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ustrum ovalifoliu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Mycoplasma성(性) 왕쥐똥나무 빗자루병(病)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Witches' Broom of Ligustrum ovalifolium Hasskarl Caused by Mycoplasma-like Organism (MLO))

  • 채정기;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03-118
    • /
    • 1989
  • 왕쥐똥나무빗자루병(病)은 국내외적(國內外的)으로 처음 발견(發見)된 병(病)으로서 그 병원체(病原體), 병징(病徵), 전염경로(傳染經路), 항생물질반응(抗生物質反應),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및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 관찰(觀察), 전기영동(電氣永動)에 의(依)한 단백질(蛋白質) 및 peroxidase 분리(分離) 등(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왕쥐똥나무빗자루병(病)의 병징(病徵)은 지엽(枝葉)의 총생(叢生) 절간단축(節間短縮), 기관(器官)의 위축(萎縮), 위황(萎黃) 등(等) 빗자루병(病) 특유(特有)의 양상(樣相)을 나타냈다. 2. 이병주(罹病株)의 엽주맥(葉主脈) 조직(組織)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依)하여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사관세포(篩管細胞) 및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에서 mycoplasma-like organism이 발견(發見)되었다. 3. 본(本) 병원체(病原體)는 unit membrane에 싸여 있고 이분법(二分法)에 의(依)하여 증식(增殖)되며 사공(篩孔)을 통해서 식물체내(植物體內) 이동(移動)을 한 것 같은 상(像)이 관찰(觀察)되었다. 4.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관찰(觀察) 결과(結果)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에는 이상결정물(異常結晶物)이 관찰(觀察)되었다. 5. 아접(芽接), 절접(切接), 녹지접(綠枝接)에 의(依)한 접목전여(接木傳染)이 왕쥐똥나무, 쥐똥나무, 광나무에 가능(可能)했으며 점아(接芽)나 접수(接穗)가 활착(活着)되지 않았어도 전염(傳染)이 가능(可能)했다. 6.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하여 왕쥐똥나무와 쥐똥나무에 충매전염(虫媒傳染)이 되었다. 7. Teracyclin 1,000 ppm 수용액(水溶液)에 근부침지(根部浸漬)한 결과(結果) 일시적(一時的)인 치료효과(治療效果)는 있었으나 영구치료(永久治療)는 되지 않았다. 8. DAPI 염색(染色)에 의(依)한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 관찰결과(觀察結果) 병원체(病原體)가 사부요소(篩部要素)에 존재(存在)함이 확인(確認)되었다. 9.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依)한 단백질(蛋白質) 및 peroxidase 분리상(分離像)이 건전주(健全株)와 이병주(羅病珠)의 엽(葉)에서 뚜렷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 PDF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igustrum ovalifolium H. Leaves)

  • 김연숙;이승재;황진우;김이화;박표잠;정재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642-1647
    • /
    • 2011
  • 본 연구는 왕쥐똥나무잎(Ligustrum ovalifolium H.)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왕쥐똥나무잎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105.5{\pm}1.31$ mg GAE/g extract)과 에탄올 추출물($102.1{\pm}1.82$ mg GAE/g extract)은 비슷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물 추출물($84{\pm}1.72$ mg CE/g extract)과 에탄올 추출물($82.8{\pm}1.65$ mg CE/g extract)이 비슷한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ESR을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hydroxyl 라디칼을 제외한 DPPH, alkyl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alkyl 라디칼 소거능은 비타민 C와 같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활성, FRAP을 이용한 총항산화능 측정 및 환원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이 뛰어난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FTC 및 TBA법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능을 살펴본 결과, 왕쥐똥나무잎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alpha}$-토코페롤보다 활성이 훨씬 우수하였다. 한편,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상 간세포(human liver, Chang cells)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통한 세포의 생존율을 살펴본 결과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5 m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왕쥐똥나무잎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AW264.7 대식세포에서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Ligustrum ovalifolium H. Leaves on RAW264.7 Macrophages)

  • 김연숙;이승재;황진우;김이화;박표잠;정재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205-1210
    • /
    • 2012
  • 왕쥐똥나무잎(Ligustrum ovalifolium H.)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RAW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살펴본 결과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2 m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LPS에 의해 활성화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억제 및 ROS 소거능과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RAW264.7 대식세포에 LPS를 처리한 결과 NO의 함량이 11 ${\mu}M$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왕쥐똥나무잎 에탄올 추출물(0.05, 0.1, 0.2 mg/mL)을 처리하였을 때 NO의 함량이 7.03, 6.74, 6.64 ${\mu}M$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왕쥐똥 나무잎 추출물이 LPS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LPS를 처리한 대조군은 ROS가 36.55%로 증가하였으나, 왕쥐똥나무잎 에탄올 추출물(0.05, 0.1, 0.2 mg/mL)을 처리한 군은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농도 의존적(23.86, 8.55, 5.48%)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왕쥐똥나무잎 에탄올 추출물은 NO 생성과 연관 있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이는 NO 생성 억제가 iNOS의 발현저해를 경유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수의 항염증 약물들의 작용기전이 되는 COX-2의 생성억제를 살펴본 결과 왕쥐똥나무잎 에탄올 추출물은 LPS에 의해 발현되는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내 활성산소종(ROS)과 산화질소 라디칼(NO)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의 높은 라디칼 소거능 및 항산화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iNOS, COX-2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왕쥐똥나무잎 추출물이 염증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염증 물질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cytokine 및 단백질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VI)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VI))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73-483
    • /
    • 1998
  • This paper is the sixth report about the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observed newly in Korea. It contains short descriptions on symptoms, occurrence conditions, pathogens, and some phytopathological notes for each of 10 fungal plant diseases. They are identified as circular leaf spot of Ligustrum ovalifolium by Cercospora adusta, leaf spot of Viola spp. by c. violae, leaf spot of Trifolium repens by C. zebrina, hypophyllous leaf sot of Angelica gigas by Passalora depressa, brown leaf spot of Euonymus japonicus by Pseudocercospora destructiva, brown leaf spot of Lonicera japonica by P. lonicericola, brown leaf spot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by P. vitis, black spot of Echinops latifolius by Ramularia cynarae, leaf spot of Petasites japonicus by R. major, and leaf spot of Plantagoasiactica by R. plantaginis, respectively.

  • PDF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식물 생태학적 연구(IV) -Cadmium 처리토양에 의한 여러식물의 생장반응- (Ecological Studies of Plants for the Control of Environmental Pollution IV -Growth of Various Plant Species as Influenced by Soil Applied Cadmium-)

  • 차종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4호
    • /
    • pp.23-30
    • /
    • 1974
  • The relations of the growth responses of plants, i.e. 4 species of crops, 12 species of roadside trees and 5 species of horticultural plants to cadmium (Cd) to which added soil were studied in pot culture. Growth in dry weight of corn, soybean, barley and wheat plant were decreased with increase of Cd concentration. Damage of corn plant caused by Cd treatment was more or less recovered when it was grown in soil with calcium, but that of other three crops was not recovered when it was with calcium. Although crop plants used here absorbed small amount of Cd through root, Cd content in the shoot was directly proportionate to the concentration of Cd treated to soil. Additions of calcium and sulfur to soil were effectively to change of soil pH, and only of calcium increased exchangeable calcium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of its soil. The chlorosis on leaves caused by Cd treatment was observed in 2 species such as Euonymus japonica and Rhododendron yedoense out of 5 species of the horticultural plants, especially at 50ppm of Cd concentration, Euonymus japonica occurred symptoms of chlorosis and difoliation, and at the higher concentration than that the symtoms were sever more and more. At 200 ppm of Cd feeble damage was observed in Pinus koraiensis and Ginkgo biloba but severe chlorosis observed in Robinia pseudoacacia and Sabina chinensis, Buxus koreana, Abies holophylla and Platanus orientalis. Nevertheless those plants had serious damage at 200 ppm of Cd, such symptom was weakened by adding calcium to soil with Cd. There were many Cd tolerant species out of the plants used in thies xperiment, such as Crassula falcata, Chrysanthemum morfolium, Hibiscus syriacus, Ligustrum ovalifolium, Liriodendron tulipeferia, Lespedeza crytobotrys.

  • PDF

부안 계화도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by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f the Gyehwado, Buan)

  • 변무섭;오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4-53
    • /
    • 2007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in the Gyehwado was listed 378 taxa; 99 families, 259 genera, 322 species, 1 subspecies, 50 varieties and 5 forms. In this, Woody plants were 130 taxa (34.4%), Herbaceous plants were 248 taxa (65.6%) of all 378 taxa vascular plants. Pteridophyta were 7 families, 9 genera, 11 taxa (2.9%), Gymnospermae were 4 families, 5 genera, 9 taxa (2.4%) and Angiospermae were 88 families, 245 genera, 358 taxa (97.7%). Angiospermae in this, Monocotyledoneae were 10 families, 45 genera, 60 taxa (16.8%) and Dicotyledoneae were 78 families, 200 genera, 298 taxa (83.2%).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Phacelurus latifolius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194), Tricyrtis dilatata (No. 97),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6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Populus tomentiglandulosa, Carpinus coreana, Indigofera koreana, Forsythi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30 taxa; Wistaria floribunda in class IV, 5 taxa (Ligustrum ovalifolium, Callicarpa mollis, Lonicera subhispida, etc.) in class III, 24 taxa (Cephalotaxus koreana, Aristolochia contorta,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2 families, 27 genera, 34 species, 2 varieties, 36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9.5% of all 378 taxa vascular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