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long educato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코칭모델 개발 (Development of Coaching Model to Enhance Teaching Capability of Lifelong Educator)

  • 손성화;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69-3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코칭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생교육교수자들이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역량과 운영실태, 코칭과 관련한 문헌 자료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생교육 현장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현장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에 대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매트릭스 분석을 통하여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코칭모델을 개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에 의하면 제4차 산엽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습자 중심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수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코칭역량을 제시한다. 코칭역량으로 평생교육교수자는 평생교육 관련 직업인으로서 평생교육 성인학습자를 가르치는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와 목적과 목표달성 등을 위하여 비전 설정, 목표세우기, 사명선언서 작성, 코칭기술, 코칭과정 진행, 장애물 관리, 코칭 교수법등의 역량을 제시한다. 둘째, 평생교육 현장전문가들이 요구하는 평생교육 교수역량을 모델에 적용함으로 평생교육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모델을 학습자 중심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평생교육 현장전문가들은 평생교육 전문지식 습득, 소통역량, 성인학습자 이해, 대인관계 능력,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하였다. 셋째,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코칭모델은 진입, 진행, 총평, 환류의 프로세스과정에서 제시하는 단계별 평생교육교수자 교수역량을 충분히 습득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총평 단계가 끝나면 환류를 통하여 평생교육교수자 자신이 평생교육교수자로 추구하는 코칭역량을 바탕으로 한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새롭게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제안하였다.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dult learners in the Lifelong Learning happiness)

  • 김미영;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38-146
    • /
    • 2016
  • 이 연구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관계에서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성별, 학력별, 연령대별, 거주지별, 평생학습 참여경험, 직업, 참여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차이는 없으며, 둘째, 성인학습자 특성이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셋째. 성인학습자 특성은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넷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습참여 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각각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다섯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매개 역할을 하지 않으나 학습참여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대해 각각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학습 경험을 통해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하여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성인교육자가 성인학습자 특성 이해의 향상과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인학습자 지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Cor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on the Lifetime Ability of Adult Learner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Adult Learners' Wisdom)

  • 김은임;송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711-720
    • /
    • 2018
  • 본 연구는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지혜를 매개효과로 하여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어졌으며, 최종적으로 총 520부가 분석에 사용 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 및 성인학습자 지혜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인 간 상관계수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지혜가 성인학습자의 생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전체적으로는 66.8%의 영향력이 있었고,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가장 많이 미치는 변인은 성인학습자 지혜의 창의적 문제해결 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타인배려, 변화수용,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학습자 지혜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인학습자 지혜를 통해서는 영향력이 검증되어 지혜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는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 지혜가 중요한 변인임이 증명되었으며, 이러한 지혜는 성인학습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생애능력의 향상을 위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평생교육관점에서의 부모교육에 대한 고찰 -평생교육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enting Education in the View of Lifelong Education -Focused on the Lifelong Education Act-)

  • 김은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71-484
    • /
    • 2011
  •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parenting education within the society of life long learning. Parenting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in the view of lifelong education. This article focused on parenting education as outlined in the Lifelong Education Act. After analyzing the legal systems and the current limitations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in terms of parenting education, future directions were proposed. To do this, this article analyzed the Lifelong Education Act in relation to parenting education. Based on the relevant data, this articl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found that parenting education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that is available to anyone at anytime should be open for all parents. Second, parenting education should be clearly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Third, the values of civic education such as dignity, consideration, and love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is note worthy to comment that creative education has been important for future society. Forth, it is recommended to specify parenting education in the subject list of lifelong educator training programs in the lifelong education act. Finally, parenting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in the variou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undamentally, parenting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not only for parent's benefits, but also for children's well-being.

사회연결망을 통한 평생교육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Social Network)

  • 김태연;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1호
    • /
    • pp.224-233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over the last 10 years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To do this, a dataset has been collected from KCI (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 by the year in the last 10 years showed a relatively high ratio between 2008 and 2009 and 2014 ~ 2015. Secondly, the most active networks between authors and journals constitute a key group in the order of 'Lifelong Education Study'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Thirdly, the research institutes with the largest number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 papers are Soongsil University, Dong-Eui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the network with the authors' network, the only authors were K8 working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the co-authors, H4, who work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howed the most active network. Finally, the core keyword network based on the thesis topic was analyzed as having higher connection centrality in the order of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or', and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과 리더십 및 생애핵심능력 간의 구조적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of Lifelong Education, Leadership and Life Core Competencies)

  • 박명신;한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212-5222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 충남 충북지역 대학교에서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 607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과 리더십 및 생애핵심능력의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은 생애핵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은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리더십은 생애핵심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평생교육의식과 생애핵심능력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을 통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다시 생애핵심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평생교육의식 전환과 그들의 삶에 필요한 리더십 및 생애핵심능력 함양을 위한 평생교육에 활용될 수 있으며, 대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평생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평생교육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의 평생교육사 양성과정과 평생교육 운영에 현실감 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로서 평생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평생교육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or's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방희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31-242
    • /
    • 2016
  •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대전지역 평생교육시설에 근무하는 160명을 대상으로 SPSS 20.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측정변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Varimax 직각회전방법을 이용한 요인분석, 변수들 간의 내적일관성을 통한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계수를 이용한 신뢰성 분석, 그리고 가설검증에 앞서 설정된 변수들 간 상호관련성을 확인하고자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후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기술통계 분석 결과 임파워먼트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고용형태, 일일근무시간, 월 소득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생교육시설에 근무하는 평생교육사에게 임파워먼트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관점을 반영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역량과 능력을 개발할 수 있게 하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증대시켜 평생교육시설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는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평생교육사 관련 교과목 수강 대학생들의 SOC 전략과 노화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SOC Strategy to Aging Attitude among College Students Taking Courses Related to Lifelong Educator)

  • 하경분;주민경;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58-770
    • /
    • 2013
  • 본 연구는 평생교육사 관련 교과목 수강 대학생들의 SOC 전략이 노화에 대한 태도 즉, 노인에 대한 태도와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올바른 노화 관련 지식 형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임의적 선택 전략이 높았으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상실을 기반으로 하는 선택 전략이 높았고, 노인에 대한 태도와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은 성별과 종교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노인에 대한 태도에는 보상 전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에는 상실을 기반으로 하는 선택 전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에 대한 태도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을 토대로 성공적 노화를 준비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평생교육사 및 노인교육 관련 프로그램 및 콘텐츠를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

중·고령층의 여가시간 사용분석 연구 -100세 시대에 대비한 노년교육 방향모색- (The Study of Leisure Time Use of Older Adults -To seek the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 in Later Life for Homo Hundred-)

  • 장미옥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203-217
    • /
    • 201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leisure time use of older adults and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active/passive leisure activities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in order to prepare later life for homo hundred. The subjects were 336 adults aged 50 and over in Busan city, Korea.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spent more time in active leisure than passive. But ratio of passive leisure time is getting higher with age. Second, cognitive activities changed from reading, computing, internet to hobbies, card games with age. Third, participation of active leisure activities are related to age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From this study, lifelong education including leisure education should support older adults to redesign their later life for homo hundred. Second, leisure education should focus on increasing the ability of accepting and utilizing leisure opportunities for older adults. Third, the role of lifelong educator should be emphasized to involve education field more actively. Forth,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have the knowledge of the purposes and motivations of older adults who participate in order to provide proper programs continuously. The connection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leisure time use and activities would lead later life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active aging.

학부과정 교육학 전공학생의 진로분야 발전방안 탐색 -교육학 관련학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eer Development Plan for the Education Major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 이상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670-68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state of education departments in Korean universities and to find out ways to help education major students shape their future career.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education-related departments showed that average employment rate of education departments in 2011 was 35.0%, whereas that of related departments was 56.6%,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education courses were specialized in areas such as lifelong educator qualifications, teaching certificates in morality/ethics, corporate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etc. in case of education departments. In case of education-related departments, education courses were specialized in areas such as teaching certificates in pedagogy, lifelong educator qualifications, license of school counselor, corporate HRD, etc. Though there were many overlapping areas, specialization was relatively more common and diverse in education-related departments. Next, to help students shape their future career, developments in specialized career courses, new career fields, and career education models were suggested. To give shape to the progress plans, the development of standard education courses for student careers,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about course specialization, and search for the career path of teaching profession which allows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of education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