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ptochel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강화도 연안 돛대 기새우 (Leptochela gracilis)의 성장에 관한 연구 (Growth Characteristics of Leptochela gracilis in the Coastal water near Kanghwa Island, Korea)

  • 박영철;이영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8-146
    • /
    • 1995
  • 본 연구는 강화도 연안 새우류(Decapoda, Macrura) 군집의 우점종인 돛대 기새우 (Leptochela gracilis (STIMPSON, 1860))의 성장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시료는 1개의 동일한 정점에서 낭장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으며 1993년 4월부터 1994 년 1월까지 8월을 제외한 월별 채집을 하였다. 돛대 기새우의 포란 개체는 4월에서 9 월까지 출현하였는데 5월에서 7월의 포란률이 70% 이상나타나 포란성기로 여겨진다. 또한 성비는 4월을 제외한 조사 전월에 걸쳐 암컷이 우세하였으며 포란기와 비포란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돛대 기새우 개체군은 장기세대와 단기 세대의 두 형태의 세대로 나눌 수 있었고 장기세대의 수명은 1년에서 1년 3개월 정도 로 추측된다. 단기세대의 경우는 9월 포란군에 의해 산란되어 12월이후 감소하는데, 이들이 환경 요인들의 악화로 사망하는 것인지, 월동이후 성장률의 차이에 의해 장기 세대 병합되는 것인지는 밝힐 수 없었다. 장기세대를 Von Bertalanffy 성장식과 계절 변동을 고려한 Pauly and Gaschutz 성장식에 적용시켜본 결과 Pauly and Gaschutz 성 장식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 서해남부 해역에 출현하는 둥근돗대기새우 (Leptochela sydniensis)의 개체군 동태 및 생식생태 (Population Dynamics and Reproductive Biology of Leptochela sydniensi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 오철웅;최정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46-653
    • /
    • 2003
  •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population structure, sex ratio, growth, and recruitment patterns of Leptochela sydniensi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s of Korea, between May 2000 and December 2001. Spawning period, fecundity, brood loss, reproductive output, and size at sexual maturity also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ex ratio showed that females were more numerous than males during the overall study period. Parameters of growth were estimated using the modifi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VBGF) model incorporating seasonal variation into growth. Females grew somewhat faster and reached a larger size than males $(L\infty=12.80\;mm\;CL\;and\;K=0.70\;yr^{-1}\;or\;females,\and\;L\infty=12.08\;mm\;CL\;and\;K=0.69\;yr^{-1}$ for males). The structure of recruitment patterns obtained by the FiSAT program indicated one normally distributed group. Based on the occurrence of ovigerous females and the gonadosomatic index (GSI), the main spawning season was from June to August. Analysis of covariance indicated that brood loss was not observ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The size at which $50\%$ of females are mature is estimated as 5.48 mm CL.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Planktonic Shrimp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during 1987-1991

  • Park, Won-Gyu;Ma, Chae-Woo;Hong, Sung-Yun;Lee, Ki-W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3호
    • /
    • pp.240-248
    • /
    • 2009
  •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planktonic shrimps were studied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from 1987 to 1991. Nine species of five genera belonging to three families were identified. Of these, Leptochela sydniensis and Lucifer intermedius were predominant species and Lucifer penicilifer and Lucifer typus were common species. Remaining five species, Acetes chinensis, Leptochela gracilis, Lucifer chacei, Process wheeleri and Sergestes similis occurred sporadically and rarel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planktonic shrimps varied with species and sampling periods. L. intermedius occurred abundantly along inshore waters. L. penicilifer and L. typus appeared in both inshore and offshore waters, but more abundantly in offshore waters under influence of the Tsushima Current. In conclusi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planktonic shrimps may be related with hydr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asonalit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우리나라 서해남부 해역에 분포하는 돗대기새우 (Leptochela gracilis)의 생식생태 및 개체군 동태에 관한 연구

  • 오철웅;김장용;마채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22-223
    • /
    • 2002
  • 돗대기새우류(Leptochela sp.)는 전 세계적으로 2아속 12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중7종이 인도태평양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는 돗대기새우 (L.gracilis)와 둥근돗대기새우(L. sydniensis) 2종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봄과 가을에 대량 출현한다. 돗대기 새우는 젓새우류와 혼획되어 어획되며 서남 해역에 어가의 주소득원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는 형태학적 분류 (Chace, 1976), 성장 (Park and Lee, 1995)과 2차 성징의 특성 (Park, 1984)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중략)

  • PDF

제주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luefin Searobin Chelidonichthys spinosus around Jeju Island)

  • 김종빈;김정윤;이동우;최정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78-382
    • /
    • 2011
  • The feeding ecology of bluefin searobin Chelidonichthys spinosus around Jeju Island was examined. Specimens were caught every autumn from 2004 to 2007. The primary prey items of C. spinosus included fish, shrimp, and crabs. Chelidonichthys spinosus preyed upon a wide range of sub-pelagic crustacean groups(e.g., Leptochela gracilis, Leptochela sydniensis). This species was also an opportunistic feeder, exploiting the available prey groups in each area(i.e., L. gracilis in the South Sea and East China Sea groups and L. gracilis and L. sydniensis in the Yellow Sea group). The main prey group of this species changed from demersal shrimp to pelagic shrimp with prey environmental changes. Observed ontogenetic shifts in diet were relatively clear despite substantial overlap between the 10 cm and 20 cm C. spinosus groups.

부산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luefin Searobin (Chelidonichthys spinosus)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 허성회;박주면;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56
    • /
    • 2007
  • 2005년 1월에서 12월까지 부산 주변해역에서 채집한 출현하는 성대(Chelidonichthys spinosus) 646개체의 위 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성대의 주 먹이생물은 대롱수염새우 (Solenocera melantho), 둥근돗대기새우(Leptochela sydniesis), 꽃새우(Trachthysalambria curvirostris) 같은 새우류(Macrura)였으며, 게류(Brachyura)와 어류(Pisces) 등도 섭이하였다. 체장 25cm 이하의 비교적 작은 개체는 둥근돗대기새우, 게류, 어류 등을 주로 섭이하였고, 25 cm 이상의 큰 개체는 대롱수염새우, 꽃새우 같은 큰 크기의 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성대의 먹이생물 크기는 성대의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천연조미소재 개발을 위한 돗대기새우(Leptochela gracilis) 엑스분의 추출조건

  • 안종훈;조영철;이성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12-113
    • /
    • 2000
  • 수산물은 육류와는 다른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각종 풍미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새우류는 칼슘함량이 높으며, 단백질도 많아서 영양적으로도 우수하고, 독특한 향기가 있기 때문에 풍미를 불러 일으키는 효과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소재 수산물 천연조미소재의 개발과 수산자원을 이용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돗대기새우를 원료로 한 천연조미소재 개발의 일환으론 엑스분의 추출조건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부산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불볼락(Sebastes thompson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ebastes thompsoni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 허성회;남기문;추현기;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2-38
    • /
    • 2008
  • We studied the feeding habits of Sebastes thompsoni based on 421 specimens obtained in monthly collection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5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S. thompsoni was a crustacean feeder, and consumed mainly shrimp and euphausiid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amphipods, cephalopods, and fish. It showed distinct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er individuals (14-17 cm standard length (SL)), mainly consumed euphausiids. The portion of these prey items decreased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larger individuals (>20 cm SL) consumed mainly shrimp such as Leptochela sydniensis.

국내 온라인 유통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beling Compliance Monitoring of Commercial Shrimp Products Sold in Online Markets of South Korea)

  • 김건희;이지영;강태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96-507
    • /
    • 2023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온라인 시장에서 판매되는 48개의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제품 표시 사항 일치 여부를 조사하였다. 사용 원재료의 종 판별을 위해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GenBank 및 BOLD system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물종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다. 또한 계통분석을 수행하여 동정된 새우종을 추가로 검증했다. 종판별 결과 총 16종[흰다리새우(Penaeus vannamei, Whiteleg shrimp or Pacific white shrimp), 북쪽분홍새우(Pandalus borealis, Alaskan pink shrimp), 그라비새우(Palaemon gravieri, Chinese ditch prawn), 돗대기새우(Leptochela gracilis, Lesser glass shrimp), 얼룩새우(Penaeus monodon, Giant tiger prawn), 아르헨티나붉은새우(Pleoticus muelleri, Argentine red shrimp), 산모양깔깔새우(Metapenaeopsis dalei, Kishi velvet shrimp), 태평양난바다곤쟁이(Euphausia pacifica, Isada krill), 가시배새우(Lebbeus groenlandicus, Spiny lebbeid), 꽃새우(Trachypenaeus curvirostris, Southern rough shrimp), 진흙새우(Argis lar, Kuro shrimp), 가시발새우(Metanephrops thomsoni, Red-banded lobster), 깔깔새우(Metapenaeopsis barbata, Whiskered velvet shrimp), 긴발딱총새우(Alpheus japonicus, Japanese snapping shrimp), 대하(Penaeus chinensis, Fleshy prawn), 긴뿔민새우(Mierspenaeopsis hardwickii, Spear shrimp)]이 확인되었으며, 흰다리새우(n=22, 45.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일반명 '새우'를 포함하는 35개 제품(72.9%)에서 표시사항과 불일치를 나타내었으며, 일반명(n=30)을 제외할 경우 불일치율은 10.4%로 낮아졌다. 가공 정도별 불일치율은 다중 가공 제품(n=25, 89.3%)이 단순 가공 제품(n=10, 50%)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원산지별 분석 결과 특정 국가와 불일치율과의 상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새우 제품의 모니터링 수행 및 새우의 국명 표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