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ature wir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치아재식술의 일례 (A case Report of Tooth Replantation)

  • 최상열;박광진;이태원;조종만;성백균;최구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1권4호
    • /
    • pp.287-291
    • /
    • 1973
  • A case report of replantation of extracted teeth. A 11-year-old female child patient whose right and left 1st premolars were dislocated by accident, which was treated by means of tooth replantation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childhood whose development and growth were prominent prognosis were excellent. 2) The better results were drew by tooth fixation with acrylic resin after ligature the teeth with wire. 3) To treat the tooth replantation combination with canal treatment brings on the good results. 4) We can maintain the natural teeth, which could get the same function as before. According to previous results, the technique can be usd clinically.

  • PDF

부착 유지장치의 직, 간접 부착법에 따른 전단 접착력 비교 (Direct and indirect bonding of wire retainers to bovine enamel using three resin systems: shear bond strength comparisons)

  • 권태엽;;;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47-453
    • /
    • 2011
  • Objective: We compared the shear bond strength (SBS) of lingual retainers bonded to bovine enamel with three different resins using direct and indirect methods. Methods: Both ends of pre-fabricated twisted ligature wires were bonded to bovine enamel surfaces using Light-Core, Tetric N-Flow, or Transbond XT. Phosphoric acid-etched enamel surfaces were primed with One-Step prior to bonding with Light-Core or Tetric N-Flow. Transbond XT primer was used prior to bonding with Transbond XT. After 24 hours in water at $37^{\circ}C$, we performed SBS tests on the samples. We also assigned adhesive remnant index (ARI) scores after debonding and predicted the clinical performance of materials and bonding techniques from Weibull analyses. Results: Direct bonding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SBS values than indirect bonding for all materials. The SBS for Light-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Tetric N-Flow,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 bonding SBS of Transbond XT and that of Light-Core. Weibull analysis indicated Light-Core performed better than other indirectly bonded resins. Conclusions: When the SBS of a wire retainer is of primary concern, direct bonding methods are superior to indirect bonding methods. Light-Core may perform better than Transbond XT or Tetric N-Flow when bonded indirectly.

치아의 견인을 위한 버튼 접착시 오염이 인장강동에 미치는 영향 (TENSILE STRENGTHS OF PRE-LIGATURED BUTTON WITH SEVERAL TYPES OF CONTAMINATION IN DIRECT BONDING PROCEDURE WHICH CAN HAPPEN DURING THE SURGICAL EXPOSURE OF UNERUPTED TEETH)

  • 김성오;최병재;이제호;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00-420
    • /
    • 1998
  • We already know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an "isolated field" for direct bonding during the surgical exposure of unerupted teeth. The aim of this in-vitro study is to simulate the clinical situation of forced eruption and to evaluate the tensile strengths of preligatured button with several types of contamination which can happen during the surgical exposure of unerupted teeth. Four orthodontic direct bonding systems were used. ($Ortho-One^{TM}$, $Rely-a-Bond^{(R)}$, $Ortho-Two^{TM}$, Phase $II^{(R)}$) Each material was divided into four groups(n=20) : Group 1. (Control, no contamination), Group 2. (Rinse etching agent with saline instead of water), Group 3. (Blood contamination of etched surface for 30 seconds), Group 4. (Blood contamination of primed surface for 30 seconds) 320 bovine anterior permanent teeth were divided into the above mentioned 16 groups. Enamel surface was flattened and ground under water coolant. Pre-ligatured buttons were prepared to the same form. (Cut 0.25 ligature wire 10 cm in length. Twist the ligature wire 30 times clockwise. Mark the wire 15mm and 35mm points from button. Make a loop sticking two points together and twist the loop 6 times counterclockwise.) The bonded specimens were stored at $37^{\circ}C$ saline solution for 3 days. Then the tensile strength of each sample was measured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crosshead speed of 0.5mm/mi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s compared to control groups (Group 1) of each material, Rely-a-Bond had a significantly lower mean tensile strengths than other material. (p<0.01) 2. In Group 2. of Ortho-One and Rely-a-Bond, the mean tensile strengths decreased about 7.7% and 11.1%,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s. (p<0.05) 3. In Group 2. of Ortho-Two and Phase II, the mean tensile strengths did not decrease. 4. In Group 3. of Ortho-One, Rely-a-Bond, Ortho-Two, and Phase II, the mean tensile strengths decreased about 60.8%, 56.1%, 60.2%, and 46.0%,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s. (p<0.01) 5. In Group 4. of Ortho-One and Rely-a-Bond, the mean tensile strengths did not decrease. 6. In Group 4. of Ortho-Two and Phase II, the mean tensile strengths were decreased about 20.95% and 22.28%,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s. (p<0.01) There were formations of a hump shaped mass from bonding resin under blood contamination which disturbed direct bonding procedure. According to Reynolds, the proper bond strength for clinical manipulation should be at least 45N or about 4.5Kg.F.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Ortho-One could be used during surgical exposure of unerupted teeth. In any case, blood contamination of the etched surface should be avoided, but the blood contamination of primed surface of Ortho-One may not decrease bond strength. Just 'blowing-out' is enough to remove blood from primed surface of Ortho-One. You can verify the clean surface of the primer of Ortho-One after blowing out the blood contamination.

  • PDF

교정선의 종류, 결찰방법, 타액의 유무에 따른 마찰력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frictional forces according to orthodontic wires and ligation method under dry and wet conditions)

  • 이진우;차경석;한정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71-281
    • /
    • 2001
  • 치아에 부착된 bracket이 교정선을 따라 이동할때 필연적으로 bracket과 교정선, 결찰재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된다. 이에 저자는 동일한 bracket내에서 교정선의 종류, 결찰방법, 건조와 타액상태에 따른 마찰력 차이, 타액의 윤활제로서의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bracket은 .18" ${\times}$ .025" slot의 상악 견치용 standard edgewise bracket(RMO. USA)이며, 교정선은 .016" , .016" ${\times}$ .022" 크기의 Cobalt-chromium(Elgiloy : RMO. USA), Nickel-titanium(Ni-Ti) (ORTHOLLOY : Goldstar Cable Co. KOREA), Beta- titanium(TMA : ORMCO Co., USA)의 2가지 형태의 3종을 이용하여 활주할 때의 마찰력을 만능시험기(Instron, M 1000 EC)를 사용하여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각의 동일조건하에서 교정선의 재질에 따른 마찰력은 Co-Cr, Ni-Ti, ${\beta}$-Ti순으로 증가하였다. 단, 타액상태에서 elastomeric으로 결찰한 .016" 군에서는 예외이다. 2. 각 조건하(건조/타액상태, .016" /.016" ${\times}$.022" ) 에서 결찰방법에 따른 마찰력은 elastomeric보다 stainless steel결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p<0.05). 3. 각각의 교정선과 결찰방법에서 타액 유무에 따른 마찰력은 stainless steel로 결찰한 .016" Co-Cr, Ni-Ti, ${\beta}$-Ti는 타액상태에서 감소하나, stainless steel로 결찰한 .016" ${\times}$.022" Co-Cr, Ni-Ti, ${\beta}$-Ti는 타액상태에서 증가하였다(p<0.05). 4. 각 조건하(건조/타액상태, elastomeric/stainless steel 결찰) .016" 과 .016" ${\times}$.022" 교정선 사이의 마찰력은 .016" ${\times}$.022" 교정선에서 증가하였다(p<0.05).

  • PDF

16S rDNA 클론 library 제작 및 핵산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교정용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의 세균 동정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the peri-implant sulcus of orthodontic mini-implants using 16S rDNA clone library)

  • 임성훈;김광원;유소영;국중기;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1-262
    • /
    • 2006
  • 교정치료 시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는 가동성 점막인 치조점막 부위에 식립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미니임플랜트 주위 연조직의 증식을 동반한 염증이 빈번히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조점막에 식립하여 연조직 증식이 발생된 미니임플랜트 주위의 세균총과 동일 환자의 인접한 건강한 치은 열구의 세균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악 구치부의 치조점막에 식립하여 연조직 증식이 발생한 미니임플랜트 및 이에 연결된 결찰선 주위 열구의 세균막과 미니임플랜트에 인접한, 치은 염증이 없는 제2대구치의 치은열구의 세균막을 멸균된 paper point로 채취한 후, 16S rDNA 클론 library 제작 및 핵산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균을 동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로부터 304개의 16S rDNA 클론을 얻었으며, 치은열구로부터 238개의 16S rDNA 클론을 얻었다. 클론의 9.2%에 해당하는 24종의 세균들은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에서만 검출되었고, 이들은 Haemophilus aphrophilus, Sphingomonas species, Capnocytophaga species, Prevotella melaninogenica, Lachnospiraceae species, Porphyromonas species, Neisseria flava 등이었다. 전체 클론의 80.4%에 해당하는 29종의 세균들은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 및 건강한 치은 열구 모두에서 검출되었다. 이들 중 특히 미니임플랜트 주위에서 더 많은 클론이 분리된 세균들은 Prevotella species, Atopobium rimae, Veillonella species, Streptococcus intermedius/constellatus, Streptococcus salivarius 등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치조점막에 식립한 미니임플랜트 주위에서 검출된 세균들이 염증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치조점막에 식립한 미니임플랜트 주위의 연조직 염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서 구치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견인측 치근막에서 혈관성장인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TENS10N SIDE OF RAT MOLAR PERIODONTAL LIGAMENT FOLLOWING EXPERIMENTAL TOOTH MOVEMENT)

  • 임용규;신춘식;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1-136
    • /
    • 2001
  • 치주인대에 일회성의 적절한 인장력을 가하였을 때 견인측 치근막에서 나타나는 혈관성장인자(VEGF)와 그 수용체(VEGFR)의 발현의 변화를 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8-10주된 Sprague-Dawley계 웅성 백서(rat)에서 상악좌측 제1대구치에 closed coil을 이용하여 근심 방향으로의 교정력을 가하였으며 1시간, 12시간, 1일, 3일, 1주, 2주 군으로 분리하여 각 군 당 5마리씩의 실험동물을 배정하였다. 우측 제1대구치는 치경부에 ligature wire만 결찰하고 동일 실험시간이 지난 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견인력이 가해진 치근막에서 VEGF와 VEGFR 및 이들의 mRNA의 발현 양상의 변화를 H&E 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과 in situ hybridization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주인대에 인장력을 가하면 치주인대의 신장으로 인한 혈관의 압박에 의해 울혈과 부분적인 출혈상이 초기에 나타났으나 3일 이내에 대조군과 같은 정도로 회복되었으며 신생골의 형성은 3일 이후 나타나서 2주간 지속되었다. 2. 치주인대에 인장력을 가하면 치주인대 세포와 조골세포, 백악아세포에서의 VEGF와 VEGF mRNA의 발현증가가 나타나며 이는 치주인대 혈관의 증가로 이어졌다. 3. 인장력을 가하고 3일 이후에는 VEGF와 VEGF mRNA의 발현은 주로 치조골 인접면의 치주인대세포와 조골세포에서만 관찰되었으며 2주후에는 VEGF와 VEGF mRNA, 치주인대혈관 모두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감소하였다. 4. VEGF 수용체인 Flt-1과 Flk-1은 거의 동일한 발현 양상을 보였으며 주로 혈관 내피세포와 조골세포에서 관찰되었으나 치주인대에 인장력을 가하면 초기에 혈관내피세포에서 그 발현이 증가하였다. 조골세포에서의 발현증가는 내피세포에 비교해서 다소 늦게 나타났으나 발현의 증가는 더 뚜렷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정력을 가했을 때 견인측 치주인대의 치주인대세포와 조골세포, 백악아세포에서 VEGF와 VEGF mRNA의 발현이 증가하며 이에 이어 혈관의 증가가 나타나고 신생골의 형성은 혈관의 증가 후에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백악아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된 VEGF mRNA는 치조골측으로 편재해 있던 혈관이 견인의 방향으로 치아를 향해 성장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VEGFR 및 VEGFR mRNA는 내피세포 뿐 아니라 조골세포와 골세포, 치주인대세포에서도 발현이 증가하여 VEGF가 paracrine한 방식 뿐 아니라 autocrine한 방식으로도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