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ar regression models

검색결과 939건 처리시간 0.024초

무인기 기반 RGB 영상을 이용한 동계작물 바이오매스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Biomass Evaluation Model of Winter Crop Using RGB Imagery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 나상일;박찬원;소규호;안호용;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09-720
    • /
    • 2018
  • 작황 모니터링에서 바이오매스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속한 작물 생육 상황 등 현장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또한, 바이오매스의 평가는 작황 모니터링 및 수확량 예측에 활용된다. 무인기 영상은 작물의 성장에 따라 빠르게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농업에서 포장내 공간변이 파악 및 분석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한 동계작물 바이오매스 평가 방법 개발을 위하여 식생지수($E{\times}G$)에 의한 식생 피복률(VF)과 작물 표고 모형(CSM) 기반의 초고(PH)를 이용하여 보리와 밀을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식생 피복률, 초고 및 상호작용 항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 선형 회귀 모델을 구축한 결과, 5가지 품종의 결정계수는 0.84~0.99로 나타났으며, 보리와 밀의 결정계수 및 평균 제곱근 오차는 각각 0.91, 0.90 및 102.09, $110.87g/m^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인기 영상을 활용한 동계작물의 바이오매스 평가 및 작황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를 종점으로 하는 혈중 납의 벤치마크 용량 하한 도출: 두 동집단 자료의 병합 (BMDL of blood lead for ADHD based on two longitudinal data sets)

  • 김시연;하미나;권호장;김병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1호
    • /
    • pp.13-28
    • /
    • 2018
  •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지난 2005년과 2006년, 매 2년마다 세 번에 걸친 추적 조사를 하여 두 개의 독립적인 자료를 구축하였고, 2010년에 두 자료를 병합하여 Children's Health and Environmental Research (CHEER) 자료라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CHEER 자료를 이용한 Kim 등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987-998, 2014)과 Lee 등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9, 1295-1310, 2016)의 후속 연구로서, 두 동집단을 병합한 자료에서도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었던 결과가 재현되는지 확인하고 ADHD를 종점으로 한 혈중 납 농도의 95% 신뢰 하한 (BMDL) 도출하였다. Lee 등 (2016)에서 제시한 벌점화 스플라인 모형을 이용하여 모든 년도의 ADHD 척도를 통일하였고, 경시적 자료의 특성과 아동의 나이에 대한 평균으로의 회귀 현상을 반영하여 임의 기울기 모형과 AR(1) 모형을 구축하였다. 두 모형을 바탕으로 혈중 납 농도의 벤치마크 용량 하한을 공식과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도출한 결과, 종전의 연구보다 작은 벤치마크 용량의 분산 값으로 인하여 벤치마크 용량 하한 값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잡지형에서 사면 개방도과 계절별 과열지수 사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Index and Overheating Index in Complex Terrain)

  • 정유란;황범석;서형호;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00-207
    • /
    • 2003
  • 온도기반 생태모형을 경관규모에 적용하기 위해 널리 쓰이는 BioSIM을 우리나라 환경에 도입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일 최고기온 추정과정을 검토하였다. 과열지수 대신 사용되는 개방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라북도 순창군 동계면 전역을 대상으로 10${\times}$10m 면적 단위로 총 57만여 개 지점의 개방도를 계산하고, 같은 지점에 대해 추분, 하지, 동짓날의 과열지수를 계산하였다. 각 날짜별 과열지수의 변이를 개방도에 의해 설명하기 위한 2차 회귀식을 작성한 바 회귀식의 결정계수($R^2$)는 동지에 0.44, 하지에 0.50, 추분에 0.56으로 Regniere(1996)의 추정치 0.7-0.9에 비해 크게 낮았다. 따라서 개방도를 사용하여 추정된 복잡지형의 일 최고기온값은 신뢰도가 낮아 생태모형의 구동변수로 부적합하므로 반드시 과열지수를 직접 계산해서 사용해야 한다.

뇌졸중 위험지표로서의 혈중 지질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A Case-Control Study on Blood Lipids as a Risk Factor of Stroke)

  • 김정현;강경원;유병찬;최선미;백혜기;임승민;안정조;설인찬;김윤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30-837
    • /
    • 2007
  • Background and purpose : Stroke is one of the most deadly diseases and a leading cause of disability. Lipids confer an increased risk for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In spite of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oke and lipids, their relationship is not clea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lipids were associated with stroke. Method : We compared the components of blood lipids between stroke patients group (n=217,Cases), non-stroke control group (n=160, Controls) and healthy control group without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ischemic heart disease, or hyperlipidemia (n=140, Normals). These data were statically analyzed by general linear model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get each adjusted odds ratio. Result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loo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Chol), triglyceride (TG)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h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of ischemic stroke, while the blood levels of T-Chol and LDL-Chol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the blood levels of TG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of hemorrhagic stroke. The blood level o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h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cas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TG and low HDL-Chol may be risk factors of hemorrhagic stroke and ischemic stroke, high T-Chol and LDL-Chol may be risk factors of ischemic stroke, and low T-Chol and LDL-Chol may be risk factors of hemorrhagic stroke in Koreans.

  • PDF

안전성 제고를 위한 버스전용차로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Safety-Maximizing Design of Exclusive Bus Lanes)

  • 양철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32
    • /
    • 2012
  • 도로 중앙에 위치한 버스전용차로는 일반차로상에서 복수의 차로변경을 통해 일반차로의 가장왼쪽 차로에서 버스전용차로로 진입할 수 있다. 성공적인 버스전용차로 운영을 위해서 특히 주목해야 할 사항은 도로 진입구에서 도로중앙에 위치한 버스전용차로 진 출입구간까지의 적당한 차로변경구간길이이다. 차로변경길이 증감에 대한 안전민감도 분석을 통해 적절한 차로변경구간길이에 대한 지침을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차로변경구간길이에 대한 지침을 도출하기 위한 과정은 다양한 교통량 및 차로변경구간길이와 안전과의 상관관계 현장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미시적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VISSIM)을 통해 차량의 흐름을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된 각 차량의 궤도(trajectory) 데이터를 기초로 Surrogate Safety Assessment Model (SSAM)을 이용하여 차로변경구간길이 증감에 따른 차량들간의 상충횟수(또는 안전의 정도)를 조사한다. 그리고 차로변경구간길이와 상충횟수의 관계를 다중선형회귀모형으로 정립한다. 마지막으로 다중선형회귀모형을 통해 차로변경구간길이에 대한 디자인 지침을 도출한다. 디자인 지침은 차로변경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증가된 차로변경길이가 요구됨을 보여준다.

고속도로의 주행속도예측 및 주행환경만족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redicting Models of the Operating Speed and Operating environment Satisfaction Model in Expressways)

  • 김장욱;장일준;김정현;이수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31
    • /
    • 2009
  • 고속도로이용자가 주행할 때 도로기하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면, 도로이용자는 자신의 감각과 인식에 의존해 판단을 내리게 되기 때문에 고속도로의 주행성을 평가할 때 설계자와는 다른 판단을 내리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로이용자의 기대심리를 만족시키면서 안전성, 쾌적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주행속도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속도로의 기하구조적인 주행성뿐만 아니라 도로이용자가 이러한 구성요소의 조화에 의해 느끼는 감성적 측면에서의 주행환경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행속도 예측모형 구축하기 위해 6개 고속도로(경부, 서해안, 영동, 남해, 중앙, 호남)를 대상으로 주행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선형요소, 교통운영특성 요소로 분류하였다. 주행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를 이용한 주행속도예측모형 구축 및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주행환경만족도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량화 제II류 및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여 고속도로 주행환경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을 규명하였다. 또한 수량화 제I류 및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사회인식 및 고속도로 이용자의 실제인식의 변화가 고려된 고속도로의 주행환경만족도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모형을 통해 주행속도와 같은 정량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도로이용자가 느끼는 고속도로의 주행환경만족도와 같은 정성적인 요인에 대한 결과도 제시할 수 있어서 도로이용자가 느끼는 변화된 교통 환경과 인식여부가 반영된 고속도로의 주행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물수지 분석을 위한 불확실성 정량화 (Quantifying Uncertainty for the Water Balance Analysis)

  • 이승욱;김영오;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281-292
    • /
    • 2005
  •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물의 과부족 또는 가용한 물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물수지 분석을 실시한다. 물수지 분석은 미래 예측되는 용수수요량과 공급가능량을 비교하는 단순한 과정이지만, 분석 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자료와 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물수지 분석을 실시한 각종 보고서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onte Carlo simulation 기법 중 Latin Hypercube sampling에 기반한 확률적 모사로 물수지 분석에서의 불확실성을 표현하고 분석하였다. 대표 물수지 입력변수로 자연유량, 생공용수, 농업용수, 회귀율을 선정하여 이를 선형회귀와 entropy 이론으로 분포를 설정하였고, 불확실성 분석을 통하여 물부족량에 대한 불확실성의 범위와 위치를 규명하였다. 금강수계 3개의 소유역에 대해 불확실성 분석을 한 결과, 기존의 물수지 분석에서의 단일 물부족량이 과소 및 과대 추정될 수 있음을 보였고,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농업회귀율이 입력변수들 중 가장 큰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나 결과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reastfeeding and Ovarian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40 Epidemiological Studies

  • Li, Da-Peng;Du, Chen;Zhang, Zuo-Ming;Li, Guang-Xiao;Yu, Zhi-Fu;Wang, Xin;Li, Peng-Fei;Cheng, Cheng;Liu, Yu-Peng;Zhao, Ya-Shu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4829-4837
    • /
    • 2014
  • The presen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any association between breastfeeding and the risk of ovarian cancer. A systematic search of published studies was performed in PUBMED and EMBASE and by reviewing reference lists from retrieved articles through March 2013. Data extraction was conducted independently by two authors. Pooled relative risk ratios were calculated using random-effect models. Totals of 5 cohort studies and 35 case-control studies including 17,139 women with ovarian cancer showed a 30% reduced risk of ovarian cancer when comparing the women who had breastfed with those who had never breastfed (pooled RR = 0.70, 95% CI: 0.64-0.76; p = 0.00), with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the studies (p = 0.00; I2 = 76.29%). A significant decreasd in risk of epithelial ovarian cancer was also observed (pooled RR = 0.68, 95% CI: 0.61-0.76). When the participants were restricted to only parous women, there was a slightly attenuated but still significant risk reduction of ovarian cancer (pooled RR = 0.76, 95% CI: 0.69-0.83). For total breastfeeding duration, the pooled RRs in the < 6 months, 6-12 months and > 12 months of breastfeeding subgroups were 0.85 (95% CI: 0.77-0.93), 0.73 (95% CI: 0.65-0.82) and 0.64 (95%CI: 0.56-0.73), respectively. Meta-regression of total breastfeeding duration indicated an increasing linear trend of risk reduction of ovarian cancer with the increasing total breastfeeding duration (p = 0.00). Breastfeeding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ovarian cancer, especially long-term breastfeeding duration that demonstrated a stronger protective effect.

한국 어린이의 안축장과 신체 계측치와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 Anthropometric Value in Korean Children)

  • 김효진;류정묵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97-402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안축장과 신체 계측치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서울지역에서 11-12세(평균 연령: $11.95{\pm}0.22$세, 여학생: 45.0%)의 초등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분 간섭측정법에 의한 안축장, 각막 곡률반경, 굴절이상도, 신장(m), 그리고 체중(kg)을 측정하였고, 체질량지수(BMI $[kg/m^2]=weight/[height]^2$)와 비만정도지수(DO[%]=[actual weightstandard weight]/standard weight)는 계산하였다. 근업 활동으로 1일 평균 독서시간, TV 시청시간, 그리고 컴퓨터 사용시간에 대하여 설문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평균 굴절이상도는 $1.06{\pm}0.84D$였고, 이들의 안축장과 몸무게(r=0.427, p=0.006), 체질량지수(r=0.508, p=0.001), 비만정도지수(r=0.371, p=0.018)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안축장은 체중(p=0.041)과 체질량지수(p=0.015)의 1사분위수, 그리고 비만정도지수가 가장 높은 그룹(p=0.042)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연령, 성별, 그리고 근업 활동을 보정한 후에 다중회귀분석에서 체중, 체질량지수 그리고 비만정도지수는 안축장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 특히, 근업 활동에서 1일 독서시간은 안축장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한국 초등학생의 안축장은 체중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긴 안축장과 1일 독서시간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미세먼지가 울산지역 초등학생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ne Particles on Pulmonary Fun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Ulsan)

  • 유승도;차정훈;김대선;이종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65-371
    • /
    • 2007
  • To evaluate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respiratory health in children, We conducted a longitudinal study in which children were asked to record their daily levels of Peak Expiratory Flow Rate(PEFR) using potable peak flow meter(mini-Wright) for 4 weeks.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PEFR and ambient air particle levels was analyzed using a mixed linear regression models including gender, age in year, weight, the presence of respiratory symptoms, and relative humidity as an extraneous variable. The daily mean concentrations of $PM_{10}$ and $PM_{2.5}$ over the study period were $64.9{\mu}g/m^3$ and $46.1{\mu}g/m^3$, respectively. The range of daily measured PEFR in this study was $182{\sim}481\;l/min$. Daily mean PEFR was regressed with the 24-hour average $PM_{10}(or\;PM_{2.5})$ levels, weather information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ex, weight, and respiratory symptom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air particle concentration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variability in PEFR. We estimated that the IQR increment of $PM_{10}$ or $PM_{2.5}$ were associated with 1.5 l/min (95% Confidence intervals -3.1, 0.1) and 0.8 l/min(95% CI -1.8, 0.1) decline in PEFR. Even though this study showed negative fi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iratory function and air particles, it was worth noting that the findings must be interpreted cautiously because exposure measurement based on monitoring of ambient air likely resulted in misclassification of true exposure levels and this was the first Korean study that $PM_{2.5}$ measurement was applied as an index of ai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