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adsorbent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9초

이온교환된 제올라이트 흡착제의 질소 및 산소 흡착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Nitrogen and Oxygen on Ion Exchanged Zeolite Adsorbents)

  • 정헌도;김동식;김권일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123-130
    • /
    • 2005
  • 산소 PSA용 흡착제의 제조를 위하여 표면적이 큰 제올라이트 X형 흡착제를 합성하고 양이온교환을 통하여 질소의 선택적 흡착 능력이 우수한 흡착제로 제조하였다. 제올라이트 X형 흡착제는 50 L급 대형 반응기에서 $SiO_2\;:\;Na_2O\;:\;H_2O\;:\;Al_2O_3$ = 2.5 : 3.5 : 150 : 1의 조성으로 $98^{\circ}C$, 18 h 동안 반응한 결과 표면적이 $650m^2/g$ 이상의 표면적을 나타내었다. 흡착제의 양이온교환은 Li, Ag, Ca, Br, Sr 등의 금속 이온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Ag 이온의 이온교환 속도가 가장 빠르게 일어났으며 모든 금속 이온이 제올라이트 X형에 포함된 Na 이온과 거의 당량적으로 이온 교환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양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 X형 흡착제의 질소와 산소의 흡착 성능을 $10{\sim}40^{\circ}C$, 0~9 atm의 범위에서 측정한 결과 이온교환을 하지 않은 NaX 흡착제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흡착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 X형 흡착제의 질소 흡착량은 0.5 atm 이하의 저압에서는 Ag > Li > Ca > Sr > Ba > K 이온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1 atm 이상의 고압에서는 Li > Ag > Ca > Sr > Ba > K 이온의 순으로 나타났다. 공기의 조성에 준하는 질소 및 산소의 분압에서 흡착량의 비를 조사하여 질소/산소 분리도를 측정한 결과 $20^{\circ}C$의 온도에서 Li으로 이온 교환된 흡착제의 분리도는 13.023을 나타내었다.

$Al_2O_3$ 흡착제를 이용한 객실용 이산화탄소 흡착연구 (Study on the Adsorption of Carbon Dioxide in Passenger Cabin Using $Al_2O_3$ Adsorbent)

  • 조영민;최진식;이지윤;권순박;박덕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8-141
    • /
    • 2011
  •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railroad passenger cabin is obliged to be kept lower than guideline values of 'Indoor air quality guideline for public transportations', but actual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requently exceeds this guideline value during the morning and evening rush hours. For improving comfortability and satisfaction of passengers, concentration control method using $Al_2O_3$ adsorbents was presented. The adsorbent is made from $Al_2O_3$ and LiOH. $Al_2O_3$ perform as a frame and LiOH as a chemical adsorbent. The adsorbent performanc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concentration change of Carbon dioxide in terms of flow, initial concentration and amount of adsorbent. It is expexted that the obtained results will be used to lowe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railroad passenger cabin.

  • PDF

DV-Xα 분자궤도법을 이용한 리튬이온 흡착제용 스피넬형 망간산화물의 전자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ctronic Structures of Spinel-Type Manganese Oxides for Lithium Ion Adsorbent using DV-Xα Molecular Orbital Method)

  • 김양수;정강섭;이재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4-278
    • /
    • 2002
  • Discrete-variational(DV)-$X{\alpha}$ method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electronic structures of spinel- type manganese oxide which is well known to the high performance adsorbent or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ion. The results of DOS(density of states) and Mulliken population analysis showed that Li was nearly fully ionized and interactions between Mn and O were strong covalent bond. The effective charge of Li and Mn was +0.77 and +1.44 respectively and the overlap population between Mn and O was 0.252 in $LiMn_2O_4$. These results from DV-X$\alpha$ method were well coincid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 by XPS analysis and supported the feasibility of theoretical interpretation for the $LiMn_2O_4$ compound.

Li1.6[MnM]1.6O4(M=Cu, Ni, Co, Fe)의 합성 및 리튬 흡착제용 신규 전구체로서의 물리화학적 성질 (Synthesis of Li1.6[MnM]1.6O4 (M=Cu, Ni, Co, Fe)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s a New Precursor for Lithium Adsorbent)

  • 김양수;문원진;정순기;원대희;이상로;김병규;정강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660-4665
    • /
    • 2011
  • 리튬 흡착제용 신규 전구체인 $Li_{1.6}(MnM)_{1.6}O_4$ (M=Cu, Ni, Co, Fe)을 수열법에 의해 합성한 후에,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고찰하였다. XRD와 HRTEM을 이용한 분석 결과로부터 Co를 도핑한 경우에는 본래의 스피넬 구조가 유지되는 반면에, Cu, Ni, Fe를 도핑한 경우에는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 도핑에 의해 확인된 구조의 안정화는 산처리에 의해 리튬을 침출시킨 후에도 유지되었다. 해수에 함유된 리튬을 흡착하는 효율은 Co가 도핑된 망간 산화물 인 $Li_{1.6}[MnCo]_{1.6}O_4$가 상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Li_{1.33}Mn_{1.67}O_4$ 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해수 1g으로부터 흡착되는 Li의 양은 $Li_{1.6}[MnCo]_{1.6}O_4$를 사용했을 경우에 35mg이었고, $Li_{1.33}Mn_{1.67}O_4$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16mg 이었다.

이산화탄소 흡착제거를 위한 허니컴 흡착소자의 제조 및 이의 특성 (Preparation of Honeycomb Adsorbent for Carbon Dioxide Adsorption and Its Characteristics)

  • 유윤종;김홍수;박종호;한상섭;조순행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73-278
    • /
    • 2007
  • 본 논문은 배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착 회수하기 위한 허니컴 흡착소자 및 공정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섬유와 Na-X를 주원료로 제올라이트 종이를 제조하였다. 제올라이트 종이의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Li^+$, $Ca^{2+}$, $K^+$ 이온교환 및 추가적인 표면코팅을 실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Li^+$ 이온교환 방법은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가장 많이 증가시켰지만 공정적용이 가능할 만큼의 흡착능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Na-X의 추가적인 표면코팅은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증가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이었다. 제올라이트 종이를 성형하여 만든 허니컴형 흡착소자에 대한 이산화탄소 흡착파과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의 결과로서 회전식 이산화탄소 흡착 농축공정의 적용 예를 보여주었다.

고효율 방사성이산화탄소 흡착제 개발 (Development of Adsorbent for Radioactive Carbon Dioxide)

  • 지준화;강덕원;이재의;한재욱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158-161
    • /
    • 2003
  • 중수로형 원전의 감속재 상층기체에 포함되어 원전 주변 대기로 방출되는 방사성이산화탄소$(^14CO_2)$를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분리, 고정할 수 있는 고효율 흡착제를 개발하기 위해, 활성탄 및 활성탄섬유에 금속수산화물(LiOH)을 담지한 몇 가지의 흡착제를 대상으로 XRD, BET, SEM/EDX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산화탄소 흡착 성능을 시험하였다. 성능 시험 결과, 활성탄과 LiOH를 물리적으로 혼합한 시료가 함침법으로 LiOH를 활성탄에 담지한 시료에 비해 흡착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활성탄의 표면을 개질한 결과 1N 질산으로 처리하였을 때에도 흡착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dsorbent for Pb(II)-capture by using Glow Discharge Electrolysis Plasma

  • Gao, Jinzhang;Wang, Youdi;Yang, Wu;Li, Y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2호
    • /
    • pp.406-414
    • /
    • 2010
  • A novel polyacrylamide grafted hydrous ferric oxide adsorbent composite has been synthesized by using glow discharge electrolysis plasma. To optimize the synthesis conditions,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examined in detail: applied power, discharge time, post polymerization temperature, post polymerization time, amount of crosslinking agent and hydrous ferric oxide gel added and so on. The adsorbent was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 removal percentage of the adsorbent in Pb(II) solution was examined and the data obtained showed that the adsorbent composite has a high capacity for lead ion. For the use in wastewater treatment, the thermodynamic and kinetic of Pb(II)-capture were also studi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sorption reaction was a spontaneous and an endothermic process, and it seems to be obeyed a pseudo-secondorder rate model. Moreover, the adsorption isotherm of Pb(II)-capture is following the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 models.

황화수소(H2S) 흡착성능 증진을 위한 K-Fe-Li 3원계 금속이온물질이 담지된 활성탄 흡착제 제조조건 최적화 및 적용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Activated carbon Adsorbent Preparation condition and Evaluation of Application Supporting of K-Fe-Li ternary metal ions for Improving Adsorption Capacity of Hydrogen Sulfide (H2S))

  • 최성열;한동희;김성수
    • 청정기술
    • /
    • 제25권3호
    • /
    • pp.189-19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대표 악취물질로 분류되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_2S$)를 처리하기 위해 3원계의 금속이온 물질이 담지된 활성탄의 제조조건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H_2S$ 흡착성능 증진을 위한 금속이온 물질로는 $H_2S$ 흡착성능 증진 물질인 KI를 기반으로 Li 및 Fe 또는 3원계(K, Li, Fe)로 조합 시 성능 증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XRD 분석을 통해 각 활성 물질의 $H_2S$와의 반응 또한 결합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흡착제의 열처리시 질소를 이용한 경우 공기에 비교하여 흡착 성능이 약 3배 이상 증가하였다. 최적 흡착제의 최대 흡착량 상수($q_m$)값은 97.07로써 기존 K 기반 첨착활성탄 대비 6배의 흡착성능이 나타났으며, 물질전달속도와 흡착속도 간 평형에 의해 객관적인 흡착량($0.3g\;g^{-1}$ 이상)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입자 크기에 따른 흡착제 성능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능의 구배는 존재하나 시약급 활성탄 입자 크기를 가지는 활성탄의 개질 시에도 성능 증진이 뚜렷함을 확인하였다. 상대습도가 비교적 높은 60, 100%에서도 흡착성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크러버 후단과 같은 습도가 높은 실 공정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농도 이산화탄소 포집용 흡착제 개발 및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w Concentration Carbon Dioxide Adsorbent and Optimal Conditions)

  • 이주열;박덕신;조영민;권순박;황윤호;송형진;이상봉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2
    • /
    • 2012
  • 본 논문은 다양한 시설내에 적은 농도의 $CO_2$ 제거를 위한 선택적 $CO_2$ 흡수능력을 향상시킨 흡착제의 효율평가에 관한 것이다. 직경 4mm의 구형 흡착제는 시판용 제올라이트에 첨가제, 물, 바인더, LiOH를 섞어 제조하였다. 칼럼테스트에서 400분 이내에 90% 이상의 $CO_2$흡착효율을 나타내었고, 흡착필터모듈 흡착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회분식과 연속식타입의 챔버테스트가 시행되었다. 회분식테스트에서 30분 이내에 약 92%의 $CO_2$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속식테스트에서 30분 이내 70%의 $CO_2$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2,500ppm 이상의 $CO_2$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재현성테스트를 수차례 수행한 결과 15일동안 1,000ppm 이상의 $CO_2$가 연속적으로 제거됨을 보였다. TGA 분석법을 이용한 흡착량 분석에서 흡착제 g당 5.0mmol의 $CO_2$를 흡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흡착제는 상온에서 저농도 $CO_2$ 실내환경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올라이트 및 알칼리금속을 이용한 실내용 저농도 $CO_2$ 흡착제의 성능 평가 (Evaluation for adsorption of low concentration of indoor $CO_2$ adsorption using zeolite and alkali metal)

  • 임윤희;이주열;차유정;박병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4-503
    • /
    • 2013
  • In this study, $CO_2$ adsorbent was produced for minimizing energy loss due to ventilation within the building. For improved selectivity about low concentration of $CO_2$ in multiple-use facilities, the ball type adsorbent was modified from a commercial zeolite, alumina, alkali metals and activated carbon with mixing LiOH, binder, and $H_2O$. We measured specific surface area, pore characteristic, and crystal structure of the modified adsorbent. Effects of alkalization on the absorptive properties of the adsorbents were investigated. Continuous column tests (2,000 ppm) and batch chamber tests ($4m^3$, 5,000ppm) showed that the modified adsorbent indicated about the selectivity of $CO_2$ more than 9.7% (0.613 mmol/g) compared with ordinary adsorbents and $CO_2$ removal efficiency of 88.8% within l hour, respectively. It was estimated that the modified adsorbent was applicable to indoor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