최적 배합농도는 0.8% 정도였고, 계면활성제로서 Arlacel 60 농도에 따른 입자크기의 영향을 보면 3% 정도에서 100 nm 크기의 에멀젼 입자들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사용한 최적의 계면활성제 농도범위(2% 이상)에서는 7일 정도가 지난 시점까지 Ostwald ripening 에 따른 입자의 크기 변화가 없었다. 장시간의 경과에 따른 실험을 보면 에멀젼들은 실온에서 270일이 지난 상태에서도 115 nm로 10% 정도만의 크기 변화를 보여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에멀젼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제타전위 측정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입자크기의 변화는 응집(flocculation)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질산나트륨 및 비타민 C 대체로 첨가한 수벌번데기 분말이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one Pupa Meal Added as Replacement of Sodium Nitrite and Vitamin C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 강선문;맹아란;성필남;김진형;조수현;김윤석;최용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02-810
    • /
    • 2018
  • This study estimated the effect of drone pupa meal (DPM) added as replacement of sodium nitrite (SN) and vitamin C (VC)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Samples were prepared either with 150 ppm SN+200 ppm VC (control); 75 ppm SN+100 ppm VC+6.015% DPM (T1); or 12.03% DPM (T2) and then stored at $4^{\circ}C$ for 30 days. The pH value decreased (p<0.05) with increase in the levels of DPM. Moisture and protein content decreased (p<0.05) but fat and ash content increased (p<0.05) with higher levels of DPM. T1 and T2 had higher (p<0.05) 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and lower (p<0.05) unsaturate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compared to the control. Lower (p<0.05) $L^*$ and $a^*$ values and higher (p<0.05) $b^*$ and $h^{\circ}$ values were exhibited in the T1 and T2 than in the control; and $C^*$ value was the lowest (p<0.05) in T2. The TBARS content was the highest (p<0.05) in T2, especially, 2 times higher (p<0.05) than in the control. T1 and T2 had harder (p<0.05) texture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PM has no replacement effects against SN and VC in emulsion-type sausage, but it has negative effects on color, lipid oxidation stability, and texture.

수산가공공장폐액의 등절점이동 응집처리에 의한 유용성불재회수이용 -3. 회수지방의 가공식품소재로서의 이용- (Recovery and Utilization of Proteins and Lipids from the Washing Wastewater in Marine Manufacture by Isoelectric Point Shifting Precipitation Method -3. Utilization of the Recovered Lipids as the Material for a Processed Food-)

  • 서재수;조순영;손광태;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7-162
    • /
    • 1995
  • 냉동고기풀 제조공정중 나오는 수세폐액내 잔존지방을 등전점이동응집처리법으로 효율적으로 회수한 뒤, 적절히 정제하여 식품가공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 타진을 시도하였다. 1. 등전점이동응집처리에 의한 수세폐액내 지방의 회수율은 처리 원료 육내 지방함량 기준으로 $33.6\%$정도이었고, 회수과정중에 다소 지방산화가 진행되었으나 이후의 정제 공정으로 그 산화생성물을 거의 제거할 수 있었다. 2. 회수 정제한 지방의 조성은 모노엔산 $34.0\%$, 폴리엔산 $32.4\%$ 및 포화산 $33.6\%$의 비율이었으며, 주요구성지방산은 $C_{16:0},\;C_{18:0},\;C_{16:1},\;C_{20:5}$$C_{22:6}$ 등이었다. 3. 마요네즈제조시 회수 정제한 기름을 주원료인 대두유에 대해 부분적으로 대체 첨가해 본 결과, 점도, 색조 및 유화안정성면에서 일부 미약하게 느껴지는 어취만 보완한다면 $30\%$까지 대체 첨가가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고등어육 고기풀제조시 필연적으로 나오는 수세액에 대해 등전점이동응집처리를 행하여 잔존유지를 회수하여 정제함으로써 마요네즈 제조용 원료유지의 대체원으로서 충분히 이용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