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d & Fram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휴대폰용 리드 앤 프레임의 접합력 향상을 위한 설계 변수 평가 (Estimation of Design Variables for Improving the Bonding Force of Lid & Frame for Cellular Phone)

  • 남기주;이정민;김병민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4-417
    • /
    • 2008
  • A lid & frame used as the shield of electromagnetic waves in cellular phones are composed of frame, which is welded at their electric circuits, and lid, of which debonding and joining are available from the frame. Typical lid & frame were mechanically bonded by contact between the embossing of lid and the piercing of frame Bonding force of this part have to allow us to detach the lid from frame for exchange or fix of the electric part and have to be high enough to protect the electric part from external impacts. This study is designed to estimate the effect of design variable of lid & frame on its debonding force. Estimations were performed by finite element method.

  • PDF

휴대폰용 리드 및 프레임의 접합력 향상을 위한 설계 변수 평가 (Estimation of Design Variables for Improving the Bonding Force of Lid & Frame for Cellular Phone)

  • 남기주;이정민;김병민
    • 소성∙가공
    • /
    • 제18권3호
    • /
    • pp.245-250
    • /
    • 2009
  • A lid & frame used as the shield of electromagnetic waves in cellular phones are composed of frame, which is welded at their electric circuits, and lid, of which debonding and joining are available from the frame. Typical lid & frame were mechanically bonded by contact between the embossing of lid and the piercing of frame. Bonding force of this part has to allow us to detach the lid from frame for exchange or fix of the electric part and have to be high enough to protect the electric part from external impacts. This study is designed to estimate the effect of design variables of lid & frame on its debonding force. Estimations were performed by finite element method.

열구자탕(悅口子湯)의 문헌적 고찰 (A bibliographical study of Yeolgujatang)

  • 송혜림;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91-505
    • /
    • 2003
  • Yeolgujatang is traditional casserole with meat, fish and vegetables in special pot. Name of Yeolgujatang was in 1800s, as yeolgujatang, yeolgujatangbang, yeolguja, in 1900s, Yeolgujatang, royal feast food in Yi Dynasty was yeolgujatang, Meon-sinseolro, tangsinseolro. Yeolgujatang frame has legs and a lid, and a cylinder that can contain charcoal at the center of its rounded pot. with this charcoal, food can be cooked. Its material has changed from brazier to brassware, stainless steel, and silver. Nowdays electric sinseolro was also launched, which uses electric power instead of charcoal. Materials in yeolgujatang are beef, intestines, pork, chicken, pheasant, fish, sea bream, abalone, shrimps, vegetables, mushroom, ddock, guksu, cooked rice, seasening and garnish. Nutrition of Yeolgujatang per capita contains 221.5kal of calory, 17.3g of protein, 16.5g of fat, 6.1g of carbobydrates, 2g of fiber, 57.6mg of calcium, 208mg of phosphorus, 4.3mg of ferrum, $2177{\mu}gRE$ of vitaminA, 1.58mg of vitamin $B_1$, 0.3mg vitamin $B_2$, 6.6mg of vitaminC and 5.26mgNE of niacin. Yeolgujatang is excellent in nutrition, except for calcium and vitaminC.

경산 임당유적 목제품 보존 - 갑옷틀 및 칠기 - (Conservation for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Imdang, KyungSan - Wooden frame of Armor and Lacquer Wares -)

  • 김수철;이용희;이효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7권
    • /
    • pp.53-62
    • /
    • 2006
  • 경산 임당저습지유적에서 출토된 목제 갑옷틀과 다양한 칠기유물들은 재질이 매우 취약하고 옻칠이 되어 있어 공기 중에 노출되면 건조가 진행되어 곧바로 수축·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목제 갑옷틀의 경우 대형으로 동결건조과정 중 융해의 발생우려가 있고 칠기의 경우 목재표면에 옻칠이 되어있어 약제가 잘 침투되지 않고 처리 중 칠막이 부풀거나 탈락될 우려가 높다. 따라서 목제 갑옷틀은 진공 동결건조과정 중 융해방지를 위하여 t-butanol로 치환한 후 최종 PEG#3,350 43%의 t-butanol용액에 함침하고, 칠기는 최종 PEG#3,350 40%의 수용액(水溶液)에 실온에서 함침처리 후 동결 건조하여 보존처리 하였다. 칠기의 칠 도막 분석결과 뚜껑 및 고배는 초칠을 한 후 밑층에 흑색안료(그을음)와 옻칠을 혼합하여 바른 후 2-3회 생칠을 하였고 주칠 컵형목기는 밑층에 흑색안료와 옻칠을 혼합하여 바른 후 그 위에 1회 중칠을 하였으며, 산화철(Fe2O3: 석간주)이 붉은 칠의 발색안료로 쓰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입자영상유속계를 이용한 분기관내 유동가시화 (Flow Visualization in the Branching Duct by Using Particle Imaging Velocimetry)

  • 노형운;서상호;유상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9-36
    • /
    • 1999
  • 본 연구는 목적은 PIV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기관내 유동현상을 가시화하여 분기부 영역의 유동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PIV 시스템으로 유동장을 가시화하기 위해서 분기관 모델은 투명 아크릴판으로 제작하였고 작동유체와 추적입자는 각각 물과 송화가루를 사용하였다. 유동장에서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속도벡터를 얻기 위해서 입자추적방법의 1-프레임 법과 2-프레임 법, 상호상관 PIV법인 2-프레임법을 사용하였다. PIV 시스템으로 측정된 실험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표면구동 캐비티 유동의 속도분포를 4-프레임법으로 얻어진 기준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분기관에서 뉴턴유체의 유동현상을 효과적으로 가시화하는데 필요한 상호상관 PIV방법의 2-프레임법을 적용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sub-pixel과 면적보간을 사용하여 오벡터를 제거후 최종속도벡터를 얻었다. PIV를 이용한 분기관내 유동가시와 실험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PIV 실험으로 얻어진 속도벡터는 수치해석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PIV 실험과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분기관모델의 분기점 원위부에 재순환영역이 형성됨이 확인되었고 두 다른 방법을 이용한 재순환영역의 길이와 높이는 거의 동일하였다.

  • PDF

조선왕조 실록함의 수리복원 (Repair and Restoration of Joseon Historical Document Box)

  • 이용희;박정혜;박수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5권
    • /
    • pp.122-137
    • /
    • 2014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실록함 K976은 조선왕조 선조대의 실록을 보관했던 함으로 장방형 몸체에 뚜껑이 달려있고 표면 전체에 검은색 옻칠이 되어있다. 실록함은 모서리 결구 부분의 짜임이 벌어지고 판재들이 밖으로 휘어지면서 심하게 변형되어 있었고 함의 몸체 상단부의 백골이 부분적으로 결실된 상태였다. 여기에 더하여 뚜껑에는 길이 방향으로 큰 폭의 균열이 발생되어 있었다. 표면의 칠은 곳곳이 들뜨거나 탈락되어 목제 백골이 겉으로 드러난 곳이 많았고 뚜껑을 연결하는 고리쇠 1개가 결실된 상태였다.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는 2013년 실록함의 수리 복원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이에 앞서 실록함의 구조 양식, 손상 상태, 목제 백골 白骨의 수종 분석, 옻칠 기법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록함의 목제 백골 재료가 피나무라는 것, 또 실록함 표면에 골회칠 骨灰漆 → 종이심 紙心, 토회칠 土灰漆, 연매 煙煤 혼합 흑색칠 → 옻칠이 순차적으로 도장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록함은 전통 목칠공예 기술과 재료를 적용한 전면적인 수리 복원을 통해 그 본래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고, 이후 국립전주박물관 역사문화관 개편 전시에서 중요한 전시물로 활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