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도서지역 주민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of Island Community People in Island)

  • 신경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96-310
    • /
    • 2000
  • During the past 10 years, concern for community people's health has increased together with the changes. Public health policies and studies for community people's health, however, have influenced those in childmaternal health care to want more general coverage and studies of health and wellness. Particularly, the study of community people's health in the extent an island area is almost rare as that personal and the material benefits in this area are lacking of community people's work is large, and the basic elements of living, such as diet and elimination, are irregular due to the schedule of the tide. Thus, there are many potential health problems. In this regard, th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health problems of island community people and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health promotion and health education programs. In collecting data for the study, face to face interviews were made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October 1 to December 30, 199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statistics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Subjects' health status was examined by classifying into such categories as their health perception, complaints of health problem, related lifestyle, psychosocial health staus, the result of examination is as follows; 1. For subjects' health perception, 26.9% of the subject answered not sick, but not so healthy'; 30.9% thought they were healthy, while 22.9% answered that they were not healthy. 2. For the health problem complaints many complained of pains in their muscles and skeletal system, especially knee joint pain. Women's health problems related with breast and the reproductive system included 52.3% of cases doing breast self examination, while 56.55% received the cervical cancer screening test. In men's health problems, 44.2%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ve moderate to severe BPH(Benign Prostatic Hypertrophy) symptom. 3. There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hysical health according to marital status(p=0.0028), occupation(p=0.0442), income(p=0.0357). 4. For stress status, 17.2% was to need the intervention, 50.2% was to need observation. 5.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27.7 showing a relatively high score. 6. For the rate of smoking, 37.7% used to smoke, while 28% used to take alcohol. 7. The rate of substance abuse was 45.9% of subjects. 8. Most of subjects' health behaviors included most of the acupuncture (52%). 9. The rate of subjects receiving comprehensive medical testing was 34.36% while 34.78% did after care managing behavior. 10. For the obesity grade, 53% is normal weight, low-weight 32.8%, obesity 33%. 11. For nutrition status, 78.7% illy balanced to need interven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12. For 78.7% of subjects, muscle strength and 40.7% of stretching were not good enough to need health education on physical exercise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promote health of community people on an island.

  • PDF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risoner's Perception of Stigma on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 공정식
    • 시큐리티연구
    • /
    • 제57호
    • /
    • pp.57-84
    • /
    • 2018
  • 본 연구는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일반인들이 출소자를 기피하고 차별하는 의식들의 근저에는 낙인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결국 출소자들의 재범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나, 낙인에 대한 출소자 스스로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는 편이다. 낙인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인의 하위척도를 대중낙인, 개인낙인, 그리고 자기낙인으로 구분한 Phillips(2016)의 견해에 기초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이 자기 낙인보다는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와도 일치한다. 그런데 출소자들이 자기낙인보다 대중낙인을 더 크게 인식하면서도, 대인관계에서 상대에 대한 신뢰에 있어서는 대중낙인보다 자기낙인의 영향을 더 받는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출소자들이 외면적인 사회적 인식보다는 내면적인 심리적 인식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소자의 내면적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 첫째 낙인은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자기낙인이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자기낙인이 심할수록 대부분의 대인관계에서 신뢰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구체적으로 가족관계 중에서는 자녀, 사회관계 중에서는 직장동료, 그리고 일반관계 중에서는 자신과의 신뢰에 낙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낙인이 출소자들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타자들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해준다. 셋째 출소자들은 자기낙인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한데, 자기낙인은 자아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재정립하여 스스로를 일탈자로 인식하고 불량한 생활양식을 보이며, 경력범죄자로 발전해가는 것을 의미하는 바, 자아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요청된다. 넷째 본 연구는 남성범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성별에 따라 낙인을 인식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또한 낙인은 대인관계 뿐만 아니라 결국 사회 내 재통합과 재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바, 이를 추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일부 대학생들의 건강관련행위 (Health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 이원재;반덕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7-171
    • /
    • 1999
  • This paper analyzed health practices of students in an university in Chollabukdo Province. It attempted to study how many university students had what kinds of health practices. Furthermore, it tried to find out what are the major problems in health practi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study health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ampled 1,469 students randomly. Many of the students had poor practices of teeth care. In tooth-brushing, many students (35.8%) brushed their teeth before breakfast in the morning. Most of the students (95% or more) visit dental clinic only when they had problem(s) in their teeth. For weights, there exists a great gap between perception and BMI (Body Mass Index), especially among female students. Among the female students who perceived their weights were above average, 96.4% of them were normal according to BMI. Many of the students were drinking greater amount of alcohol than safe amount suggested by the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of Australia. The proportion of the students drinking harmful or hazardous amount of alcohol were 79.5% of the male students and 74.9% of the female students. It suggests that health promotion fund or tax need to be levied on alcohol to frustrate unhealthful drinking. More than half (59.0%) of the male students and about 6.0% of the female students were smoking cigarettes. The smoking initiation ages were 17.8 for male and 18.2 for female students. It means that many of the students started smoking in their junior high or high schools. It implies that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s need to be emphasized in these schools. For perception on sex, 27.8% of the male students and 60.9% of the female students thought to keep their virginity before their marriage.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conservative in perception on sex. The average number of sexual intercourses per year of male students was 17.0 times with their lovers, 7.9 times with prostitutes, and 7.0 times with maids. The female students had sexual intercourses 5.0 times with their lovers and 4.0 times with waiters per year.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with homosexual partners was 1.0%. The finding this study was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vulnerable to poor health practices. It is suggested that public health intervention program be provided for university students to keep them in good healthy lifestyle.

  • PDF

피지에서의 만성병 관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Non-Communicable Disease in Fiji)

  • 김대선;;;이철우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3-173
    • /
    • 2020
  • ODA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요 국가에서 취약하고 필요한 분야가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보건분야는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에서 우선순위의 첫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는 ODA 프로젝트 계획에 도움이 되고자 피지에서의 비전염병 질환(NCD) 상황을 소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6년 피지의 주요 사망 원인은 당뇨병, 허혈성심장병, 뇌혈관질환, 만성신장질환, 하기도감염, 천식 등이다. 같은 해 한국의 주요 사망 원인은 암, 허혈성심장병, 뇌혈관질환, 폐렴, 자살, 당뇨병 순이다. 비전염성 질환으로서의 만성 질환은 생활 습관 및 소비 패턴의 변화와 인구 고령화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는 피지와 한국에서도 명백하며 NCD의 치료 및 관리를위한 사망률 및 개인 비용 증가에 반영된다. 많은 연구에서 개별 환자에 맞춘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치료의 필요성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NCD 환자를 관리하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권장되었다. 피지 정부는 2015-2019 년 NCD 전략계획을 개발했으며 요인별로 NCD의 유병률을 낮추려고 노력해왔다. 국가 차원의 NCD 정책을 안내하는 WHO 글로벌 행동 계획은 지역 사회 수준의 NCD 예방 및 관리 모델을 필요로 한다. 이런 측면에서 ODA도 직접적인 지원만이 아니라 시스템관리 지원도 고려할 만하다.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 제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자료 활용 (The effect of restrictions on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of adults in Korea on quality of life: Using the 8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미정;임차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3-182
    • /
    • 2023
  • 서론: 본 연구 우리나라 성인 청년, 중년, 장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 제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성인의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과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8기 1차년도(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였으며, 우리나라 성인 청년 만19~29세, 중년 만30~49세, 장년 만50~64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EQ-5D, HINT-8과 구강 관련 활동 제한 변수로는 치통 경험 여부, 저작 불편 호소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인의 구강 관련 활동 제한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차이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분산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청년, 중년, 장년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제한에 따른 EQ-5D와 HINT-8 차이는 구강 관련 활동 제한 변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전체 성인의 EQ-5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읍,면,동), 성별, 가구 월 소득,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여부, 경제활동 여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치통 경험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저작 시 불편 호소 여부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전체 성인의 HINT-8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가구 월 소득,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여부, 경제활동 여부, 치통 경험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저작 시 불편 호소 여부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결론: 성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준비된 노년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하여 노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성인의 구강건강증진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성인구강보건사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