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nic and

검색결과 940건 처리시간 0.051초

우레아 분별된 들기름 가수 분해물을 이용한 Conjugated Linolenic Acid(CLnA)의 합성 (Preparation of Conjugated Linolenic Acid from Urea Fractionated Perilla Seed Oil Hydrolysate)

  • 이경수;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34-1742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들기름에 약 60%로 존재하는 ${\alpha}$-linolenic acid를 알칼리 이성질화 반응을 이용하여 CLnA(conjugated linolenic acid)와 CLA(conjugated linoleic acid)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들기름을 가수분해한 뒤에 10분에서 6시간까지의 반응시간과 5%에서 60%까지의 NaOH 농도에서 CLnA와 CLA의 생성을 표준물질과 함께 GC와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시간에 따른 CLnA와 CLA 함량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NaOH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CLnA와 CL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응조건 중, 20% KOH, $180^{\circ}C$, 1시간 반응에서 14.5%와 14%의 CLnA와 CLA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42.2%의 C18:3 conjugated 이성질체가 생성되었다. 이성질체를 확인하기 위해 GC-MS 그리고 FT-IR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GC-MS의 ion peak 분석 결과, conjugated 형태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m/z=91 ion peak를 확인할 수 있었고, CLA와 CLnA의 분자량이 C18:2와 C18:3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NIST Library에서 검색된 methyl 9c, 11t-CLA, methyl 10t, 12c-CLA와 methyl 9cis, 11trans, 13trans-octadecatrienoate의 결과와 일치하는 ion peak를 형성하였다. 이 외의 이성질체는 FT-IR 분석 결과, 높은 trans fatty acid 함량을 보여 알칼리 이성질화 반응 시, $180^{\circ}C$의 높은 열에 반응을 하여 trans 형태의 conjugated form이 다량 생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conjugated 이성질체의 생성 양을 높이기 위해 들기름 가수분해물을 우레아 분별을 한 뒤에, ${\alpha}$-linolenic acid의 함량을 70%까지 높인 뒤에 알칼리 이성질화 반응을 수행한 결과 CLnA의 생성 양이 16.6%까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CLnA 이외의 conjugated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없었다.

Effects of C18 Fatty Acids o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RBL-2H3 Cells

  • Kim, Myung Chul;Kim, Min Gyu;Jo, Young Soo;Song, Ho Sun;Eom, Tae In;Sim, Sang S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3호
    • /
    • pp.241-247
    • /
    • 2014
  •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C18 fatty acids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on mast cells, we measured the effect of C18 fatty acids o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RBL-2H3 mast cells. Stearic acid rapidly increased initial peak of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whereas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gradually increased this mobilization. In the absence of extracellular $Ca^{2+}$, stearic acid ($100{\mu}M$) did not cause any increase of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Both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increas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but the increase was smaller than that in the presence of extracellular $Ca^{2+}$. These results suggest that C18 fatty acid-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is mainly dependent on extracellular $Ca^{2+}$ influx. Verapamil dose-dependently inhibited stearic acid-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but did not affect both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underlying mechanism of stearic acid,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o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may differ.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histamine release. Linoleic acid (C18:2: ${\omega}$-6)-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histamine release were more prominent than ${\alpha}$-linolenic acid (C18:3: ${\omega}$-3). These data support the view that the intake of more ${\alpha}$-linolenic acid than linoleic acid is useful in preventing inflammation.

(${\alpha}$-linolenic acid가 Eicosapentaenoic acid와 Docosahexaenoic acid로 전환되는데 미치는 마그네슘과 칼슘의 영향 (Effect of Magnesium and Calcium on the Interconversion of ${\alpha}$-linolenic acid to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 남현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8
    • /
    • 1994
  • In order to investigate of the Influence of $Mg^{2+}$, $Ca^{2+}$ on ${\alpha}$-linolenic acid converted into the eicosapentaenoic acid(EPA) and docosahexaenoic acid(DHA) forming in plasma lipid and in liver microsomes of rabbit, the animals were fed on the perila oil rich ${\alpha}$-linolenic acid or sardine oil rich EPA and DBA diet for 4 weeks were examined. In plasma, liver lipid, $Mg^{2+}$ was influenced on arachidonic acid(AA), EPA, DHA formative from ${\alpha}$-linolenic acid in perilla oil, but stearic acid was increased, $Ca^{2+}$ was Influenced on stearic acid increased and DHA was decreased. In phospholipid, $Mg^{2+}$, $Ca^{2+}$ was influenced on stearic acid increased and DHA was decreased in perilla oil.

High Density Cell Culture of Mucor sp. KCTC 8405P for Production of ${\gamma}-Linolenic$ Acid in Fed-Batch Culture

  • Park, Jong-Hyun;Shin, Hyun-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126-129
    • /
    • 1991
  • In order to produce ${\gamma}-linolenic$ acid by Mucor sp. KCTC 8405P. the fungus was cultivated in fed-batch culture with two phases. i.e., growth in yeast-like form and induction to hyphal growth by pH shift of the culture medium during cultivation. The synchronous growth of the fungus into the appropriate sizes was important for the high density cell culture of this dimorphic fungus.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in the medium did not affect degree of unsaturation of fatty acids and ${\gamma}-linolenic$ acid content. Under the culture conditions applied in this experiment. the fungus was found to produce 100 g/l dry mycelia containing 40% of the lipids, where ${\gamma}-linolenic$ acid comprised about 9% of the total extractable fatty acids.

  • PDF

시판(市販) 식용유(食用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關하여 (제 1보)(第 1報)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the Edible Oils)

  • 이순재;이만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3
    • /
    • 1977
  • 시판(市販) 고가(高價)의 기름에 저렴(低廉)한 기름을 혼입(混入)시키는 일이 흔히 일어나므로 이것을 쉽게 검색(檢索)하기 위한 방편(方便)으로 각 식용유(食用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gas chromatography 법(法)에 의해서 조성비(組成比)를 조사(調査)하였으며 이들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을 보면 참기름은 myristic, palmitic, stearic, linoleic acid와 미량(微量)의 linolenic acid로, 미강유(米糠油)와 대두유(大豆油)는 myristic,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linoleic acid, 들기름은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 해바라기 기름은 palmitic, stearic, oleic acid 및 linoleic acid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기름에도 linolenic acid가 극미량(極微量) 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것이 풍부한 타(他)의 기름이 혼입(混入)되었을 경우 쉽게 검출(檢出)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식품의 주요 성분이 예덕나무 헥산추출물의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Major Food Components on the Activity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n-Hexane Fraction of Mallotus japonicus Muell on Listeria monocytogenes)

  • 안용선;신동화;김용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69-476
    • /
    • 2000
  • 식품의 주요성분이 항균 활성 분획물의 항균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액체 배지에 casein, soybean oil 및 soluble starch를 일정 수준으로 첨가하여 최종 농도를 1% 및 3%로 조정한 후 항균 활성이 우수한 예덕나무 조 추출물인 hexane 분획물 및 linolenic acid를 50 ppm 및 1,000 ppm 수준으로 첨가한 액체 배지에 L. monocytogenes 2 균주를 접종, $30^{\circ}C$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생균수를 계수하였다. Hexane 분획물 1,000 ppm과 3% casein이 첨가된 처리구는 초기 균수가 $10^7\;CFU/mL$ 수준이었으나 72시간에서 $10^8\;CFU/mL$ 수준으로 증식하여 hexane 분획물 1,000 ppm의 항균 활성은 3% casein에 의해 완전히 저해되었으며, linolenic acid 1,000 ppm의 항균 활성은 3% casein에 의해 활성이 부분적으로 저해되었다. Soybean oil(1%, 3%)의 경우 linolenic acid 1,000 ppm의 항균 활성은 3% soybean oil에 의해 활성이 부분적으로 저해되었으며, soluble starch(1%, 3%)와 hexane 분획물 1,000 ppm이 첨가된 처리구는 48시간 이후 균이 검출되지 않거나(1% soluble starch), 또는 5 log cycle 정도 감소하였으며(3% soluble starch), soluble starch(1%, 3%)와 linolenic acid 1,000 ppm이 첨가된 처리구는 48시간 이후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soluble starch(1%, 3%)는 hexane 분획물 1,000 ppm 및 linolenic acid 1,000 ppm의 항균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들깨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in Perilla)

  • 이봉호;류수노;곽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50-162
    • /
    • 2002
  • 1. 들깨는 용도면에서 볼 때 종실은 식용으로, 기름은 식용과 공업용, 깻잎은 채소로 또 깻잎의 정유성분은 향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용도 작물이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18-28% 정도이고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에 있어 글루타메이트(glutamate)함량은 계란보다 월등히 많다. 3. 종실의 기름 함량은 35~54%로서 기름중에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60% 이상 함유되어 있으므로 생리적 기능성 식품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도 중요하다. 4. 기름의 특성상 들기름은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들기름을 짜서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면 산패(oxidation)되기 쉬우므로 장기간 저장 이용하기 어렵다. 5. 깻잎은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beta$-carotene) 함량이 많고 다른 미량성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들깨잎은 생식용 채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6. 깻잎의 정유(essential oil) 성분은 페릴라알데하이드(perilla aldehyde)가 주성분이며 이는 식품이나 식품첨가제로 쓰일 때 광범위한 항균작용(antimicrobial activity)을 나타낸다. 7 들깨나 자소잎의 붉은 색소중에는 안토시아닌(anthocynins)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식품색소로 널리 쓰인다.

Chlorella ellipsoidea 엽록체의 인지질 생합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식물호르몬의 효과 (Effects of Phytohromones on Biosynthesis of Phospholipids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in Chlorella ellipsoidea Chloroplast)

  • 나형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371-383
    • /
    • 1992
  • Chlorella ellipsoidea에서 분리한 엽록체의 인지질 생합성과 그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10^{-3}M$의 IAA(indole acetic acid)와 $2{\times}10^{-8}M의\;GA_3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생장률, 총 지질, 인지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A_3$ 처리구에서는 phosphatidyl-choline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Whole cell system에서의 주요 지방산은 대조구에서는 palmitic acid가 27.43% 였으며 IAA 처리구에서는 linolenic acid가 20.25%로 분석되었다. $GA_3$ 처리구에서는 linolenic acid가 23.17%로 인지질 형성에 이용된 주요 지방산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리한 엽록체에서는 대조구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35.67%로 나타났으며 IAA 처리구에서는 linolenic acid가 24.91%, GA3 처리구에서는 linolenic acid가 22.80%로 인지질 형성에 이용된 주요 지방산으로 분석되었다.

  • PDF

GLC를 이용한 마유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are Milk using GLC)

  • Kim, Kee-Sung;Kim, Ji-Seon;Shin, Mi-Soon;Lim, Sang-Dong;Shim, Jin-A;Jang, Eun-Hee;Yang, Seung-Yong;Park, Sung-Hae;B. Delger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49
    • /
    • 2003
  • 마유의 지방은 적은 양의 stearic acid과 palmitoleic acid를 가지고 있으며 반면에 많은 양의 linolenic acid과 linolic acid를 가지고 있다. 마유와 우유의 지방산을 비교하였을 때, oleic acid (C18:1)의 양은 차이가 없었으며, 불포화 지방산 성분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은 마유가 우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마유 크림에서의 linoleic acid (C18:2) 는 우유보다 약 7배, linolenic acid (C18:3)은 약 50배 높은 것을 관찰하였다. 마유와 우유의 시료를 기간별로 실험한 결과 마유의 시료를 채취한 후 45일 동안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를 우유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높게 유지되었으며 이 결과 음식물로만 섭취할 수 있는 이 두 성분이 에너지원, 산소공급원으로 매우 유용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amma}$-Linolenic acid 함유 곰팡이 지질에 관한 연구 2. Mucor sp.의 ${\gamma}$-Linolenic Acid 생산에 미치는 배양조건의 영향 (Studies on Fungal Lipids Containing ${\gamma}$-Linolenic Acid 2. Influence of Cultural Conditions on The Production of ${\gamma}$-Linolenic Acid by Mucor sp.)

  • 송근섭;김충기;권용주;양희천;이태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41-645
    • /
    • 1990
  • In order to study the influence of culture conditions on cell growth and lipid formation by Mucor sp, variou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initial pH and C./N ratio of medium were investigated. Glucose was found to be suitable carbon source in terms of lipid yield and ${\gamma}$-linolenic acid(GLA) content. When NH4Cl and (NH4)2SO4 were used as nitrogen source lipid content was high(19-21%) but GLA content was low(15-17%) On the other hand when NaNO3 and KNO3 were used lipid content was low(about 13%) but GLA content was high(22-23%). The highest production of lipid was obtained at a C/N ratio of 40 using glucose and (NH4)2SO4 as carbon and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lipid yield was high at pH4.6 Also this fungus did not grow at 35$^{\circ}C$ and lipid yield was highr at 15$^{\circ}C$ than $25^{\circ}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