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ydigi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 넓은배물벼룩속 씨물벼룩류 2종의 재기재 (Redescdption of Two Chydorid Species of Genus Leydigia Kurz, 1875 (Branchiopoda, Anomopoda, Chydoridae) from Korea)

  • 윤성명;김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80-390
    • /
    • 1993
  • 한강변과 거제도의 논에서 채집된 담수산 물벼룩류의 표본들에서 넓은배물벼룩 Leydigia leydigi과 좁쌀줄무늬넓은배물벼룩 Leydigia ciliata Gauthier, 1939의 2종이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종을 재기재하였으며 도판을 작성하였다. 이것은 넓은배물벼룩속의 종들에 대한 한국 최초의 기록이다.

  • PDF

미소서식처 유형별 지각류 (Cladocerans)의 분포 특성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Cladoceran Community in Accordance with Microhabitat Types)

  • 최종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4-337
    • /
    • 2024
  • 수생식물은 지각류의 종다양성과 풍부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식물의 종구성이나 구조에 대한 지각류의 영향은 충분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남한은 수생식물이 피복되기 쉬운 습지나 저수지가 전국에 산재하고 있기 때문에 지각류를 포함한 생물 연구 시 수생식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6가지 유형의 미소서식처에서 지각류 군집의 종수와 풍부도를 조사하고, 이 결과를 기반으로 서식처 보전과 효율적인 관리에 대해 고찰하고 한다. 지각류 군집의 높은 종수와 풍부도는 부유식물, 부엽식물, 그리고 침수식물이 함께 구성된 혼합된 식물 군락에서 목격되었다. 식물 군락에서 침수식물의 포함은 서식처 구조의 복잡성에 크게 기여하며, 지각류 군집의 종수와 풍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침수식물이 부재한 부유 및 부엽식물로만 구성된 식물 군락과 비교함으로서 침수식물의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다. 혼합된 식물 군락에서는 다른 식물 군락에 부재하는 지각류 종 (Graptoleveris testudinaria, Ilyocryptus spinifer, Leydigia acanthocercoides)이 출현함으로서 종다양성이 가장 높았다. 혼합된 식물 군락에서 침수식물의 점차적인 생물량 (g) 증가는 지각류 군집의 종수와 풍부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0.05). 이는 혼합된 식물 군락에서 침수식물의 증가가 지각류의 서식처로서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강력한 증거이다. 비록 침수식물은 수중에 침수되어 서식하기 때문에 경관적/미적인 가치에 크게 기여하지 않지만, 생물학적 측면에서 종다양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습지 창출/복원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Utilization of fish gut analysis to elucidation of microcrustacean species composition (cladoceran and copepoda) in a shallow and vegetated lake (Jangcheok Lake, South Korea)

  • Choi, Jong-Yun;Jeong, Kwang-Seuk;Lee, Eunkyu;Choi, Kee-Ryong;Joo, Gea-J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3호
    • /
    • pp.147-153
    • /
    • 2014
  • Structural heterogeneity results in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s of microcrustaceans. Thus, in ecosystems with excessive macrophyte development,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microcrustacean species composition. Given the importance of microcrustaceans in the food web, the elucidation of microcrustacean diversity is essential. In vegetated habitats, bluegill sunfish can prey on microcrustaceans, and therefore have a potential role as microcrustacean monitoring agents.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microcrustacean species compositions in the field with those in the guts of bluegill, in Jangcheok Lake, South Korea. Our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microcrustacean species was higher in bluegill guts than in the field. Further, microcrustacean species, such as Daphnia galeata, Graptoleveris testudinaria, Leydigia leydigii, Rhynchotalona sp., and Simocephalus exponisus, were found only in bluegill guts. Our findings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sh gut analysis to monitor microcrustacean species compositions and to clarify spatial distributions of microcrustacean species in structurally heterogeneous ecosystems with excessive macrophyte development.

Recent progress in studies of the Cladocera (Crustacea: Branchiopoda) of South Korea with seven new records for the Korean Peninsula

  • Kotov, Alexey A.;Sinev, Artem Y.;Garibian, Petr G.;Neretina, Anna N.;Jeong, Hyun Gi;Lee, Wonchoel;Chae, Kyu-Seok;Min, Gi-Si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spc호
    • /
    • pp.227-246
    • /
    • 2017
  • A study of the Cladocera (Crustacea: Branchiopoda) from the Korean Peninsula resulted in the checklist of Jeong et al. (2014). Several sampling campaigns conducted by our team since 2014, with the framework of the programs sup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have resulted in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water bodies studied in South Korea. In this report, seven new records for the Korean Peninsula are provided: (1) Macrothrix vietnamensis Silva-Briano, Dieu and Dumont, 1999; (2) Disparalona chappuisi (Brehm, 1931); (3) Pleuroxus(Picripleuroxus) quasidenticulatus (Smirnov, 1996); (4) Acroperus africanus Neretina and Kotov, 2015; (5) Alona ossiani herricki Sinev, 2013; (6) Coronatella trachystriata (Chen, Zhang and Liu, 1994); (7) Leydigia louisi Jenkin, 1934. Most of these taxa belong to the southern thermophilic complex. In addition several populations of Pleuroxus (Picripleuroxus) denticulatus Birge, 1879 and Pseudochydorus globosus (Baird, 1843) were re-studied, and their presence in Korea is confirmed. Through increased collection efforts and the application of molecular methods we are confident that more new records of Korean fauna will be published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