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ar arrangement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3초

타이산(泰山) 홍문궁(紅門宮) 패방(牌坊)의 공간 기능 분석 (Analysis of Space Functions of the Archway in the Red Gate Palace in the Mount Tai Scenic Area)

  • 장멍;강태호;탕샨샨;위동밍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60-170
    • /
    • 2017
  • 현관식 기념 건축물로 축조하는 패방은 정표와 장려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대의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역사 문화적인 내용 및 사회 기능이 부여된다. 본 연구는 타이산 명승지 중부에 위치한 홍문궁의 4기 패방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조사 및 시각적 분석 방법을 통해 기본 속성, 공간 척도와 공간 느낌, 기능 등 3가지 측면을 연구하였다. 연구 구간 안에 있는 패방의 재료는 모두 석조이며, 건조 위치에 따라 명승지 및 사찰의 패방 등의 2종과 기능에 따라 표지, 기념, 문형 등 3종이 있다. 형태와 크기를 보면 '공자등림처방(孔子登臨處坊)'이라는 패방의 수준이 가장 높아 유교 문화의 지위를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패방의 입지 공간은 실체와 감성 등 2가지 측면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 이해하면 전체 경관의 공간적 의미를 완전하게 파악할 수 있다. 공간 척도로 볼 때 패방은 다른 경관요소와 서로 조화를 이루고, 한정된 선형 공간 중 사물 간 또는 사물과 사람 간 상호 비교를 통해 패방의 시선 초점 기능을 강조하고, 관광객들이 패방 아래를 통과할 때의 느낌을 증진시킬 수 있다. 홍문궁 패방은 공간을 합치고 규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배열방식이 시선을 더욱 뻗어 나갈 수 있게 한다. 패방 위에 있는 대련과 글씨는 등산 전의 기대감을 증가시키고, 공간의 안내 기능을 강화시킨다.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crude protei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and carcass traits in growing-finishing pigs

  • Fang, Lin Hu;Jin, Ying Hai;Do, Sung Ho;Hong, Jin Su;Kim, Byung Ock;Han, Tae Hee;Kim, Yoo Y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4호
    • /
    • pp.204-215
    • /
    • 201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crude protein (CP)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and carcass traits in growing-finishing pigs. A total of 180 crossbred pigs ([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30.96{\pm}3.068kg$ were used for a 12-week feeding trial. Experimental pigs were allotted to a $2{\times}3$ factorial arrangement using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The first factor was two levels of dietary metabolizable energy (ME) density (13.40 MJ/kg or 13.82 MJ/kg), and the second factor was three dietary CP levels based on subdivision of growing-finishing phases (high: 18%/16.3%/16.3%/13.2% middle: 17%/15.3%/15.3%/12.2% and low: 16%/14.3%/14.3%/11.2%). Average daily gain (ADG) and gain-feed ratio (G:F ratio) decreased as dietary CP level was decreased linearly (linear, p < 0.05; p < 0.05, respectively) in the early growing period, and G:F ration also decreased as dietary CP level was decreased linearly (linearly, p < 0.05) over the whole growing phase. Ove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G:F ratio decreased as dietary ME level decreased (p = 0.01). Blood urea nitrogen (BU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as dietary energy level decreased in growing period (p < 0.01). During finishing perio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y lower dietary energy level (p < 0.05). In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ximate factors, physiochemical properties, muscle TBARS assay results, pH changes, or color of pork by dietary treatments. However, saturated fatty acid (SFA) increased (p < 0.01)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decreased (p < 0.05) when ME was decreased by 0.42 MJ/kg in growing-finishing pig diets. In addition,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tended to increase when CP level was decreased in growing-finishing pig diets (p = 0.06). A growing-finishing diet of 13.82 MJ/kg diet of ME with the high CP level can improve growth performance and show better fatty acids composition of pork.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gestating sows and growth of their progeny

  • Fang, Lin Hu;Jin, Ying Hai;Jeong, Jae Hark;Hong, Jin Su;Chung, Woo Lim;Kim, Yoo Y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3호
    • /
    • pp.154-162
    • /
    • 201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crude protein (CP) level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litter performance, milk quality, and blood profiles in gestating sows. A total of 59 multiparous sows (Yorkshire ${\times}$ Landrace) with similar body weights (BW), backfat thickness (BF), and parity were assigned to one of six treatments with 9 or 10 sows per treatment using a $2{\times}3$ factorial arrangement and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first factor was two levels of dietary metabolizable energy (ME) density (13.40 or 13.82 MJ/kg) and the second factor was three dietary protein levels based from 35 day in gestating phases (10.5%, 12%, and 13.5%). Backfat thickness change in lactating sows decreased linearly as CP level increased (p = 0.03). Increased energy level in the gestating sow diet tended to increase the total number of piglets born (p = 0.07), but piglet weight decreased (p = 0.02). Dietary CP level had a negative effect on colostrum quality. Casein, protein, total solid, and solids-not-fat concentrations decreased linearly and lactose level increased linearly as CP level in the gestating sow diet increased (casein%: p = 0.03; protein%: p = 0.04; lactose%: p = 0.06; total solids: p = 0.03; solid-not-fat: p = 0.03, respectively). However, improving ME by 0.42 MJ/k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w colostru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glucose concentration in gestating sows when sows were fed different levels of energy during gestation, but blood glucose increased at 21 day of lactation when energy increased by 0.42 MJ/kg (p = 0.04). Blood urea nit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linearly when dietary CP levels increased at 110 day in gestation, 24-hours postpartum, and 21 days of lactation (linear, p < 0.05, p < 0.05, and p < 0.05, respectively), and it also increased when dietary energy increased at 110 days of gestation and 24-hours postpartum (p < 0.01, and p < 0.01, respectively). A gestating sow diet containing 13.82 MJ/kg ME and 10.5% CP can improve reproductive performance, litter performance, and colostrum quality.

Effects of dietary energy and crude protei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weaning pigs

  • Fang, Lin Hu;Jin, Ying Hai;Do, Sung Ho;Hong, Jin Su;Kim, Byung Ock;Han, Tae Hee;Kim, Yoo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556-563
    • /
    • 2019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ucing dietary metabolic energy (ME) and crude protein (CP)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weaning pigs. Methods: A total of 240 crossbred pig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8.67{\pm}1.13kg$ were used for a 6-week feeding trial. Experimental pigs were allotted to a $2{\times}3$ factorial arrangement using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first factor was two levels of dietary ME density (low ME level, 13.40 MJ/kg or high ME level, 13.82 MJ/kg) and the second factor was three dietary CP levels based on subdivision of early and late weaning phases (low CP level, 19.7%/16.9%; middle CP level, 21.7%/18.9%; or high CP level, 23.7%/20.9%). Results: Ove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among groups, but a decrease in diet energy level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average daily feed intake (p = 0.02) and decrease in gain-feed ratio (G:F) ratio (p<0.01). Decreased CP levels in the diet were associated with a linear increase in average daily gain (p<0.05) and quadratic increase in G:F ratio (p<0.05). In the early weaning period, blood urea nitrogen concentration tended to increase when ME in the diet decreased and decrease when CP level in the diet decreased (p = 0.09, p<0.01, respectively). Total protein concentration tended to increase when CP level was reduced (p = 0.08). In the late weaning period, blood urea nitrogen concentration decreased linearly as CP level decreased (p<0.01). The CP and crude fat digestibility decreased when ME was decreased by 0.42 MJ/kg (p = 0.05, p = 0.01, respectively). The CP digestibility increased linearly as CP level decreased (p = 0.01). Conclusion: A weaning pig diet containing high ME level (13.82 MJ/kg) and low CP level (19.7%/16.9%) can improve pig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순간 노출되는 표적의 식별과 부적 반복효과에 지각부하가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ptual load on target identification and negative repetition effect in post-cueing forced choice task)

  • 김인익;박창호
    • 인지과학
    • /
    • 제33권1호
    • /
    • pp.1-22
    • /
    • 2022
  • 지각부하 이론(Lavie, 1995)에 따르면 지각부하가 높을수록 방해자극의 영향이 감소한다. 지각부하를 다룬 연구들은 문자열에서 표적 문자의 탐지에 걸린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Eriksen과 Eriksen(1974)의 측면자극 과제(flanker task)를 주로 사용하였다. 한편, 순간 노출되고 사라진 문자열 중 보고해야 할 표적이 후단서로 지시되는 후단서 강제선택 과제에서는 부적 반복효과(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가 관찰된다. 이 효과는 나란히 제시된 두 문자가 서로 다른 경우보다 동일할 때, 표적의 식별률이 더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후단서 강제선택 과제는 정보처리의 초기지각 단계와 관련한 처리 과정을 잘 보여준다. 본 연구는 지각부하가 후단서 강제선택 과제에서 표적의 정확 식별률과 NRE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지각부하는 후단서에 의한 강제선택 대상인 두 문자(표적 후보) 사이에 삽입되는 제3의 문자의 유사성(실험 1; 'ㄹ', 'ㅅ', '·')과 개수(실험 2; 0개, 2개-왼쪽 대각선 배치와 오른쪽 대각선 배치, 4개, 실험3; 2개, 4개)로 조작했다. 실험 1에서 NRE의 경향성이 관찰되었으나 지각부하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NRE가 유의하였으며, 지각부하는 유의하였으나, NRE와의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3은 부하자극의 위치 변동성을 도입하여 강화된 지각부하의 수준에 따라 NRE가 변화할 것인지를 다시 확인하였는데, 지각부하의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순간 노출된 표적에 대한 분리주의과정으로 인해 지각부하가 지각 정보처리의 초기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평면 소자형 락테이트 바이오센서 (Planar microchip-based lactate biosensor)

  • 하정한;허황;강태영;이용석;윤순호;신정원;남학현;차근식
    • 분석과학
    • /
    • 제19권6호
    • /
    • pp.482-489
    • /
    • 2006
  • Pediococcus에서 추출된 lactate oxidase(LOD)를 poly(vinyl alcohol)(PVA)에 고정화하여 2전극계로 구성된 lactate 바이오센서를 제조하였다. Lactate는 LOD 효소와의 반응에서 생성되는 $H_2O_2$를 전기화학적으로 금(Au)위에 형성시킨 Pt-black 층에서 산화시켜 정량 할 수 있었다. Pt-black으로 만들어진 센서는 과산화수소에 대해서 낮은 전위(+300 mV vs. Ag/AgCl)에서 큰 산화전류를 보여주었으며, ascorbic acid, acetaminophen, uric acid 등과 같이 산화되기 쉬운 산화 종들의 영향을 감소시켜주었다. 외부보호막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였다. 센서는 in vitro 방식으로 흐름계와 비흐름계 모두에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작된 센서는 0.05 M NaCl을 포함하는 0.05 M 인산염 완충용액(pH 7.6)에서 성능을 시험하였으며, 0.1 mM에서 9.0 mM의 lactate 농도구간에서 직선적 감응성을 나타내었다. 최적화된 센서는 $4^{\circ}C$ 완충용액에 보관하였으며, 25일 이상 감응도(sensitivity)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정위적 방사선 수술시 3차원적 공간상 단위분포들의 자동계산법에 의한 간접적 병소 근사화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Independent Target Approximation by Auto-computation of 3-D Distribution Units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 최경식;오승종;이정우;김정기;서태석;최보영;김문찬;정현태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6권1호
    • /
    • pp.24-31
    • /
    • 2005
  • 정위적 방사선 수술은 한 번에 두 개내 병소에는 고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하면서, 주위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방사선이 조사되도록 시술하는 치료기법이다. 본 연구는 정위적 방사선 수술시 자동적 치료계획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형가속기와 감마나이프의 다수의 회전중심점을 이용하는 치료계획에 대한 물리적 격자구조에 기반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최적의 방사선 수술계획은 많은 빔관련 변수들의 조합으로서 만들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가속기와 감마나이프 수술시 빔 측면도의 50% 수준에서의 선량분포가 콜리메이터/헬멧의 구멍 크기와 일치하는 점을 이용하여 하나의 회전중심점을 중심으로 선량분포를 구형으로 모델화시켰다. 그리고, 다수의 회전중심점들은 병소내 위치와 크기를 고려한 정육면체 구조와 1×1×1 ㎣의 체적소 단위의 계산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치시켰다. 이 기법에 의한 치료계획 방법은 선량체적히스토그램, 선량의 일치성, 선량의 균질성의 병소내 선량분포로서 평가되었다. 그 결과, 새로운 기법은 불규칙한 병소들에 대하여 프로그램 시스템에 의해 빠르게 다수의 회전중심점들을 배치시켰다. 또한, RTOG의 권고사항에 언급된 병소내 선량분포의 일치성, 균질성이 기준을 잘 만족하였고, 병소들은 50% 이상의 등선량 곡선 내에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성과는 불규칙하게 형성된 병소와 선형가속기나 감마나이프와 같은 다른 치료 장치 기법들에서 특별한 제약없이 보편적으로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사료의 에너지 및 조단백질 함량이 토종오리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etabolizable Energy and Crude Protein Concentration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Ducks)

  • 김홍래;권형주;오성택;윤정근;최영인;추연경;강보석;김학규;홍의철;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7-175
    • /
    • 2012
  • 본 실험은 대사 에너지와 조단백질 수준이 토종오리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성 전기는 토종오리 828수를 9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고, 육성 후기는 육성 전기를 거친 토종오리 중 720수를 9개 처리에 공시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의 실험 사료는 ME 3,000, 2,900 및 2,800 kcal/kg, CP 23, 22 및 21%이었으며, 육성 후기에는 ME 3,100, 3,000 및 2,900 kcal/kg, CP 19, 18 및 17%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육성 전기 실험 결과는 CP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지만(Linear effect, P<0.01), ME 수준과 $ME{\times}CP$ interaction에 의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균일도는 ME, CP 수준과 $ME{\times}CP$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성 후기 실험 결과는 체중,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및 균일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도체율에서는 ME 3,000 kcal/kg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Quadratic effect, P<0.01), ME와 CP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간의 상대적 중량이 유의적으로 각각 작아지는 결과(Linear effect, P<0.01)가 나타났다. 가슴육, 넓적다리 및 북채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수준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종오리 고기의 화학 및 물리적 특성인 육색, pH, 가열 감량 및 전단력가에서는 ME 및 CP 수준과 $ME{\times}CP$ interaction 모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MFW 치료 시 ViewRay의 표면선량 측정에 따른 임상 적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by surface dose measurement of ViewRay in MFW treatment)

  • 선거준;손상준;이양훈;이제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0권1_2호
    • /
    • pp.169-176
    • /
    • 2018
  • 목 적 : Bolus 적용 유, 무와 치료기에 따른 피부 선량을 측정, 비교하여 Malignant Fungating Wound와 같이 높은 피부 선량을 요구하는 경우 피부 선량 증가 목적으로 Co-60 ViewRay 치료계획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표면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Rando phantom을 이용하여 좌측유방 중심부를 기준으로 2.5 cm 격자 배열의 9개의 내측 측정지점과, 유방과 피부와 접하는 상하, 좌우 4개의 외측 측정지점을 포함한 총 13개 측정지점을 표시하였다. CT를 촬영을 하여 Eclipse와 ViewRay-TPS를 통해 각각의 치료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좌측유방 V2Gy = 95 %가 전달되도록 Fixed beam-IMRT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측정 전 QED 검출기를 교정하였으며 Phantom에 표시된 13개의 측정지점에 QED 검출기를 위치시켜 각 치료계획 별 표면선량을 True-beam과 View-ray를 이용하여 5 mm Bolus 적용 전과 후, 각각 3회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5 mm Bolus를 적용 전 Co-60 Viewray와 선형가속기의 표면선량은 $76.8%{\pm}5.2%$ vs. $67.3%{\pm}7.5%$로 나타났으며, 5 mm Bolus 적용 후 표면선량은 각각 $87.6%{\pm}8.9%$ vs. $80.3%{\pm}10.2%$로 측정되었다(p<0.001). 결 론 : 각 치료기의 표면선량 측정결과, Co-60 ViewRay는 Bolus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표면 선량이 일반 5 mm Bolus를 사용한 6 MV 선형가속기의 95.6 % 수준 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01). 또한 매 회 치료마다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피폭 문제없이 치료 부위 변화를 관찰할 수 있어 적응형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쉽고 피부 선량 확보가 수월하므로, 크기 변화가 빠르고 높은 피부선량을 요구하는 Malignant Fungating Wound 환자의 경우 Co-60 ViewRay가 선형가속기에 비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Dietary Concentrate:forage Ratios and Undegraded Dietary Protein on Nitrogen Balance and Urinary Excretion of Purine Derivatives in Dorper×thin-tailed Han Crossbred Lambs

  • Ma, Tao;Deng, Kai-Dong;Tu, Yan;Jiang, Cheng-Gang;Zhang, Nai-Feng;Li, Yan-Ling;Si, Bing-Wen;Lou, Can;Diao, Qi-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161-168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etary concentrate:forage ratios (C:F) and undegraded dietary protein (UDP) on nitrogen balance and urinary excretion of purine derivatives (PD) in lambs. Four Dorper${\times}$thin-tailed Han crossbred castrated lambs with $62.3{\pm}1.9$ kg body weight at 10 months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wo levels of C:F (40:60 and 60:40) and two levels of UDP (35% and 50% of CP), according to a complete $4{\times}4$ Latin-square design. Each experimental period lasted for 19 d. After a 7-d adaptation period, lambs were moved into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for 12 d including 7 d of adaption and 5 d of metabolism trial. During the metabolism trial, total urine was collected for 24 h and spot urine samples were also collected at different times. Urinary PD was measured using a colorimetric method and creatinine was measured using an automated analyzer. Intake of dry matter (DM) (p<0.01) and organic matter (OM) (p<0.01) increased as the level of UDP decreased. Fecal N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 (p>0.05) while urinary N increased as the level of UDP decreased (p<0.05), but decreased as dietary C:F increased (p<0.05). Nitrogen retention increased as dietary C:F increased (p<0.05). As dietary C:F increased, urinary excretion of PD increased (p<0.05), but was not affected by dietary UDP (p>0.05) or interaction between dietary treatments (p>0.05). Daily excretion of creatinine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p<0.05), with an average value of $0.334{\times}0.005$ mmol/kg $BW^{0.75}$. A lin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otal PD excretion and PDC index ($R^2$ = 0.93). Concentrations of creatinine and PDC index in spot urine were unaffected by sampling time (p>0.05) and a good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DC index (average value of three times) of spot urine and daily excretion of PD ($R^2$ = 0.88).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animals fed ad libitum, the PDC index in spot urine is effective to predict daily excretion of PD.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pot sampling technique, an appropriate lag phase between the time of feeding and sampling should be determined so that the sampling time can coincide with the peak concentration of PD in the ur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