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droplets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8초

만성 알코올 처리 쥐에 대한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을 함유한 콩나물 혼합물의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Effects of a soybean sprouts mixture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fruit concentrate on hangover relief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in chronically alcohol-treated rats)

  • 허지안;민혜지;박울림;김정호;원영선;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86-498
    • /
    • 2024
  • 본 연구는 만성 알코올 유도 쥐에 대한 1.5%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이 첨가된 콩나물 혼합물의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을 함유한 콩나물 혼합물군(SHM) 내 ampelopsin 및 L-asparagine의 함량은 10.52, 35.19 ppm으로 확인되었으며, 만성 알코올 급여에 의해 체중 변화량이 감소하고, 간 중량은 증가한 반면 SHM 처리시 유의적으로 체중 변화량이 증가하였으며, 간 중량이 감소하였다. 혈중 alcohol 및 acetaldehyde의 농도는 SHM군에서 2.89, 0.53 g/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간 조직 ADH 및 ALDH의 활성은 SHM군에서 33.11, 102.06 U/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만성 알코올 유도는 ALT, AST 및 GGT와 같은 간 기능 지표 효소들의 활성을 증가시켰지만, SHM 처리시 각각 41.00, 130.83 및 0.47 U/L로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 및 혈중 triglyceride 함량은 SHM군에서 1.45와 33.00 mmol/L로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났고, 만성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혈중 total cholesterol 및 LDL cholesterol 함량은 SHM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만성 알코올 투여로 인해 감소된 혈중 HDL cholesterol 함량은 SHM 처리시 증가하였다. 간 조직을 형태학적 및 병리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만성 알코올 유도군의 간 조직은 형태학적 관찰에서 황갈색을 띠었고, 병리학적 관찰에서는 지질방울의 크기 및 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SHM 처리시 형태학적으로 관찰한 간 조직의 색은 적갈색으로 나타났고, 병리학적으로 관찰한 간 조직의 지질방울 크기 및 수는 감소하였다. SHM군의 간 조직 및 혈중 지질 과산화 함량은 677.68, 76.26 nmol/g으로 가장 낮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간 조직 및 혈중 GSH 함량은 SHM군에서 가장 높은 값인 19.93 및 20.08 μmol/kg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콩나물 또는 헛개나무 열매의 단일 섭취보다 혼합하였을 때 ampelopsin 및 asparagine과 같은 유효성분들의 시너지에 의해 SHM군에서 증진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능성 식품 소재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일과성 허혈 및 허혈후 재관류가 기니픽 심실심근세포의 미세구조 및 칼슘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hanges of the Ultrastructure and $Ca^{2+}$ Distribution after Transient Ischemia and after Reperfusion in the Myocardial Cells of Isolated Perfused Guinea Pig Hearts)

  • 김용문;김호덕;라봉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19권1호
    • /
    • pp.1-18
    • /
    • 1989
  • 허혈로 인하여 손상을 받은 심근세포의 기능을 재건하기 위하여 재관류가 반드시 이로운가하는 것에 대하여는 논란이 많다. 따라서 저자는 체중 500그람 내외의 기니피그를 실험재료로 하여 일과성허혈(10분) 및 일과성허혈후 재관류시(20분) 좌심실 심근세포의 미세구조 및 칼슘분포의 변화를 비교관찰하여 재관류가 심근세포재건에 어느정도 도움을 줄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심근세포의 미세구조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었으며 심근세포막 및 사립체내에서 20nm 크기 정도의 칼슘침착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일과성허혈후, 대부분의 심근세포에서는 세포막손상, I 대의 확장, 사립체의 종창, 세포내 수분축적, 당원과립의 고갈, 지방소적유령(ghost)의 출현, 염색질의 응집 및 변연부로의 이동, 세포연접의 분리 등의 미세구조의 변화와 심근세포막 및 사립체내에서 칼슘침착의 현저한 감소를 볼 수 있었으나, 비가역성의 변화는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허혈후 재관류시 일부의 심근세포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많은 세포에서 이러한 미세구조의 변화는 보다 심해져 국소적으로 근절(sarcomere)의 과이완 및 striation pattern의 소실, 세포부종 등이 현저해졌으나, 세포막 및 사립체내에서는 대조군에서와 같이 칼슘침착이 재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일과성허혈후 재관류는 심근세포의 칼슘 조절기능 회복에 어느정도 도움을 줄 수 있으나 허혈성 손상을 악화시킬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초균 발효누에 추출물이 알코올성 지방간 유발 흰쥐에 미치는 간 기능 개선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Bacillus subtilis-fermented Silkworm (Bombyx mori L.) Extract on an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 김태훈;안희영;김영완;심소연;서권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97-707
    • /
    • 2018
  • 본 연구는 누에 분말을 단백질 분해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균주로 발효하여 얻은 발효누에 추출물(BSP)을 식이 중에 각각 1%, 2.5%, 5% 수준으로 첨가하여 알코올 투여와 함께 4주 동안 흰쥐에 급여한 후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알코올 급여로 인해 증가된 혈중 AST, ALT, ALP 및 LDH 활성은 BSP5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누에 추출물은 간 조직 및 혈중 중성 지질 농도를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켜주고, 간 조직 내 ADH, ALDH 활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 내 과산화지질 함량을 측정해본 결과 BSP5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 조직의 병리학적 관찰 결과 알코올 투여 대조군은 간세포 내 지방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였으나 BSP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지방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고초균 발효누에 추출물은 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개선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흑염소에 있어서 DL-Ethionine으로 유발시킨 지방간에 관한 연구 (Clinical Pathologic Study on DL-Ethionine Induced Fatty Liver in Korean Black Goats)

  • 이경갑;최희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7-142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atty liver in Korean black goats. Adult female goats were divided into 3 test groups(A, B and C). Group A and B of goats each received 3 test consecutive daily doses of DL-ethionine at 75mg/kg and 150mg/kg body weight, respectively. Group C of goats was given 3 consecutive doses of the compound every 48 hours at 150mg/kg body weight. The clinical symptoms, hematological values, serum chemical values and histopathological study of the liver were investigated in the test animal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Fatty liver were observed in every test animal. 2. Some clinical symptoms( anorexia, depression) were appeared from 1st day to 7th day after administration of the compound in every test animal. In addition to these symptoms, diarrhea and salivation were generally observed in test animals which were given the compound at 150mg/kg body weight. The degree of these symptoms was dose dependent. 3.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s in total WBC counts and fibrinogen values in the blood of test goats. The PCV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5th day of dosing in group A and B of goats. 4. The total lipid value was not changed but the concentration of NEF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3rd day of dosing with the compound and returned to normal value after 10 days hereafter. The value of triglycerid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1st day and returned to normal value on 3rd day of dosing. The value of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3rd day and returned to normal value on 10th day after treatment. 5. Total protein level was decreased on 10th day of dosing in the groups of B and C, and billirubi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7th day of dosing in every test group and returned to normal level after 13th day of administration. 6. The activity of GGT in serum was not changed while the activities of SDH and A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very test goat and those values were returned to normal after 10~13th day of trestment. 7 The 35K-protein fraction in serum was not detect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but this protein fraction was detected by the same method after treating the 21st and 22nd fraction which were obtained by column chromatography with Sephadex G-100. 8. The affected liver was congested and swollen on 3rd day, and yellowish brown in color and mottled appearance on 7th day of treatment. Histopathologically, fat droplets were common in the hepatocytes, this change was intensive on 7th day after treatment in group B and C. Hepatic cell necrosis was observed in some livers but this pathological change was disappeared and returned to normal after 13 days of treatment.

  • PDF

지역 특산 천연산물 전호, 파고지, 희첨 및 산수유의 항비만효과 규명 (Exmination of Anti-Obesity Effect of Regional Special Natural Products of Anthrisci radix, Psoraleae semen, Siegesbeckiae herba and Corni fructus)

  • 신진혁;차구용;김희진;황재호;한경호;서효진;신태선;오석중;김종덕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49-55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신생혈관형성 제어에 바탕을 둔 비만세포제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4가지 지역 천연산물인 전호(Anthrisci radix), 파고지 (Psoraleae semen), 희첨 (Siegesbeckiae herba) 및 산수유 (Corni fructus)를 이용한 지방 축적물 변화 및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3T3-L1 adipocyte를 이용한 Oil Red O 염색 및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호, 파고지, 희첨, 산수유의 세포 독성 이내의 농도 증가에 따라 지방 축적물이 감소됨을 보였다. 또한 western blot을 위해 lipogenesis와 관련된 SREBP-1 및 adipogenesis와 관련된 $PPAR\gamma$와 C/$EBP\alpha$의 신호전달 정도를 확인한 결과 4가지 지역 천연산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단백질의 발현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4가지 지역 천연산물 추출물이 지방분화와 관련된 신호분자를 차단함으로써 지방형성이 억제되었음을 보였다. 따라서 4가지 지역 천연산물인 전호, 파고지, 희첨 및 산수유는 신생혈관형성 억제에 따른 항비만제제로서의 이용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韓國産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消化器官의 微細構造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Organ (Pharynx, Caeca) of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wakatsu))

  • 장남섭;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11-226
    • /
    • 1985
  • 실험에 사용한 플라나리아는 Dugesia japonia Ichikawa et Kawakatsu로서 核型分析에 의하여 種을 확인하였다. 이 種의 咽頭 및 腸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세포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行하였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는 hematoxylin-eosin, periodic acid-Schiff(PAS) 反應, alcian blue(pH 2.5), PAS-alcian blue 反應 그리고 methylene blue-basic fuchsin등으로 염색을 시행하고, 光學顯微鏡으로 관찰하였으며 또한 各部位의 微細構造를 透査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咽頭(pharynx) 內腔上皮는 遊離面에 미세융모를 가지고 있었다. 세포질에는 PAS반응에 양성을 나타내는 약 0.4$\\times$0.6 $\\mum$의 과립들이 있고, 小胞 및 液胞가 분화되어 있었다. 핵은 基底部 쪽으로 치우쳐져 있고 基底膜은 관찰되지 않았다. 咽頭外腔의 咽頭 측상피에서는 섬모와 미세융모가 발달되어 있었고 上皮內側에는 근육층이 발달되어 있었다. 咽頭外腔을 둘러싸는 壁側上皮細胞에서는 미세융모가 관찰되었고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2. 腸(caeca) 腸上皮細胞는 食細胞와 顆粒性棍棒體細胞 그리고 이 세포들을 둘러싸고 있는 貯藏細胞와 幼若貯藏細胞로 구성되어 있었다. 1) 食細胞(phagocytic cell) 세포질에는 비교적 많은 lysosome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無顆粒性小胞體와 mitochondria등의 細胞小器官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특히 無顆粒性小胞體의 cisternae는 대부분 팽윤되어 있었고 polyribosome도 풍부하게 관찰되었다. 2) 顆粒性棍棒體細胞(granular club cell) 세포질에는 PAS 반응에 강한 양성을 보이고 또 약한 eosinophilia도 나타내는 약 5 $\\mum$의 球形의 과립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특히 顆粒性小胞體가 잘 발달되어 있어TEk. 3) 貯藏細胞(storage cell) 세포질내에는 glycogen 과립들과 PAS에 각기 다른 정도의 양성반응을 보이는 다수의 中性多糖性 과립과 脂肪顆粒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4) 幼若貯藏細胞(immature storage cell) 세포질에는 PAS반응에 양성을 보이는 소수의 작은과립과 脂肪顆粒이 내포되어 있으며 세포질에 비하여 핵은 매우컸다. 핵막 주위의 세포질에서는 chromatoid body들이 관찰되었다.

  • PDF

發情週期에 따른 Guinea Pig의 子宮內膜 表層上皮細胞의 微細構造 및 細胞化學的 硏究 (Ultrastructural and Cytochemical Studies on the Endometrial Surface Epithelial Cells of Guinea Pig During Estrous Cycle)

  • Park, Choon K.;Kwan H. You;Young K. Deung;Lee, Choon K.;Ho S. Chu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28
    • /
    • 1982
  • Guinea pig의 發情週期를 發情前期, 發情期, 發情後期, 그리고 發情間期의 4단계로 구분하여 子宮內膜의 表層上皮細胞에 있어서의 미세구조상의 변화와 이 세포들의 acid phosphatase, alkaline phosphatase 그리고 adenosine triphosphatase의 활성의 변화를 細胞化學的인 방법에 의하여 관찰하였고 발정주기에 따른 자궁내막표층상피세포 표면의 미세구조 변화를 走査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表層上皮細胞들은 발정기와 발정간기에서 單層圓柱形이며 발정기와 발정후기에서는 多列上皮組織으로 관찰되었고 발정전기에서 핵과 세포질의 비율이 크고 발정기에서는 세포와 핵들이 신장된 형태를 보이며 세포질이 증가하여 세포질이 子宮腔에 돌출된 모습이 관찰된 반면 발정후기와 발정간기에서는 세포의 길이가 작아졌다. 2. 細胞質내의 세포기관들은 발정기에서 미토콘드리아 및 유리리보좀의 증가와 粗面小胞多層版 構造物, 脂肪適, 리소조옴들이 다수 출현하였다. 3. 走査電子顯微鏡에 의한 연구로써 발정전기와 발정기에서 자궁내막의 표층상피세포들의 표면 미세구조는 세포의 境界가 뚜렷하였으며 특히 발정기에서는 多角形의 세포가 규칙적인 배열을 보였고 세포표면이 자궁강에 돌출된 구조를 나타냈으며, 발정후기와 발정간기의 표면은 편편하며 세포의 경계가 뚜렷하지 못하였다. 4. 微細絨毛는 발정기에서 가장 조밀하고 길게 發達된 반면에 발정후기와 발정간기에서는 짧은 미세융모가 관찰되고 數적인 면에서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 5. 전자현미경에 의한 효소활성의 관찰 결과 acid phosphatase는 발정후기에서 미세융모와 공포, alkaline phosphatase는 발정후기때 미세융모, 세포표면, 그리고 측면세포막에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ATPase의 경우 발정전기와 발정기에서 미세융모와 세포막에 높은 활성을 보였다

  • PDF

한국 서해산 암컷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성 성숙 (Ultrastructural Study of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and Sexual Maturation of the Female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23-31
    • /
    • 2005
  •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난자 형성과정 중 난황 형성, 생식주기 및 군성숙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골지복합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지방적 및 난황 과립의 형성에 관여되었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세포에서는 조면소포체와 다포체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 형성에 관여되었다. 성숙 단계 난모세포에서 성숙 난황 과립은 주소체(중앙중심), 표면층,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한계막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산란기는 5월과 8월 사이이고, 주 산란은 수온이 대략 $18{\sim}23^{\circ}C$로 상승하는 6월과 7월 사이에 일어나고 있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9{\sim}10$월), 후기 활성기($9{\sim}2$월), 완숙기($2{\sim}6$월), 부분 산란기($5{\sim}8$월), 회복기($6{\sim}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군성숙도는 각고 $51.0{\sim}60.9mm$에서 53.1%이었고 각고 61.0mm 이상에서는 100%를 나타내었다.

  • PDF

실험적 간섬유화에서 Fat-storing Cell의 미세구조의 변화에 대한 연구 (Ultrastructural Changes of Fat-storing Cells in Experimental Hepatic Fibrosis)

  • 김미진;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224-238
    • /
    • 1992
  • 간 섬유화에서 fat-storing cell의 변화를 미세 구조학적 측면에서 관찰하고자, 사염화탄소를 mineral oil에 녹여 1 : 1로 회석한 후 Kg당 0.5 ml의 용량을 주 2회씩 12주간 흰쥐에 복강 주입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1주 간격으로 도살하고, 적출된 간조직을 광학현미경과 연역조직화학적 검사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적 소견상 소엽 중심주의 염증 반응 및 세포 침윤 현상은 사염화탄소 투여 후 1주부터 나타나서 4주 째 가장 심하였으며, 이시기에 desmin염색 반응 양성세포의 수도 증가되었다. 괴사 및 섬유화는 2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6주부터 결절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괴사성 병변은 8주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세포 침윤 정도는 감소되면서 desmin에 대한 반응성도 낮아졌고, 경변성 변화는 10주 이후부터 나타났다. 전자현미경적 소견상 fat-storing cell의 숫적 증가는 1주부터 관찰되었으며 지방적이 감소하고 rER이 팽창된 이행세포는 2주째 출현하여 4주에 가장 현저히 증가되었다. 섬유아세포는 3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rER이 확장되었으며 지방적은 없거나 1-2개의 소적이 세포돌기에서 관찰되었다. 섬유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행세포 및 fat-storing cell은 감소하고 섬유아세포는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fat-storing cell은 간섬유화 과정에서 활성화되고 증식하여 형태학적으로 이행세포 및 섬유아세포로 전환함으로써, 정지상태에 있는 섬유아세포의 전구체로서 간섬유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ltrastructures of Germ Cells and the Accessory Cells During Spermatogenesis in Male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on the East Sea of Korea

  • Chung, Ee-Yung;Chung, Chang-Ho;Kim, Jin-Hee;Park, Sung-Woo;Park, Kwan-Ha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2
    • /
    • 2010
  • The ultrastructures of germ cells and the accessory cells during spermatogenesis and mature sperm ultrastructure in male Gomphina veneriformis, which was collected on the coastal waters of Yangyang, East Sea of Korea,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The morphology of the spermatozoon has a primitive type and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bivalves in that it contains a short midpiece with four mitochondria surrounding the centrioles. Accessory cells are observed to be connected to adjacent germ cells, they contain a large quantity of glycogen particles and lipid droplets in the cytoplasm.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y are involved in the supplying of the nutrients for germ cell development, while any phenomena associated with phagocytosis of undischarged, residual sperms by lysosomes in the cytoplasm of the accessory cells after spawning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The morphologies of the sperm nucleus type and the acrosome shape of this species have a cylindrical and modified long cone shape,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axial filaments in the lumen of the acrosome, and subacrosomal granular materials are observed in the subacrosomal space between the anterior nuclear fossa and the beginning part of axial filaments in the acrosome. The spermatozoon is approximately $50-55{\mu}m$ in length including a long sperm nucleus (about $7.80{\mu}m$ in length), an acrosome (about $1.13{\mu}m$ in length) and tail flagellum ($40-45{\mu}m$).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flagellum consists of nine pairs of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at the center.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s a 9+2 structure. Some charateristics of sperm morphology of this species in the family Veneridae are (1) acrosomal morphology, (2)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The axial filament appears in the acrosome as one of characteristics seen in several species of the family Veneridae in the subclass heterodonta, unlikely the subclass pteriomorphia containing axial rod instead of the axial filament. As some characteristics of the acrosome structures, the peripheral parts of two basal rings show electron opaque part (region), while the apex part of the acrosome shows electron lucent part (region). These charateristics belong to the family Veneridae in the subclass heterodonta, unlikely a characteristic of the subclass pteriomorphia showing all part of the acrosome being composed of electron opaque part (region). Therefore, it is easy to distinguish the families or the subclasses by the acrosome structures.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of this species are four, as one of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most species in the family Venerid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