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piot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고등 균류의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

  • 이규선
    • 약학회지
    • /
    • 제23권3_4호
    • /
    • pp.153-158
    • /
    • 1979
  • Free amino acids in extracts and total amino acids in hydrolysates of eight species of higher fungi were analyzed by an amino acid autoanalyzer. Twenty amino acids were analyzed in eight species of higher fungi. 1) of all free amino acids contained in higher fungi, alanine is the richest, and then comes glutamic acid, serine, arginine, proline and histidine in that order. Of all total amino acids contained in higher fungi, glutamic acid is the richest, and then comes proline, valine, aspartic acid, alanine, leucine in that order. Especially Russula fragilis and Lepiota procera contain large quantity of glutamic acid. 2) Gross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in the extracts is high in order of Lepiota procera, Phylloporus rhodoxanthus, Russula fragilis, Tylopilus felleus and total amino acids in hydrolysates is high in Phylloporus rhodoxanthus, Lepiota procera, Russula fragilis, Lentinus lepideus. 3) Total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in the extracts was high in Lepiota procera, Phylloporus rhodoxanthus, Tylopilus felleus, Xylaria hypoxylon, Lentinus lepideus, Russula fragilis, Lactarius piperatus and Calocybe gambosa and in the hydrolysates of Phylloparus rhodoxanthus, Russula fragilis, Lepiota procera, Tylopilus felleus, Lentinus lepideus, Lactarius piperatus, Calocybe gambosa and Xylaria hypoxylon in that order, respectively.

  • PDF

Determination of Amatoxins in Lepiota brunneoincarnata and Lepiota venenat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 Long, Pan;Fan, Fengxia;Xu, Bin;He, Zhengmi;Su, Yuting;Zhang, Ping;Xie, Jianwei;Chen, Zuohong
    • Mycobiology
    • /
    • 제48권3호
    • /
    • pp.204-209
    • /
    • 2020
  • Three hepatic failure poisoning incidents caused by Lepiota brunneoincarnata and Lepiota venenata mushrooms have been occurred in China in 2017, L. venenata has been described as a new species. However, the cyclopeptide toxins of these lethal mushrooms remain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amatoxins in L. brunneoincarnata and L. venenata are analyzed and compared, the analysis of composition and content of amatoxins in L. venenata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β-amanitin (β-AMA), α-amanitin (α-AMA), amanin, and amaninamide were identified in L. brunneoincarnata, and α-AMA, amanin II (an analog of amanin), and an unknown compound were identified in L. venenata. The differences between L. brunneoincarnata and L. venenata in the identified compounds provide chemical evidence for L. venenata as a new species. Quantitative analysis shows that α-AMA concentrations in L. brunneoincarnata and L. venenata were 0.72-1.97 mg/g dry weight, β-AMA concentrations in L. brunneoincarnata were 0.57-0.94 mg/g dry weight, and β-AMA was absent in L. venenata.

한국산 고등기 (X I) (Notes on the Korean Higher Fungi (X 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3-258
    • /
    • 1995
  • 1988년 7월부터 1991년 9월까지 전주와 근교의 만덕산, 위봉사 그리고 내장산 국립공원, 발왕산, 그리고 월출산 국립공원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된 것은 다음과 같다. 빨강꽃버섯(Hygrocybe marchii), 헛물털애주름버섯(Hydropus floccipes), 뿔껍질갓버섯(Lepiota hystrix), 사초외대버섯(Entoloma cinchonense), 물외대버섯(E.hypoporhryum), 그리고 봉밀외대버섯(E,mellum)이다.

  • PDF

Notes on the Korean Higher Fungi(XV)

  • Cho, Duck-Hyun;Yoo, lck-Dong
    • Plant Resources
    • /
    • 제2권2호
    • /
    • pp.133-138
    • /
    • 1999
  • Many higher fungi were collected at Pyonsan penisula Mt.Odae, Korean Highway Cororation Arboretum, Mt.Moak, Yaksan island from 1996 to 1998. They were identifi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Hygrocybe coccineocrenata, Collybia neofusipes, Marasmius wettsteinii, Amanita esculenta, Lepiota fuscipes, Leucocoprinus subglobisporus, Cystoderma japonicum and Coprinus narcoticus are newly to Korea. They were designed Korean common name by author.

  • PDF

갓버섯의 항균 분석 (Antitumor Components of the Cultured Mycelia of Lepiota procera)

  • 김병각;심미자;김옥남;김하원;최응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9-118
    • /
    • 1989
  • 한국산 담자균류인 갓버섯 Lepiota procera의 균사를 액내 배양하여 항암성분인 단백성 다당체를 분리하였다. 이 성분은 DEAE-Sephadex A-50 이온교환수지와 Sepharose-4B gel Filtration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Fraction C1을 얻었으며 이 Fr, Cr은 단백질과 다당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암 효과는 10mg/kg/day 투여군에서 64%의 저지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암작용의 기전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함 결과 이 단백다당체는 용혈반형성 세포수를 증가시켰으며, 저하된 지연성 과민반응을 회복시켰을 뿐만 아니라, carrageenan 투여에 의해 억제된 면역능을 다시 증강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 버섯의 항암작용이 세포독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종양에 대한 면역능을 강화시켜 발휘됨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한국(韓國) 죽림산(竹林産) 고등(高等) 균류(菌類) (Fungal Flora in Bamboo Forest of Korea (I))

  • 이지열;조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6
    • /
    • 1976
  • 1976년 5월 6일, 8월 17, 29일. 10월 3일에 담양과 경주의 죽림에서 40여개의 고등균류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3목10과19속23종을 분류하였으며 그 중에서 한국미 기록종은 다음과 같다. Clitocybe castaneifloccoss S. Ito et Imai, Colybia matris S. Ito et Imai, Marasmiellus lactea (Pers. ex Fr.), Lepiota hetieri Boud. Paxillus atrotomentosus (Fr.) Fr. var. bambusinus Baker et Dale.

  • PDF

한국산(韓國産) 주름버섯 목(目)에 대한 보고(報告) (Notes on Korean Agaricales (II))

  • 김양섭;박용환;신관철;본향차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7-42
    • /
    • 1978
  • $1974{\sim}1977$년까지 채집되어 분류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되어 오던 표본중에서 7종과 금년 4월부터 10월까지 수원 근교와 속리산에서 채집한 2종을 새로이 분류하여 한국 미기록종 9종, 즉 Hygrophorus pratensis, H. flavescens, H. puniceus, Rhodophyllus rhodopolious, Lepiota atrosquamulosa, Leucocoprinus fragilissima, Lyophyllum semitale, Russula delica, Xerocomus badius 등이 확인되었고 그의 한국명을 신청하였다.

  • PDF

야생(野生) 식용(食用)버섯의 인공재배(人工栽培) 검토(檢討) (Investigation on Artificial Culture for New Edible Wild Mushrooms)

  • 박용환;김양섭;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30
    • /
    • 1978
  • 새로운 야생식용(野生食用)버섯의 인공재배(人工載培)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배지(培地) 종류별(種類別) 균멱생장(菌生長)은CSA 배지(培地)에서 Coprinus comatus 양호(良好)하였으나 Pleurotus cornucopiae, Auricularia auricula-judae 및 collybia sp는 불량(不良)하였다. 2. Malt extract의 첨가량(添加量)은 5g까지 증가(增加)시켰을 때 Lepista nuda와 Auricularia auricula-judae는 균멱생장(菌生長) 양호(良好)하였으나 Pholiota squarrosa는 불량(不良)하였다. 3. 균주별(菌株別) 온도(溫度)에 따른 균멱생장(菌生長)에 있어서 Lepiota procera $20{\sim}30^{\circ}C$, Pholiota squarrosa는 $20{\sim}25^{\circ}C$에서 양호(良好)하였다. 그 외 다른 균주(菌株)는 25^{\circ}C$에서 균먹(菌)가 양호(良好)했다. 4. 종균조시(種菌造時) Pholiota squarrosa는 참나무톱밥, Pleurotus cornucopiae는 활엽수토밥, Coprinus comatus는 양송이퇴비(堆肥)에서 균멱생장(菌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5. 배지재두별(培地材枓別) 버섯발생(發生)은 볏짚배지(培地)에서 Coprinus comatus, Lepiota, alborubescens, 활엽수톱밥에서는 Auricularia auricula-judae, Pleurotus cornucopiae, 그리고 참나무톱밥에서 Pholiota squarrosa의 자실체(子實體)가 발생(發生)되어 인공재배(人工栽培)가 가능(可能)하였다.

  • PDF

강원지역의 고등균류기 (I) -수종 미기록종에 대하여- (Notes on the Higher fungi in Kangwon-do (I) - on Some Unrecorded Species -)

  • 김양섭;석순자;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153-162
    • /
    • 1998
  • 강원도 지역에 발생하는 버섯류의 유전자원에 대한 종다양성 및 분포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5{\sim}10$월까지 치악산 주위에서 5회 채집한 버섯과 1996년 이전에 오대산, 가리왕산 등지에서 수집된 건조표본 120점을 합하여 총 454점을 육안 및 현미경에 의한 형태적 특징을 관찰하였고, 최신 분류체계에 따라 종을 동정하였다. 조사결과 195종이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미분류 표본은 다음을 위하여 농과원 표본실에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강원지역에 자생하는 버섯류의 종 다양성 및 분포상에 대해서는 앞으로 $2{\sim}3$년 더 조사한 후 자료를 보충하여 보고하고자 하며, 본 논문에서는 한국미기록 종만 기술하였다. 확인된 버섯류 중 한국미기록 5종 왕주름패랭이버섯(신칭) Gerronema strombodes (Berkeley & Montagne.) Singer; 벽돌깔때기버섯(신칭) Clitocybe sinopica (Fr.: Fr.) Kummer; 홍시애주름버섯(신칭) Mycena acicula (Fr.) Quel. 솔방울버섯속 Baeospora Sing.; 연보라솔방울버섯 (신칭) Baeospora myriadophylla (Peck) Sing.; 여주씨갓버섯(신칭) Lepiota grangei (Eyre)Lge. 등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한국명을 신칭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무우자갈버섯(Hebeloma crustulineforme)을 위시한 한국산 담자균류 46종의 용혈활성 검색 (A Preliminary Screening of 46 Korean Basidiomycetes Including Hebeloma crustulineforme for Their Hemolytic Activities)

  • 양희정;정수현;김진향;정경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53-256
    • /
    • 1997
  • 한국산 야생버섯의 독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46종의 야생버섯의 용혈독성을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6종 중 Amanita esculenta, A. griseofarinosa, A. longistriata, A. melleiceps, A. phalloides, A. rubescence, A. spissacea, A. vaginata, Hebeloma crustuliniforme, Lepiota cygnea, Macrolepiota procera, 및 Oudemansiella platyphylla 등 12종의 야생 담자균 냉침액이 마우스 적혈구에 대하여 강력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2) A. griseofarinosa 및 H. crustuliniforme은 $100^{\circ}C$ 수용상에서 5분간 가열하여도 그 용혈 활성이 소실되지 않아 열에 매우 안정한 용혈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