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tinus edodes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6초

표고의 각(各) 계통별(系統別) 발생양(發生量)과 생태적(生態的)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Yield,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veral Strains of Lentinus edodes)

  • 이웅래;황계성;이준삼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43
    • /
    • 1980
  • 1973년(年)부터 국내외(國內外)에서 수집(蒐集)한 계통(系統) 및 교배계통(交配系統) 13 균주(菌株)에 대(對)하여 배지상(培地上)에서 균사(菌絲)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기중(其中) 11계통(系統)을 선발(選拔), 골목상에서의 자실체발생(子實體發生) 시험(試驗)과 자실체(子實體)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톱밥배지상(培地上)에서 균사발육(菌絲發育)이 양호(良好)한 계통(系統)은 11001, 12001,12004,13005,13012,13015,20101등(等) 7계통(系統)이었다. 2. 원목내(原木內)에서 균사(菌絲)의 활착(活着) 및 발육(發育)이 공(共)히 가장 양호(良好)한 계통(系統)은 20101과 11001으로 나타났다. 3. 골목상에서 6개년간(個年間) 총자실체(總子實體) 발생양(發生量)은 11001,12001,20101등(等) 3계통(系統)이 가장 많았다. 4. 종균(種菌)의 원목(原木) 접종후(接種後) 자실체발생(子實體發生)에 있어서 4년차(年次)에 최성기(最盛期)가 되는 계통(系統)이 가장 많았다. 5. 자실체(子實體) 건조회수률(乾燥回收率)은 13005과 20101계통(系統)이 가장 높았다. 6. 각(各) 계통(系統)에 따라서 초발생시기(發生時期)가 계통고유(系統固有)의 특징(特徵)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것을 발생형(發生型)으로 구분(區分)하여보면 하추기 발생형이(夏秋期 發生型) 가장 많았다. 7. 자실체(子實體)의 형태적(形態的) 特徵(特徵)은 발생시(發生時)의 환경(環境)에 따라 어느 정도(程度) 다르나 장기적(長期的)으로 계속 관찰(觀察)하여 각(各) 계통특징(系統特徵)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8. 자실체(子實體)의 형태(形態)가 정일(整一)하고 후육계통(厚肉系統)은 20101이었다.

  • PDF

시장성이 없는 갈변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정 (Screening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y for Unmarketable Browne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 강미영;김설이;윤혜정;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396-402
    • /
    • 2004
  • 갈변표고버섯을 건강기능성 식품산업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환원력과 세포 내 활성산소종에 대한 억제효과, 페놀화합물 및 피틴산의 함량, 대식세포의 NO 라디칼과 matrix metalloproteinase9(MMP9) 생성에 대한 제어작용 및 항변이원성을 생리활성의 지표로 갈변반응이 건강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에탄올추출물의 환원력이 열수추출물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3.32 mg/ml 농도에서 갈변반응은 표고버섯의 환원력이 28%까지 증가시켰다. 갈변과정에서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생표고버섯에 비하여 73%정도 증가된 반면, 피틴산의 함량에 유의한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표고버섯 에탄올추출물의 처리는 $100\;{\mu}g/ml$의 시료농도에서 LPS 자극에 의한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43% 이상 증진시킨 반면 열수추출물은 오히려 17%이상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갈변반응이 용매별 추출분획의 NO 및 MMP9의 생성을 제어하는 경향에 변화를 일으키니 않았다. 또한 SOS chromo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활성의 측정 결과도 mitomycin C가 유발한 돌변변이에 대한 표고버섯 추출물의 억제효과에 갈변반응이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상품성을 상실한 갈변표고버섯도 다양한 건강기능성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한 원자재로 소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almonella Gallinarum 감염닭의 대식세포에서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 미강생물전환소재에 의한 면역조절효과 (Immunomodulation by Bioprocessed Polysaccharides from Lentinus edodes Mycelia Cultures with Rice Bran in the Salmonella Gallinarum-infected Chicken Macrophages)

  • 이형태;이상종;윤장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83-38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 생물전환공법으로 생산된 미강생물전환소재(BPP-RB)가 가금티푸스의 주요 원인균인 S. Gallinarum에 감염된 닭 유래 대식세포주 HD-11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강생물전환소재 추출액은 S. Gallinarum 277에 대한 직접적인 성장억제 효과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총단백질 및 분비단밸질 발현 양상에 어떠한 변화도 유도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미강생물전환소재 추출액은 (i) HD-11 대식세포의 탐식 능력(phagocytic activity)을 활성화하였고, (ii) Th1-type cytokines(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IL)-1{\beta}$, iNOS)과 immunosuppressive cytokine IL-10의 발현 증가를 유도하였으며, (iii) Th2-type cytokines (IL-4, IL-6)의 발현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미강생물전환소재는 가금 농장에서 가금티푸스 및 다른 Salmonella종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사료첨가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알코올 투여한 흰쥐 간세포내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활성과 항산화에 미치는 식물추출물들의 영향 (Effect of Plant Extracts on the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the Antioxidation in Alcohol-treated Rat Hepatocyte)

  • 조성환;김지철;김성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9-683
    • /
    • 2001
  • 본 실험은 알코올 투여한 흰쥐를 대상으로 콩나물, 솔잎, 표고버섯과 오가피 추출물의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과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약 200g 정도의 Sprague-Dawley계 쥐들을 정상군, 알코올 단독투여군, 4가지 식물추출물 투여군으로 나우어서, 각 식물추출물을 알코올을 주입하기 전 8일 동안 200mg/kg b.w. 을 하루에 한번 경구투여하였다. 모든 동물은 알코올을 주입하고 90분 후에 도살시켰다. 콩나물과 솔잎추출물 투여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단독투여군, 표고버섯, 오가피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콩나물과 솔잎 추출물 투여군의 알코올 탈수소효소활성은 알코올 단독투여군과 표고버섯, 오가파군보다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주었다. Catalase 활성은 식물추출물 투여군이 알코올 단독투여군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흰쥐에게 일회성으로 알코올을 다량 투여했을 때 알코올 탈수소효소가 catalase보다 우선적으로 알코올 대사에 반응함을 보여준다. 모든 식물추출물 투여군들의 지질과산화와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알코올 단독투여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 실험에 사용된 식물추출물들이 알코올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콩나물과 솔잎 추출물 투여군이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활성증가오 항산화에 대한 효과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 PDF

고품질 표고 생산 지역의 버섯 생산기간중 기후 분석 (Analysis of Climatic Factors during Growing Period of High-Quality Oak Mushroom(Lentinus edodes(Berk) Sing))

  • 손정익;최원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19
    • /
    • 2000
  • 표고버섯은 담자균류 송이과에 속하는 식용 버섯으로, 영양 성분 및 약리적 효능이 높기 때문에 동양인에게 중요한 버섯이며, 점차로 생산량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표고버섯 생산시기의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표고버섯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생육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7~1998년 국내 고품질 표고버섯이 생산되는 지역중 3지역(부여, 원주, 장흥)을 선정하였다. 표고버섯의 다량 발생시기 20일 기준으로 기상분석시기 15일을 선정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발생시기의 일 온도차, 일습도차, 일평균온도, 일 평균습도 및 풍속을 분석하였다. 발생기간중의 일 평균온도는 버섯 발생 온도 하한치인 $7^{\circ}C$ 이하에서 적정온도 $20^{\circ}C$까지의 변화를 보였고, 일 온도차는 주간에는 $7~20^{\circ}C$, 야간에 $0~-2^{\circ}C$의 범위를 나타냈다. 일평균습도 50~70%으로 강우에 따라서 변화 폭이 컸으며, 일습도차는 40~60%의 차를 나타냈다. 풍속은 1~4m.$s^{-1}$이었다 .따라서 화고, 동고의 생육환경은 일반적인 표고버섯의 적정 생육 조건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생육기간동안의 일 온도차, 일습도차, 저 습도, 풍속 등의 환경 조건은 고품질 표고버섯 발생의 요인의 하나라고 추정된다. 이 연구결과는 버섯의 시설재배시 고품질 표고버섯 생산을 위한 환경조절기술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표고버섯 골목의 사용연수에 따른 화학적, 물리적 성상 및 폭쇄처리 후 변화 관찰 (Analysis of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og Woods for Oak Mushroom Production Depending on Cultivation Periods and Steam Explosion Treatment)

  • 구본욱;박준영;이수민;최돈하;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77-86
    • /
    • 2005
  • 표고버섯 폐골목의 대체에너지 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폐골목을 사용연수별로 구분하고 동일 수종의 정상재와 함께 화학적, 물리적 성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폐골목에 잔존하는 효소에 의한 전처리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존의 전처리 방법인 폭쇄처리법과 비교하였다. 사용연수에 따른 화학적 성상의 변화는 회분, 수용성 추출물, alkali 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함량 모두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진 않았지만 균주를 접종한 직후 폐골목에서 정상재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olocellulose 함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다른 주성분인 lignin 함량은 균주 접종 전후에 큰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cellulose 함량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균주에 의해 상당량의 lignin 분해가 진행되었다. 부후정도는 균주 접종 후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결정화도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폭쇄처리에 의한 화학적, 물리적 성상의 변화로서 수용성 추출물, alkali 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함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holocellulose 함량도 소폭 상승하였지만 lignin 함량은 특별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추출물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holocellulose와 lignin 모두 감소하였다고 생각된다. 폭쇄처리에 의한 결정화도의 감소는 균주 접종 후의 감소폭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인위적으로 부후시킨 재료에 대한 lignin 함량은 폐골목의 함량보다 감소하여 잔존 효소에 의한 전처리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폐골목은 대체에너지 자원으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사료된다.

옥수수 배아박의 버섯 균사생장의 미강대체 효과 (Effect of Corn Germ Meal in Mycelial Growth of Mushrooms)

  • 장현유;김동훈;이상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70-78
    • /
    • 2001
  • 각종 버섯에 있어서 옥수수배아박과 CMS함량별 배지 첨가에 의한 미강대체효과를 균사 생장과 밀도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본 시험을 통하여 옥수수배아박과 CMS는 미강대신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영양첨가제로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은 CMS 10%첨가시 93mm/10일 옥수수배아박 10% 첨가시 90mm/10일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나 균사밀도는 대조구 74mm/10일에 비해 약 현저히 균사생장과 밀도가 좋았다. 팽이버섯 수량을 고려한다면 10~30%까지 혼합하면 균사생장과 밀도 뿐만아니라 수량 증수에도 촉진적으로 작용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4. 표고버섯은 CMS 10~40%첨가시 58~52mm/10일로 옥수수배아박 10~30%첨가시 56~49mm/10일로 무처리 47mm/10일 보다 촉진적으로 작용하였다. 5) 영지버섯은 CMS와 옥수수배아박을 10~30%첨가시 각각 76~72mm/10일, 74~69mm/10일보다 촉진적으로 작용하였다.

표고 균사 배양체내 에르고스테롤 함량의 변이 (Variation of Ergosterol Content in Lentinula edodes Culture)

  • 구창덕;조남석;김재수;박재인;최태호;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65-70
    • /
    • 2000
  •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은 고등균류 균사세포막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 이들의 특징 물질이고, 균의 생장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균사 배양체에서 이 물질의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고체상 배지 속에 있는 곰팡이의 생채량을 추정할 수 있다. 표고균사의 액체 배양체와 톱밥 배양체를 가지고 에르고스테롤을 분석한 결과, 이 물질의 함량은 균사체의 중량과 직선적 상관관계가 있으면서(r=0.98), 배양기간, 균주, 배지내 수분함량에 따라 달라졌다. 액체배양체에서 에르고스테롤 농도는 10주간 배양된 것이 0.13%로 20주간 배양된 것의 0.1% 보다 높았다. 톱밥배양체에서 이 물질의 농도는 균주와 수분 함량에 따라 0.015~0.042% 범위였다. 표고균주 산림 4호 배양체에서 에르고스테롤 함량은 균주 목-H나 산림 6호의 것보다 건조배지 g당 $20{\sim}140{\mu}g$ 정도 높았다. 이 화확물질의 함량은 표고균사를 수분율이 125%나 175%인 배지에서 배양하였을때 건조배지 g당 $297{\sim}425{\mu}g$/g 였다. 이 양은 수분율이 125%나 225%인 배지에서의 함량, $148{\sim}286{\mu}g$/g 건조배지, 보다 높은 것이다. 에르고스테롤을 분석함으로써 톱밥이나 원목과 같은 고체배지내에 있는 표고 균사량의 추정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 PDF

사과/배 부산물 및 표고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물 개발 (Development of an apple/pear pomace fermented with Lentinus edodes Mycelia)

  • 김진경;조승화;김은지;정도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86-294
    • /
    • 2019
  • 본 연구는 표고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사과, 배 부산물의 기능성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사과/배 부산물 분말 농도 30% 및 미강, 대두박의 영양성분을 비율별로 첨가하고 Lentinula edodes KCCM 12339를 접종하여 온도 $24^{\circ}C$, 습도 80%에서 발효하였다. 사과/배 부산물 및 표고버섯 발효물의 효소활성은 전분분해 및 단백분해활성은 발효전과 발효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cellulase 및 pectinase 활성에서 표고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사과/배 부산물 발효물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가수분해 작용에 균사체가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사과/배 부산물 및 표고버섯 발효물의 생리활성은 DPPH radical 소거능, SOD-like activity, total polyphenol, ABTS radical 소거능, 베타글루칸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사과/배부산물 보다 사과/배부산물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물이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Raw 264.7(대식세포)cell 배양 중 LPS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도시켜 사과/배 부산물 및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NO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발효하지 않은 사과/배 부산물보다 사과/배 부산물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물이 더 낮은 생성량을 보여 발효물 처리 시 염증유발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과/배 부산물의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를 통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천연 기능성 물질소재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유효성분에 대한 균사체 발효 최적화 조건의 구체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고 재배(栽培) 폐재(廢材)의 사료화(飼料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eeding value of the waste wood of Leniinus eddodes)

  • 김법회;이택원;민두식;김내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8-14
    • /
    • 1978
  • In order to determine the feeding value of t:1e waste wood of Lentinus eddodes, the waste wood was milled and treated with $Ca(OH)_2$ and cellulase, then raw waste wood and the treated waste wood were fed to broiler chicken and Korean native goat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waste wood was c. protein 2.26%. c. fat 2.57%. c. fiber 44.60 and c. ash 5.58%. No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the raw waste wood and $Ca(OH)_2$ or cellulase treated waste wood in chemical composition. 2. In amino acid composition. no cystine and methionine was showed, but trace amount of Vitamin A, $B_1$, and $B_2$, and cholin chloride were detected. 3. Trichoderma viride SANK. No. 16374 was used to decompose the cellulose. 4. In broiler performance, when waste wood meal was subsituted for 5% wheat bran, no adverse effect was showed on weight gain, feed in take and feed efficiency. But $Ca(OH)_2$ and cellulase treated waste wood meal could be subsituted for 8% wheat bran. 5. In Korean native goat performance, feeding waste wood meal subsituted by 50% various bran (25% defatted rice bran and 25% barley bran) had no adverse effect on growth and feed efficiency. 6.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hough the waste wood meal could be replaced to part of various bran, there was a bottle-neck to process the waste wood. The waste wood of Lentinus edodes was little feeding value on bed of rumin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