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dera obtusiloba B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GC-MS를 이용한 계절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의 부위별 향기 성분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Essential Oils Composition in Difference Parts from Lindera obtusiloba BL. according to the Season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 황승환;최세진;황영선;임순성
    • 생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0-40
    • /
    • 2013
  • The essential oils of stems, roots, fruits and leaves of Lindera obtusiloba BL. were collected in the winter and summer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SDE) apparatus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In present study, 58 kinds of volatile components in the winter stems (WS), 70 in the winter roots (WR), 77 in the summer stems (SS), 78 in the summer roots (SR), 70 in the summer fruits (SF) and 76 in the summer leaves (SL) were ident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components were monoterpenes including ${\alpha}$-thujene (1.22~13.80%) camphene (1.56~18.40%), ${\beta}$-mycrene (1.75~9.27%), limonene (5.57~12.83%), ${\beta}$-phellandrene (3.03~7.72%), linalyl acetate (2.29~12.55%), dihydromycrene (0~11.15%), germacrene B (0~7.54%) of which the contents had major fluctuations in different seasons and parts. In general, monoterpenes were the major constituent of SF in L. obtusiloba BL. that have presented possibilitie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Leaf Teas of Lindera obtusiloba BL. by Processing Methods)

  • 황경아;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8-7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차의 계승과 새로운 식품의 개발하고자 생강나무의 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재차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은 덖음차 81종, 찐후덖음차 78종, 자연건조차 88종, 발효차 86종, 찐차 72종 및 인공건조차 89종의 분리할 수 있었다. 생강나무 잎차의 향기성분은 $\beta-piepne$을 비롯한 hydrocarbone류가 45종이 동정되었으며, 가장 많은 종류의 성분이 분포되었다. Alcohol류는 L-linalool, n-octanoal, phenyl acetaldehyde, $(-)-\alpha-terpineol$, elemol, cholest-5-en-3-ol, 등 16종, 2-nitro-2(3-hydroxybuthyl) -clododexanone, 3-(3-butenyl)-2,3-epoxy-cyclohexanone, 2-ethyl-2-propyl- cyclo-hexanone 등 11종의 ketone류가, phenyl acetaldehyde, tetradecanal, 10-undecanal, 4-Bromo-2- methylbutanal 등 8종의 aldehyde류가 동정되었다. 또한 ester류는 methyl 9, 12, 15-octadecatrienate, didodecyl phthalate, 1,2-benzenediccar-baboxy acid-bis(2-ethylhexyl) ester 3종류가 동정되었고, 또한 phenol류는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이 동정되었다.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from Lindera obtusiloba BL. Extract)

  • 방채영;원은경;박권우;이광원;정세영
    • 약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355-360
    • /
    • 200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xidant activity of against several free radicals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70% ethanol extract (leaf extracts and branch/stem mixed) of Lindera obtusiloba BL.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by DPPH, superoxide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assays. The Lindera obtusiloba BL. extract had antioxidant activity dose dependently with an ${IC}_{50}$ value of 243.14 and 181.10 ${\mu}g$/ml for DPPH, 165.77 and >1500 ${\mu}g$/ml for non-enzymatic system of superoxide radical assay, 35.47 and >100 ${\mu}g$/ml for enzymatic system of superoxide radical assay, 1.21 mg/ml for hydroxyl radical assay. In addition we teste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on B16 melanoma F10. B16 melanoma cell was treated by such sample as 1, 5, 10 and 50 ${\mu}g$/ml for 72 hr and tyrosinase inhibition was tested. Melanogenesis was inhibited to 22% at the dose of 50 ${\mu}g$/ml and tyrosinase was inhibited to 45.2% at the same dose. In conclusion Lindera obtusiloba BL ha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tyrosinase and melanin formation. It could be developed as the health functional food and functional cosmetic resources.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성분변화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Lindera obtusiloba BL. Leaf Teas by Manufacturing Process)

  • 황경아;김광수;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88-492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생하고 있는 생강나무잎을 식품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식품으로 이용하고자 여러가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차의 환원당, 유리당 및 아미노산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강나무잎차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4종의 유리당이 동정되었으며, 덖음차에서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sparagine, glycine 등이 대체로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덖음처리한 생강나무잎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111.6 mg/100g(덖음차), 101.5 mg/100g(찐후덖음차)로 가장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는 phosphoserine, $\alpha$-aminobtyric acid, $\beta$-aminobutyric acid, anserine 등은 함량이 높았으며, 제조방법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생강나무에서 분리한 Flavonoid 배당체의 화학구조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Flavonoid Glycosides from Lindera obtusiloba BL.)

  • 박종철;유영법;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6-79
    • /
    • 1996
  • 생강나무 (Libdera obtusiloba BL.)의 페놀성 화합물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잎고 줄기의 MeOH 엑스로부터 계통 분획한 EtOAc 분획물은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2종의 화합물을 얻었다. IR, UV,$^1H-NMR$, $^13C-NMR$ 등의 분석을 행하여 화학구조를 밝힌 결과 이들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잎에서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ide(quercitrin),$ 줄기에서는 quercetin $3-O-\beta-D-galactoyranoside(hyperoside)로$ 각각 결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생강나무에서 처음으로 분리하였다.

  • PDF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특성변화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ndera obtusiloba BL. Leaf Teas by Manufacturing Process)

  • 황경아;김광수;박찬성;신승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5-371
    • /
    • 2003
  • 본 연구는 독특한 맛과 향이 있는 생강나무 잎을 이용하여 제조 방법에 따른 잎차의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인공건조차가 6.71%로 가장 높았고 찐후덖음차가 5.18%로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발효차가 15.33%로 가장 높았고 덖음차가 8.3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제차방법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탄닌 함량은 찐후 덖음차가 3.29%로 가장 높았으며 발효차가 2.26%로 가장 낮았다. 생강나무잎차의 비타민 C 함량은 덖음차에서 37.17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찐차가 16.70 mg/100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제조방법에 따른 무기질함량의 차이는 없었지만, K, Na, Mn, Ca, Fe, Mg, Zn 순의 함량으로 나타났다. 생강나무잎차의 냄새, 맛등 전체적 기호도는 찐후 덖음차가 다른제조방법에 비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강나무의 잎차의 제조방법은 기호성과 영양성이 비교적 우수한 찐후 덖음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한다.

생강과 생강나무의 향기성분조성 비교 (Volatile Aromatic Components of Ginger(Zingiber officinalis Roscoe) Rhizomes and Japanese Spice Bush(Lindera obtusiloba BL))

  • 문형인;이재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13
    • /
    • 1997
  • 생강나무의 향기성분 조성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C상에서 생강나무는 꽃, 잎, 줄기 각각 60, 80, 83개의 peak가 관찰되었으며, 주요 성분군은 생강나무의 경우는 꽃의 경우는 sabinene, $eta$-myrcene, 1-limonene, cir-3-hexanal, ${\gamma}$-terpinene,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1-borneol, $\delta$-guaiene, ledene, $\delta$-ca-dinene, elemol, 9-octadecanal, 1-(1,5diNe-4-hexenyl ) -4-mebenzene, $\alpha$-chamigrene, ${\gamma}$-selinene, $\beta$-endesmol, 1-phellandrene, 3-Me-6-(1-Me, ethyl ) -2-cyclohexen-1-one, epiglobulol의 성분이, 잎의 경우는 phellandrene, $\alpha$-terpinolene, sabinene, $\beta$-myrcene, ι-limonene, cis-3-hexanal, ${\gamma}$-terpinene,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1-borneol, $\delta$-guaiene, ledene, $\delta$-cadinene, olemol, 9-octadecanal, ${\gamma}$-selinene, o-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beta$-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beta$-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alpha$-terpinene, ledene, 1-borneol, ${\gamma}$-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gamma}$-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delta$-guaiene, $\delta$-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beta$-endesmol, $\alpha$-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beta$-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beta$-eudesmol, $\delta$-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beta$-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