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e Ston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Different Substrate Characteristics on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Epilithic Diatoms in Two First-Order Streams

  • Ishida, Noriko;Iyoda, Yumi;Mitamura, Osamu;Choi, Jun-Kil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137-143
    • /
    • 2008
  • The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epilithic diatoms grown on different substrata were investigated in two first-order streams located in a limestone and granite area, north of the Suzuka Mountains in Central Japa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s follows: limestone and granite without algae were submerged in their own streambed or another stream station and incubated for seven weeks, while limestone and granite with algae were transferred to another stream station and incubated at the same time. The diatom biomass was consistently high in the lime-stone station experiments compared to those at the granite station. In addition, there was more diatom biomass on granite substrata than on the limestone substrata at both stations.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water chemistry including the major nutrient concentrations was the limiting factor for algal growth in these two streams; however, when the water chemistry was the same in each stream, the difference in substratum characteristics became the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diatom abundance. The diatom community grown on the transferred substrata with and without algae became similar to those grown on the original substrata in each stream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It wa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the substrata characteristics on the diatom community structure was rather small.

산업폐기물인 적니를 이용한 불소 제거 (Fluoride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Industrial Waste Red Mud)

  • 엄병환;조성욱;강구;박성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3호
    • /
    • pp.35-40
    • /
    • 201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dsorption potential of red mud for fluoride removal. Different operation parameters such as the effect of contact time, initial concentration, pH, competing anions, seawater, adsorbent dose amount, and adsorbent mixture were studied. Nearly 3 hr was required to reach sorption equilibrium. Equilibrium sorption data were described well by Langmuir model an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f red mud was 5.28 mg/g. The fluoride adsorption at pH 3 was higher than in the pH range 5-9. The presence of anions such as sulfate, nitrate, phosphate, and bicarbonat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fluoride adsorption onto red mud. The fluoride removal by red mud was greater in seawater than deionized water,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calcium and magnesium ion in seawater. The use of red mud alone was more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fluoride than mixing red mud with other industrial waste such as oyster shells, lime stone, and steel slag. This study showed that red mud has a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remediation of fluoride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담수답의 특성을 고려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의 토양개량공법 효과 검토 (An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Stabilization Methods for Rice Paddies contaminated by Heavy Metal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Paddy)

  • 유찬;윤성욱;이정훈;최승진;이성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455-1471
    • /
    • 2009
  • In order to investigate on the effect of stabilization methods for rice paddies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a series of lab-scale model test was carried out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Paddy soil. To perform the lab-scale model test, columns were made by acrylic with the dimension of diameter=10cm, thickness=0.5cm and were filled with soils which was contaminated were mixed with stabilization agents(lime stone 5% and steel refining slag 5% respectively). To manipulate the reduction condition, soils in the columns were submerg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soil water and subsurface water in each column were sampled in the regular term and analysed the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 PDF

국내(國內) 석회석(石灰石)의 품위(品位) 향상(向上) 필요성(必要性) (Necessity of Refining Domestic Limestone)

  • 김형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4호
    • /
    • pp.3-22
    • /
    • 2011
  • 최근까지 국내에서는 노천에 부존된 고품위 석회석이 주로 채광되었기 때문에 고품위 석회석의 매장량은 감소되었다. 현재는 노천에 부존된 고품위 석회석이 고갈되어 석회석의 채굴적이 심부화되고 있다. 그러나 석회석 광체가 심부화될수록 석회석에 함유된 불순물 및 유색광물의 양이 많아져 석회석의 품위가 낮아진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석회석의 광상 특성, 수당현황, 그리고 용도별 규격을 조사하고 국내외 석회석 정제기술의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석회석의 품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Investigation on economical method of foundation construction on soft soils in seismic zones: A case study in southern Iran

  • Javad Jalili;Farajdollah Askari;Ebrahim Haghshenas;Azadeh Marghaiezadeh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2권2호
    • /
    • pp.209-232
    • /
    • 2023
  • A comprehensive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economical foundations for a number of buildings on soft cohesive soil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of Iran. Both static and seismic loads were considered in the design process. Cyclic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cohesive soil of the area has potential for softening. Consequently, the major challenge in the design stages was relatively high dimensions of settlement, under both static and seismic loadings. Routine soil-improvement methods were too costly for the vast area of the project. After detailed numerical modeling of different scenarios, we concluded that, in following a performance-based design approach and applying a special time schedule of construction, most of the settlement would dissipat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s. Making the foundation as rigid as possible was another way to prevent any probable differential settlement. Stiff subgrade of stone and lime mortar under the grid foundation and a reinforced concrete slab on the foundation were considered as appropriate to this effect. In favor of an economical design, in case the design earthquake strikes the site, the estimations indicate no collapse of the buildings even if considerable uniform settlements may occur. This is a considerable alternative design to costly soil-improvement methods.

장무이묘 출토 명문전(銘文塼)의 고고학적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n Archaeological Review of the Inscribed Bricks Excavated from the Tomb of Jang Mui: A Focus o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나경
    • 박물관과 연구
    • /
    • 제1권
    • /
    • pp.36-73
    • /
    • 2024
  • 황해도 봉산군에 위치한 장무이묘에서는 피장자의 이름과 직책, 축조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명문전이 출토되어 조사 초부터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전돌에 찍힌 '대방태수장무이(帶方太守張撫夷)'와 '무(戊)', '신(申)'과 같은 명문은 한강 지역에서 황해도 봉산군 일대로 대방군 치지가 옮겨 왔다는 이동설의 근거가 되었으며, 장무이묘는 지탑리 토성과 함께 조사 초기부터 대방군의 유적으로 소개되었다. 장무이묘 출토 명문전은 여러 지면을 통해 사진 및 탁본 자료가 공개되어 명문의 해석을 중심으로 축조 연대, 피장자의 성격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도쿄대학교 공학부 건축학과 소장품을 제외하고 실물 자료가 거의 공개되지 않아 명문전의 종류나 명문 내용에 대한 일관된 연구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외에 장무이묘의 구조와 축조 재료 등을 재검토한 선행 연구 이후 장무이묘의 축조 시기를 대방군 멸망 이후인 348년이라고 보는 견해가 주를 이루게 되었지만, 출토 유물의 전부를 차지하는 전돌에 대한 충분한 검토는 아직까지 부족하다. 장무이묘를 포함한 대부분의 전실묘 출토 전돌은 명문전과 문양전만 수습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측면에 찍힌 명문과 문양만 자료화되어 전돌 자체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장무이묘 출토 전돌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11종 61점을 중심으로 명문 내용을 재정리하고 형태를 중심으로 분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성형과 건조, 소성에 이르는 제작기법을 검토하여 건축 부재로서의 장무이묘 전돌을 살펴보았다. 이 결과를 2~4세기에 걸친 낙랑군·대방군, 그리고 낙랑군·대방군 축출 이후 전실묘 전돌과 비교하는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장무이묘 전돌에 대한 관찰 결과, 기본적인 제작기술은 낙랑 전돌 제작기술을 계승하고 있으나 크기나 석회 사용, 명문전의 수량 등에서는 4세기 중반 경 축조된 전실묘 혹은 전석혼축묘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요소가 확인되어 장무이묘 축조시기를 348년으로 본 기존의 견해가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무이묘는 전실묘라는 기존의 묘제를 고수하고 있지만 천장은 석재를 사용하여 마무리하였고, 낙랑·대방군의 제작 기법을 이은 전돌을 사용하였지만 그 위를 석회로 덮어버리는 등 기존 낙랑·대방군의 전실묘 전통과 새로운 요소가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모습은 대방군 축출과 고구려의 진출이라는 당시 정치적 상황과도 맞물려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무덤의 구조나 재료, 무덤의 축조 위치와 같은 고고학적 자료로 보면 고구려와의 관련성이 높다. 그러나 명문전의 형태나 명문의 내용 등은 오히려 3~4세기대 강소성과 절강성 지역의 전실묘와 유사한 점이 많다. 향후 석회의 사용이 고구려의 영향인지 아니면 대방군 지역의 전통이 이어진 것인지에 대한 검토, 그리고 동시기 석개천장묘와의 비교 검토 등과 같은 추가 연구가 이어진다면 보다 선명하게 '장무이(張撫夷)'를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비금속광물 제품제조업에서 발생하는 분진 농도와 분진 노출기준 적용에 따른 문제점 고찰 (The concentrations of airborne dust in non-metallic products factori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 김현욱;피영규;원정일;고원경;노영만;신창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4-114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current status of dust concentrations in the factories producing non-metallic products in Korea. Data were gathered from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reports by 40 workplace environmental monitoring institutes and the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e study by the authors. A total of 1838 dust samples from 368 plants were obtained from the reports and were analyzed with no data modifications. But data on asbestos, rock wool, and welding fumes were excluded in this evaluation. The factories were classified into eight groups according to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schem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actories included were glass, non-refractory ceramic, refractory ceramic ware, structural non-refractory clay and ceramic, cement and lime, articles of concretes, and stone. Mean(geometric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dust samples ranged from $1.75(0.84)mg/m^3$ to $5.87(2.84)mg/m^3$.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dust concentrations were found in the cement and lime industries compared with other industries. 2. The non-compliance rates were 15.2% in glass and 20.6% in other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industries. Although all institutions surveyed utilized the identical sampling and classification scheme for dusts as specified in the current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wide discrepancies were found in collecting samples and classifying dusts. Further problems were discovered in classifying dusts. A dust sample collected could be classified into any of the three groups regardless of silica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ust concentrations in the non-metallic products industries varied widely. Also discovered was classification errors of dust types among workplace monitoring institutes. These errors could adversely affect the results of exposure assessments and the true nature of dust hazards. Further, no institutions performed respirable dust sampling and analysis of crystalline silica. In order to correct these malpractices, current standards of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should be revised and tight supervision by the Ministry of Labour be suggested.

  • PDF

대가야 고아동 고분벽화 제작기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Mural Tomb in Goa-dong of Daegaya Period)

  • 이화수;이한형;이경민;한경순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7-466
    • /
    • 2014
  • 고대 대가야시대(6세기) 고분벽화에 사용된 제작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벽화 구조와 재질에 대한 정밀분석을 실시하였다. 벽화는 석실을 축조 후 벽면과 천정에 모르타르를 바르고 그 위에 바탕칠층을 조성하여 채색하였다. 천장을 제외한 사면의 벽면에는 모르타르 위로 대부분 진흙이 덧발려져 있다. 모르타르는 모래는 사용되지 않았고, 순수한 칼슘성분의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소성(燒成)이 완전히 진행되지 않은 불규칙한 크기의 패각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모르타르의 석회질은 굴 껍질을 소성하여 얻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바탕칠층은 백토(kaolinite($Al_2Si_2O_5(OH)_4$) 또는 halloysite($Al_2Si_2O_5(OH)_4{\cdot}2H2_O$))를 사용하였으며, 채색에 사용된 적색안료는 진사(cinnabar(HgS) 또는 vermilion), 녹색은 공작석(malachite($Cu_2CO_3(OH)_2$)) 그리고 백색은 연백(lead white($PbCO_3{\cdot}Pb(OH)_2$))이 쓰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르타르 위로 조성된 토양층은 주로 중립사 이하 크기의 입도가 낮은 점토질을 사용하여 얇고 치밀하게 조성하였으며, 모르타르층이 박락되고 상당기간이 경과 된 후 보수목적으로 마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굴 껍질을 소성하여 많든 석회를 모르타르로 사용한 것은 한국 고대 고분벽화 제작에 있어 유래 없는 사례이며, 내구성이 매우 떨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가야인들의 모르타르 제작기술이 동일시기의 고구려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졌던 것으로 추측된다.

강원도 덕항산 석회암지대 산림식생의 군락지리 특성 (Syn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Vegetation in Limestone Areas, Mt. Deokhang, Kangwondo)

  • 배관호;김준수;조현제;윤충원;조용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1-170
    • /
    • 2014
  • 본 연구는 석회암이 나출되어 있는 덕항산지역 주요 산림식생을 중심으로 그 유형을 분류하고 군락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덕항산 능선부 일대 산림식생의 유형은 1개 군락군(신갈나무군락군), 3개 군락(개회나무-조록싸리군락, 소나무-철쭉군락, 소사나무-솔체꽃군락), 2개 군(소사나무-회양목군, 까치박달-사창분취군), 2개 소군(들메나무-부채마소군, 털댕강나무-솔나리소군)으로 총 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덕항산 군락지리형은 지형적 특이성, 아고산지대와의 인접성, 석회암 지대 등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배수가 잘되는 약건조지에 출현하는 털대사초, 가는잎그늘사초 등의 고상재도는 석회암지대의 토양환경을 잘 대변해 주고 있으며 북방계 식물인 싸라기사초, 돌좀고사리 등은 인접한 아고산 식생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소사나무의 출현은 서식지 특이성에 의한 피난식생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지역의 군락지리학적 특이성은 서식지 및 식물지리적 특이성이 결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식생학적 측면에서 한반도 군락 및 서식지 유형의 다양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다석회유리에서 Alumina첨가제에 따른 제병 공정의 영향 (The Effects on The Glass Processing by Alumina Addition in Soda Lime Glass)

  • 최영준;김종옥;김택남
    • 공학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69-85
    • /
    • 2002
  • 병유리 파유리는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과 같은 조성을 가지고 있어 아무리 투입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수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예전에는 사용하지 않고 폐기하던 판상 파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판상 파유리를 사용하면서 판상 파유리의 이질성 때문에 실투, Stone과 같은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것의 원인은 $Al_2O_3$의 감소라 생각하고 장석을 통하여 $Al_2O_3$ 함량을 늘리고 판상 파유리의 사용량을 늘려 보고자 하였다. 자원의 재활용(파유리 재활용 증대)과 천연 원료의 사용량 감소에 따라 경제 적으로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자연 환경의 보전 즉 환경 문제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판상 파유리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Al_2O_3$의 함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부족한 $Al_2O_3$의 양을 보완하기 위해 장석의 투입량을 증가시켜 $Al_2O_3$의 함량을 보완했다. EDS DATA를 분석해 보면 Si, O의 Pick 만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어 나타난 결함이 $SiO_2$계임을 알 수 있었고, SEM 사진을 분석해 보면 $120^{\circ}$의 세 방향으로 열팽창 계수 차에 의해 모습을 볼 수 있어 이것이 Crystobalite 또는 Tridymite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편광 현미경에 의한 관찰 결과를 보면 Quartz, tridymite 그리고 Crystobalite Stons과 비슷한 모습을 볼 수가 있었다. 그리고 상평형도에 삼성분에 의한 삼중점을 찾아본 분석해보면 삼중점들이 Tridymite 상의 위치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어 Tridymite라고 결론을 지을 수 있었다. 따라서 $Al_2O_3$의 한계 임계율은 7.5%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