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gual orthodontic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9초

정중구개부의 미니 임플랜트 식립과 관련된 절치관의 해부학적 연구 (Anatomic study of the incisive canal in relation to midpalatal placement of mini-implant)

  • 김성진;임성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6-158
    • /
    • 2009
  • 정중구개봉합부에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식립하고자 할 때 절치관의 해부학적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피하여 식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절치관의 해부학적 위치를 절치유두나 치관의 교두첨 등의 임상적 지표를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는 해부학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성인 남녀 25명의 진단 모형과 전산화 단층촬영(CT) 자료를 통해 절치관의 해부학적 형태, 절치유두와 절치관의 전후방적인 위치의 관련성 및 치관 교두첨의 전후방 위치에 따른 절치관 후방 정중구개봉합부의 골두께를 계측하였다. 계측 결과 중절치 사이 설측 치간유두에서 절치공 후연까지 구개면상의 거리는 치간유두-절치유두 후연 길이의 약 1.7배에 해당하였으며 절치유두 후연에서 절치공 후연까지의 구개면상의 거리는 평균 6.15 ${\pm}$ 1.75 mm였다. 절치공 후연의 전후방적 위치는 교두첨을 기준으로 평가 시 제1소구치의 설측교두보다 약간 전방에 해당하였으며, 이 부위 직후방에서는 골표면에 수직으로 식립하는 것보다 교합평면에 수직으로 식립할 때 골두께가 더 두꺼웠다. 또한 절치관의 폭경이 구개에서 4.03 ${\pm}$ 0.64 mm인 것을 고려할 때 절치관의 측방에 식립코자 하는 경우 정중에서 3 mm 이상 측방에 식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정중구개부에 식립할 때 본 연구 결과를 절치공의 위치를 짐작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ne beam CT 영상과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의 결합을 이용한 안면비대칭자의 치성보상 평가 (The assessment of dentoalveolar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individuals: integration of cone beam CT and laser scanned dental cast images)

  • 송효경;손우성;박수병;김성식;김용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73-38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CBCT 영상파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의 결합하여 안면비대칭자의 치성보상을 3차원적으로 계측하고 비교하였다. 안면비대칭자 30명과 정상교합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CBCT 영상에서 두개악안면 골격에 대한 기준 좌표계를 설정하고 석고모형 레이저 스캔 영상에서 견치와 제1대구치의 3차원적 위치와 각도를 계측하여 그 차이(dev.-ndev.)를 구하였다. 두 집단을 비교 분석하고 이부 편위랑과의 상관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안면비대칭군의 편위측 상악 견치는 비편위측에 비해 $2.73{\pm}4.07\;mm$ 협측에 위치하였고, 편위측 상악 제1대구치는 비편위 측에 비해 $3.83{\pm}0.12\;mm$ 협측에 위치하였으며, $8.26{\pm}6.82^{\circ}$ 협측 경사되어 있었다. 비편위측 상악 제1대구치의 협측교두는 편위측에 비해 $1.76{\pm}0.11\;mm$ 정출되어 있었다. 편위측 하악 제1대구치는 비편위측에 비해 $6.01{\pm}0.14\;mm$ 설측에 위치하였고, 비편위측에 비해 $8.31{\pm}7.07^{\circ}$ 설측경사되어 있었다 (p < 0.01). 안면비대칭자는 이부 펀위량이 증가할수록 상악 제1대구치는 비편위측에 비해 편위측에서 협측 경사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하악 제1대구치는 편위측에서 설측 경사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상악 제1대구치의 모든 교두와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설측 교두의 수직적 위치는 비편위측에서 더 정출되는 경향을 보이며, 하악 견치와 제1대구치의 횡적 위치도 편위측에서 좀 더 설측으로 위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안면비대칭군에서 편위측의 견치와 대구치가 비편위측에 비해 횡적으로 기울어져 있고, 수직적 위치 및 각도의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치조골 상실에 따른 상악 치아군 저항중심의 변화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element analysis of the shift in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dentition in relation to alveolar bone loss)

  • 성상진;김인태;국윤아;전윤식;김성훈;모성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78-288
    • /
    • 2009
  • 효과적인 교정치료계획의 수립을 위하여 치열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상악 치열군(4전치, 6전치, 14치아)에서 치조골 손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상악 전치열 14개 치아와 치주인대 및 0 mm, 2 mm, 4 mm 손실된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고 각 치아군(4전치, 6전치, 14치아)별로 치관부를 협측, 설측호선 및 splint wire로 고정하여 치아군 모델을 제작한 후 상악 중절치의 절단연 중점에서 연장된 splint wire에 4전치와 6전치군에는 200 g, 14치아군에는 400 g의 후방 견인력과 압하력을 적용하여 저항중심의 수직적, 수평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4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의 수직 위치는 치조골 0 mm, 2 mm, 4 mm 손실에 따라 중절치의 절단연에서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 mm, 수평 위치는 후방 12 mm, 12 mm, 12.5 mm, 6전치군에서는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5 mm, 후방 14 mm, 14 mm, 14.5 mm, 14치아군에서는 치근방향 11 mm, 13 mm, 14.5 mm, 후방 26.5 mm, 27 mm, 25.5 mm에 위치하였다. 모든 치아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치근첨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나, 치조정과의 거리는 가까워졌고, 4전치군과 6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14치아군에서는 치조골 2 mm 손실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4 mm 손실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산부식시간이 법랑질 표면 부식형태와 교정장치의 전단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ACID ETCHING TIMES ON ENAMEL SURFACE MORPHOLOGY AND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TTACHMENT TO ENAMEL)

  • 남동석;서정훈;양원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71-779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 표면에 대한 산부식시간의 차이가 법랑질 표면의 부식형태, 교정장치의 전단접착강도 및 탈락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된 하악 소구치의 법랑질을 $37\%$ 인산 용액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5, 10, 15, 30, 45, 60, 90, 120초 동안 부식시킨 후 법랑질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교정장치를 접착한 후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교정장치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산부식시간을 5-120초 범위에서 변화시켜도 교정장치의 전단접착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2. 산부식시간에 따른 교정 장치의 탈락 양상은 15초 이하 부식군(5, 10, 15초)과 30초 이상 부식군(30, 45, 60, 60, 120초)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즉, 15초 이하 부식군에서는 접착제/법랑질 경계부 탈락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30초 이상 부식군에서는 접착제/교정장치 경계부 탈락이 많았다. 3. 법랑질 표면의 부식형태는 매우 다양하였으며 동일한 법랑질 표면에서도 여러 가지 형태의 부식 소견이 관찰되었다. 또한 법랑질 부식형태와 교정장치의 접착강도 사이에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4.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적 조건에서는 부식시간을 5초로 단축하여도 임상적으로 유용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15초 이하 부식군에서 나타난 탈락 양상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단층 및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을 이용한 정상교합자의 악관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NORMAL OCCLUSION USING T.M.J TOMOGRAM AND CEPHALOGRAM)

  • 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5-106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know the means of the T.M.J. space and to compare spational differences in centric relation and centric occlusion by the T.M.J. Tomogram and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ticular eminence slope and the lingual surface slop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y the Cephalogram in near normal occlusion subjects. These results could give contribution for the diagnosis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T.M.J. dysfunction and the assessment of orthoped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44 young adults (28 men and 16 women, 21 to 27 years of age) were selected from the Dental students in Yonsei Univ. Criteria for selection was normal occlusion, no clinical signs and T.M.J. dysfunction, no history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no missing tooth. After submental vertex view analysis. each subject was given the T.M.J. Tomogram in centric relation and centric occlusion and the Cephalogram was given with Quint Sectograph. All data was record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CYBER computer system. Result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findings and conclusions were derived. 1. The mean value for the combined right and left anterior joint space was 2.549mm, the posterior space was 2.260mm, and superior space was 3.31mm in centric relation. The anterior space was 2.316mm, posterior space was 2.474mm, and superior space was 3.435mm in centric occlusion. 2. In the centric relation position, both condyles were placed more posterioly and superioly in their fossae than in the centric occlusion position by the spatial difference. 3. In the centric occlusion position, both condyles were more symmetrically placed in their fossae with equal anterior-posterioly rather than in the centric relation position. 4. The mean articular eminence angle was $48.19^{\circ}$ and the mean fossa height was 7.911mm.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rticular eminence angle and fossa height in T.M.J. Tomogram was found. 5. In Cephalometric analysis,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rticular eminence slope and the lingual surface slope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to the FH plane, occlusal plane, and S-N plane. 6. There was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 measurements and the fossa height, articular eminence angle, and DcGn < F-H.

  • PDF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mandibular incisor alveolar bone changes for the intrusion arch technique: A retrospective cohort research

  • Lin Lu;Jiaping Si;Zhikang Wang;Xiaoyan Che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79-88
    • /
    • 2024
  • Objective: Alveolar bone loss is a common adverse effect of intrusion treatment. Mandibular incisors are prone to dehiscence and fenestrations as they suffer from thinner alveolar bone thickness. Methods: Thirty skeletal class II patients treated with mandibular intrusion arch thera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Lateral cephalograms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were taken before treatment (T1) and immediately after intrusion arch removal (T2) to evaluate the tooth displacement and the alveolar bone changes. Pearson's and Spearman's correlation was used to identify risk factors of alveolar bone loss during the intrusion treatment. Results: Deep overbite was successfully corrected (P < 0.05), accompanied by mandibular incisor proclination (P < 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true incisor intrusion (P > 0.05). The labial and lingual vertical alveolar bone level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 < 0.05). The alveolar bone is thinning in the labial crestal area and lingual apical area (P < 0.05); accompanied by thickening in the labial apical area (P < 0.05). Proclined incisors, non-extraction treatment, and increased A point-nasion-B point (ANB) degre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veolar bone loss. Conclusions: While the mandibular intrusion arch effectively corrected the deep overbite, it did cause some unwanted incisor labial tipping/flaring. During the intrusion treatment, the alveolar bone underwent corresponding changes, which was thinning in the labial crestal area and thickening in the labial apical area vice versa. And increased axis change of incisors, non-extraction treatment, and increased ANB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alveolar bone loss in patients with mandibular intrusion therapy.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dent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lass II subdivision malocclusion and asymmetry

  • Huang, Mingna;Hu, Yun;Yu, Jinfeng;Sun, Jicheng;Ming, Ye;Zheng, Leile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77-288
    • /
    • 2017
  • Objective: Treating Class II subdivision malocclusion with asymmetry has been a challenge for orthodontists because of the complicated characteristics of asymmetr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and skeletal asymmetry in Class II subdivision malocclusion,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yle-glenoid fossa and first molar.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images of 32 patients with Class II subdivision malocclusion were three-dimensionally reconstructed using the Mimics software. Forty-five anatomic landmarks on the reconstructed structures were selected and 27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performed. Paired-samples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he Class I and Class II sid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 was used for analyzing the linear association. Results: The faciolingual crown angulation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p < 0.05), sagit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irst molars (p < 0.01), condylar head height (p < 0.01), condylar process height (p < 0.05), and angle of the posterior wall of the articular tubercle and coronal position of the glenoid fossa (p < 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ides. The morphology and position of the condyle-glenoid fossa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hree-dimensional changes in the first molar. Conclusions: Asymmetry in the sagit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irst molars between the two sides and significant lingual inclination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on the Class II side were the dental characteristics of Class II subdivision malocclusion. Condylar morphology and glenoid fossa position asymmetries were the major components of skeletal asymmetry and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first molar.

Unilateral maxillary central incisor root resorp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for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ith significant maxillary midline deviation: A possible correlation with root proximity to the incisive canal

  • Imamura, Toshihiro;Uesugi, Shunsuke;Ono, Takash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6-226
    • /
    • 2020
  • Root resorption can be caus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contact with the cortical bone. Here we report a case involving a 21-year-old female with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ho exhibited significant root resorption in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 patient presented with significant left-sided devia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due to lingual dislocation of the left lateral incisor and a Class II molar relationship. Cephalometric analysis demonstrated a Class I skeletal relationship (A point-nasion-B point, 2.5°) and proclined maxillary anterior teeth (upper incisor to sella-nasion plane angle, 113.4°). The primary treatment objectives were the achievement of stable occlusion with midline agreement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s and appropriate maxillary anterior tooth axes and molar relationship. A panoramic radiograph obtained after active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root resorption in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therefore, we perform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which confirmed root resorption along the cortical bone around the incisive canal. The findings from this case, where different degrees of root resorption were observed despite comparable degrees of orthodontic movement in the bilateral maxillary central incisors, suggest that the incisive canal could be an inducing factor for root resorption.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confirm this assumption.

Marginal microleakage of cervical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bonded using etch-and-rinse and self-etch adhesives: two dimensional vs. three dimensional methods

  • Khoroushi, Maryam;Ehteshami, Aili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1권2호
    • /
    • pp.83-90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marginal microleakage of two different adhesive systems before and after aging with two different dye penetration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48 human molars. Clearfil SE Bond and Single Bond (self-etching and etchand-rinse systems, respectively) were applied, each to half of the prepared cavities, which were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Half of the specimens in each group underwent 10,000 cycles of thermocycling. Microleakage was evaluated using two dimensional (2D) and three dimensional (3D) dye penetration techniques separately for each half of each specimen.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1.5 (SPSS Inc.), using th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alpha}=0.05$).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2D and 3D microleakage evaluation techniques was significant at the occlusal margins of Single bond groups (p = 0.002). The differences between 2D and 3D microleakage evaluation techniques were significant at both the occlusal and cervical margins of Clearfil SE Bond groups (p = 0.017 and p = 0.002,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2D and 3D techniques was significant at the occlusal margins of non-aged groups (p = 0.003).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echniques was significant at the occlusal margins of the aged groups (p = 0.001). The Mann-Whitney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chniques only at the occlusal margins in all specimens. Conclusions: Under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3D technique has the capacity to detect occlusal microleakage more precisely than the 2D technique.

초소형 전기 장치에 의한 전기 자극이 치아 이동과 주위 조직 개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by the miniature Electric device on the tooth movement and tissue remodeling)

  • 박순정;이영준;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9-291
    • /
    • 2003
  • 낮은 강도의 전류는 골세포의 활성화 대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초소형 전기 장치에 의한 전기 자극이 교정적 치아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체중 3kg내외의 고양이 6마리를 대상으로 가철성 교정장치와 NiTi coil spring(75gm)을 사용하여 상악 견치를 이동시켰다. 실험군측 견치에는 교정력과 간헐적인 $20{\mu}A$의 전기 자극을 가하였고, 대조군측에는 같은 크기의 교정력만을 가한 후 4주 동안의 치아 이동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치아를 중심으로 조직을 절취하여 탈회하고 조직 처리 후 광학 현미경으로 치주조직의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8일간의 실험 기간 동안 실험측의 치아 이동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여, 4주후에 실험측의 치아는 대조군에 비하여 37% 증가된 이동량을 기록하였다. 2. 전기 자극을 받은 치아의 치근 견인측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조직학적으로 증가된 골형성 양상이 관찰되었다. 3. 28일간의 전기 자극과 교정력으로 실험측 치아의 압박측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골 흡수 양상이 관찰되었다. 4. 실험군 견치 치근 주위 조직에서는 전반적으로 더 많은 수의 조골 및 파골 세포들과 모세 혈관, 골양 조직들이 관찰됨으로써 증가된 조직 세포 활성을 반영하였다. 5. 1일 5시간 동안의 간헐적 전류 자극은 치아 이동량을 증가시키고 조직 개조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외부에서 가한 낮은 강도의 간헐적 전기 자극으로 교정적 치아 이동량이 많아지고 치주 조직의 개조 활성이 증가됨을 보이므로 초소형 전기 장치에 의한 자극은 치아 이동과 주위 조직 개조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