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accumulation produc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초

약용식물 혼합물의 고지혈증 개선 효과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Complex of Medicinal Plant Products o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by High Cholesterol Diet)

  • 이광호;박현수;윤용한;신용봉;백영찬;구대호;김성규;김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9-116
    • /
    • 2015
  • The HWND_G02 (Salvia miltiorrhiza Bunge, Crataegus pinnatifida,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Cnidium officinale Makino) and HWND_G03 (Cinnamonum cassia Blume, Salvia miltiorrhiza Bunge, Crataegus pinnatifida,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Cnidium officinale Makino, Allium macrostemon Bunge) are new natural mixture composed with several oriental herb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WND extracts on high cholesterol diet (HCD)-induced hyperlipidemic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control, HCD, atorvastatin (5 mg/kg, po), ethanolic extracts of HWND_G02 (1,000 mg/kg, po) and HWND_G03 (1,000 mg/kg, po) were administered to the HCD-induced hyperlipidemic rats for 4 weeks to evaluate their anti-hyperlipidemic activities. HWND extracts markedly decreased body and liver wight gain, and recovered serum lipid levels, such as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s (TG),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an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 in the HCD-induced hyperlipidemic rats. Furthermore, the lipid levels (TC and TG) and the lipid accumul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liver tissue of HWND-administrated rats. After a HCD, each group had a lower atherogenic index (AI) compared to the HCD group. In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HWND extracts could be the candidate for the material to prevent hyperlipidemia.

6-O-Galloylsalidroside, an Active Ingredient from Acer tegmentosum, Ameliorates Alcoholic Steatosis and Liver Injury in a Mouse Model of Chronic Ethanol Consumption

  • Kim, Young Han;Woo, Dong-Cheol;Ra, Moonjin;Jung, Sangmi;Kim, Ki Hyun;Lee, Yongj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201-207
    • /
    • 2021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Acer tegmentosum extract, which is traditionally used in Korea to reduce alcohol-related liver injury, suppresses liver inflammation caused by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and might improve metabolism. The active ingredient, 6-O-galloylsalidroside (GAL), was isolated from A. tegmentosum, and we hypothesized that GAL could provide desirable pharmacological benefits by ameliorating physiological conditions caused by alcohol abus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GAL could ameliorate alcoholic fat accumulation and repair liver injury in mice. During chronic alcohol consumption plus binge feeding in mice, GAL was administered orally once per day for 11 days. Intrahepatic lipid accumulation was measured in vivo using a noninvasive method, 1H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onfirmed by staining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Oil Red O. The serum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were measured using a Konelab system, and the triglyceride content was measured in liver homogenates using an enzymatic peroxide assay. The results suggested that GAL alleviated alcohol-induced steatosis,e as indicated by decreased hepatic and serum triglyceride levels in ethanol-fed mice. GAL treatment also correlated with a decrease in the Cd36 mRNA expression, thus potentially inhibiting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steatosis via the hepatic de novo lipogenesis pathway. Furthermore, treatment with GAL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 2E1 and attenuated hepatocellular damage, as reflected by a reduction in ALT and AST leve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AL extracted from A. tegmentosum has the potential to serve as a bioac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and liver damage.

Effects of Compounds from Physalis angulata on Fatty Acid Synthesis and Glucose Metabolism in HepG2 Cells via th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 Hoa, Hoang Thai;Thu, Nguyen Thi;Dong, Nguyen Thuong;Oanh, Tran Thi;Hien, Tran Thi;Ha, Do Th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200-206
    • /
    • 2020
  • The ability of the total extract from Physalis angulata; three fractions after partitioning with n-hexane, ethyl acetate (TBE), and water; and four withanolides (compounds 1 - 4) to phosphorylate 5'-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in HepG2 cells was evaluated. The TBE fraction (50 ㎍/mL) activated p-ACC and p-AMPK expression most strongly. Compounds 1 - 4 (10 μM) upregulated p-ACC expression at different levels. Compound 4 induced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p-AMPK expression, followed by 1 and 2.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 (SREBPs) play a functional role in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lipogenic pathway, including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CC. The effects of compounds 2 and 4 (10 μM) on FAS and SREBP-1c expression under high glucose conditions (30 mM) in HepG2 cells were evaluated further. Both dose-dependently inhibited FAS and SREBP-1c expression as well as lipid accumulation (1 - 10 μM) were compared to high-concentration glucose control, which upregulated FAS and SREBP-1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ounds 2 and 4 upregulate AMPK, suppress FAS and SREBP-1c, and have potential effects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hibitory Effects of Onion (Allium cepa L.) Extract on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and Adipocytes via Inhibiting Fatty Acid Synthase

  • Wang, Yi;Tian, Wei-Xi;Ma, Xiao-F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573-5579
    • /
    • 2012
  • Onions (Allium cepa L.) are widely used in the food industry for its nutritional and aromatic properties. Our studies showed that ethyl acetate extract of onion (EEO) had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animal fatty acid synthase (FAS), and could induce apoptosis in FAS over-expressing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Furthermore, this apoptosis was accompanied by reduction of intracellular FAS activity and could be rescued by 25 mM or 50 mM exogenous palmitic acids, the final product of FAS catalyzed synth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optosis induced by EEO occurs via inhibition of FAS. We also found that EEO could suppress lipid accumula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s, which was also related to its inhibition of intracellular FAS activity. Since obesity is closely related to breast cancer and obese patients are at elevated risk of developing various cancer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onion might be useful for preventing obesity-related malignancy.

Inhibitory Effec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Tulip Tree Leaf (Liriodendron tulipifera L.) o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 Nam, Hajin;Jung, Harry;Kim, Jin Kyu;Suh, Jun Gy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263-268
    • /
    • 2013
  • The inhibitory effects of adipogenesis on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from leaves of the Tulip tree (TT) were evaluated. Exposure to TT EtOAc fraction (25~200 ${\mu}g/mL$) for a 72 hr incubation period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cell viability. TT EtOAc fraction, with concentrations of 100 and 200 ${\mu}g/mL$,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adipogenesis.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essential adipogenic marker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T EtOAc fraction was added to cells for 8 days as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T EtOAc fraction might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as an effective, natural alternative material for obesity treatment.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 부추식이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Lipofuscin 생성 억제 효과 (Protective Effect of Dietary Buchu (Allium tuberosum Rottler) on Oxidative Stress and Lipofuscin Form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점옥;류승희;이유순;김정인;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37-1343
    • /
    • 2003
  • 산화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당뇨상태에서 항산화활성이 높은 부추의 섭취가 지질 및 단백질 산화, 활성산소종의 생성, 항산화 효소계 활성 변화 및 lipofuscin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S.D.계 쥐에게 streptozotocin을 복강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후 대조군 식이와 10% 부추식이를 14주간 섭취시켰다. 부추의 섭취는 대조군식이에 비해 간보다는 피부조직에서 지질 및 단백질 산화를 유의적으로 감소 시켰고(p<0.05), 반응성이 큰 활성산소종인 hydroxyl radical의 생성도 당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p<0.05).부추의 섭취는 간과 피부조직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장과 눈 조직에서 노화색소인 lipofuscin을 측정한 결과 당뇨군에 비해 당뇨부추군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눈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부추의 섭취는 당뇨 합병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인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당뇨 합병증의 증상완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대두부산물의 지방세포분화 유도유전자의 발현저해 및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 최미선;김지인;정진부;이수복;정재남;정형진;서을원;김택윤;권오준;임재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8-367
    • /
    • 2011
  • 대두는 여러 종류의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에 의한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효능 등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대두 부산물 성분의 비만억제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Oil-Red O 염색법과 정량 PCR을 통하여 지방세포분화억제 및 지방생성억제 효능을 분석하였다. 분화유도물질인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및 insulin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유도와 함께 대두부산물-침지수, 순물, 두유-의 처리는 세포손상 없이 지방세포분화 연관 유전자-PPAR${\gamma}$, Fabp4, Scd1, adipsin, apolipoprotein (APOE), adiponectin (ADIPOQ)-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또한 대두에서 잘 알려진 isoflavone -daidzein과 genistein- 분석을 통하여 대두 부산물에 포함된 두 종류의 isoflavone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두부산물에는 지방세포분화유도 유전자의 발현억제를 통한 전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부생산 시 발생하는 대두부산물은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능을 바탕으로 이를 이용하는 건강기능 식품제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귤피 효소적 추출물의 지방세포에서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an enzymatic extract of mandarin (Citrus unshiu) peel in 3T3-L1 adipocytes)

  • 장예빈;강희주;김주상;이승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9-153
    • /
    • 2021
  • 본 연구는 감귤 가공공정 중에 발생하는 가공부산물인 감귤피의 산업적 이용성 및 유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효소적 추출법을 적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항비만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귤피 효소적 추출물(MPCE)의 폴리페놀 함량은 이전의 연구에서 보고한 유기용매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MPCE의 항비만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지방세포 분화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MPCE는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축적을 감소시켰으며 이는 세포독성에 의한 것이 아님을 세포생존율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MPCE는 adipogenesis 관련 전사인자인 C/EBPα, SREBP-1, PPARγ, FABP4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MPCE는 adipogenesis 관련 전사인자의 단백질 발현 억제하여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PCE는 비만 예방 효능을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명확한 항비만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추후 동물 실험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홍마늘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Red Garlic)

  • 황초롱;신정혜;강민정;이수정;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50-957
    • /
    • 2012
  • 열처리를 통한 새로운 마늘 가공품의 개발 및 그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새로이 개발된 홍마늘의 용매별 계통 분획물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과 항비만 활성을 중심으로 한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홍마늘 계통 분획물 중 갈변물질의 함량은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고, 총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exan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다음으로 chloroform 분획물의 순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소거능 및 FRAP법에 의한 항산화능도 chloroform 분획물이 타 분획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갈변물질의 함량이 높고, 총 페놀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은 hexane 및 chloroform 화합물에서 활성이 높아 홍마늘 분획물의 항산화능은 이들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은 $500{\mu}g/ml$ 미만의 농도에서는 농도 증가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활성이 높았던 chloroform 분획물에서 4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분석의 결과에서 활성이 높았던 hexane 및 chloroform 분획물의 지방세포 분화와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은 여타 분획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항산화 활성과 항비만 활성이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홍마늘 중의 항산화 활성물질은 주로 비극성이며,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이 있는 물질은 주로 극성에 대한 용해성이 더 높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 알코올과 철분의 과잉 섭취가 흰쥐의 간 세포 미토콘드리아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onic alcohol and excessive iron intake on mitochondrial DNA damage in the rat liver)

  • 박정은;이정란;정자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5호
    • /
    • pp.390-39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 종 랫트 수컷을 대조군, EtOH군, Fe군, EtOH + Fe군으로 나누어, 알코올과 철분을 액상 사료로 8주간 공급한 후, 간 조직과 간 세포 mtDNA의 손상 정도를 알아보았다. EtOH + Fe군은 대조군, EtOH군, Fe군의 다른 세 군에 비해 혈청 ALT와 혈청 AST 수치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간 조직 검사의 결과에서도 다수의 지방구, 염증성 세포 침입 및 조직의 괴사가 관찰되는 등 가장 심한 간 손상이 확인되었다. DNA 손상 여부를 긴 영역 PCR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만성적인 알코올과 철분에 의한 노출은 간 세포의 mtDNA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 DNA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에 관여하는 Cox1과 Nd4 유전자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으로 분석한 결과, 알코올 또는 철분은 간 세포의 Cox1 mRNA와 Nd4 mRNA 수준을 유의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만성 알코올 또는 과잉의 철분에 의한 간 손상에 mtDNA 손상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가 관여함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