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s container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한 소프트렌즈 세척 실태 조사와 세척용기에 따른 단백질 제거 효과 (The Investigation on Ultrasonic Cleaning of Soft Contact Lenses in Local Optical Shops and the Protein Removal Effect by Lens Containers)

  • 구성봉;조슬비;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40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안경원에서의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한 소프트렌즈 세척 실태를 조사하고 세척용기를 달리하였을 때의 단백질 제거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서울시 소재 75개 안경원을 대상으로 소프트렌즈 세척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공누액을 사용하여 소프트렌즈에 인위적으로 단백질을 침착시킨 후 세척용기를 달리하여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로 세척한 후 단백질 잔존량을 측정함으로써 세척효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반복적인 초음파 세척으로 인한 소프트렌즈의 표면과 습윤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안경원에서 콘택트렌즈 세척에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는 주목적은 신속함 때문임을 확인하였다. 세척용기로 플라스틱 렌즈 용기와 유리병 렌즈용기를 사용하고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로 소프트렌즈를 세척한 경우 유리병 렌즈용기를 사용하였을 때 세척효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한편 반복적인 초음파 처리로 인하여 소프트렌즈의 표면과 습윤성의 변화가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안경용 초음파세척기 이용 시 세척용기로 플라스틱 렌즈용기와 유리병 렌즈용기의 사용이 모두 효과적이었지만 반복적인 초음파 세척 시에는 세척용기를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초음파로 인한 소프트렌즈의 변성이 우려되므로 주의를 기울여 사용하여야 것이다.

In vitro cytotoxicity of Acanthamoeba spp. isolated from contact lens containers in Korea by crystal violet staining and LDH release assay

  • Shin, Ho-Joon;Cho, Myung-Soo;Jung, Suk-Yul;Kim, Hyung-Il;Im, Kyung-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8권2호
    • /
    • pp.99-102
    • /
    • 2000
  • In order to observe the cytotoxicity of Acanthamoeba spp., which were isolated from contact lens containers as ethiological agents for the probable amoebic keratitis in Korea, the crystal violet staining method and LDH release assay were carried out. In the crystal violet staining method, among eight contact lens container isolates, isolate 3 (Acanthauloeba KA/LS5) showed 83.6% and 81.8% of cytotoxicity, and isolate 7 (Acanthamoeba KA/LS37) showed 28.2% and 25.1% of cytotoxicity, in 1 mg/ml and 0.5 mg/ml Iysate treatments, respectively. Acanthamoeba cutbertsoni and A. healyi showed 84.0% and 82.8% of cytotoxicity.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A. costellunii and A. hafchefti which showed 83.6% and 75.5% or cytotoxicity. Acanthamoeba roureba and A. polyphaga showed 9.0% and 1.7% of cytotoxicity. In the LDH release assay, isolate 3 (20.4%) showed higher cytotoxicity than other isolates in 1 mg/ml Iysate treatment. The results provide that at least isolate 3 has the cytotoxic effect against CHO cells and seems to be the pathogenic strain.

  • PDF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콘택트렌즈 관리체계에서 렌즈 보관용기의 미생물 오염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 cases in multi - purpose solution care systems)

  • 김상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5-99
    • /
    • 2000
  •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 80명 중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렌즈 관리체계에서 렌즈 보관용기의 미생물 오염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중 72명(90%, 다목적용액 사용자 포함)은 화학소독을 6명(7%)은 과산화수소 소독을 그리고 2명(3%)은 열 소독을 실시하고 있었다.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관리체계는 조사대상 중 59%이었다. 수거하여 조사한 총 80개의 렌즈 보관용기 중 68%(54개)에서 미생물 요염이 나타났다. 보관용기는 사용기간이 오래된 것일수록 오염률이 더 높았다. 다목적 용액을 사용하는 관리체계에서 오염된 31개(57%)의 보관용기 중 1종류의 균주가 검출된 경우가 4개(13%), 2종류의 균주가 검출된 경우가 15개(48%) 그리고 3종류 이상의 균주가 검출된 경우가 12개(39%)이었다. 오염된 렌즈 보관용기로부터 Pscudomonas. Scrratia. Bacillus. E. coil. Aspergillus 등이 분리 동정되었다. 다목적 용액 관리체계에서 소프트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미생물 오염률이 높기 때문에 렌즈를 보다 효과적이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주기적으로 자주 렌즈 보관용기를 교체하므로서 보관용기 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 PDF

경기도 지역 콘택트렌즈 착용실태 조사 (Survey on Contact Lens Wear Status in Gyeonggido)

  • 송윤영;오현진;정미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373-378
    • /
    • 2014
  • 콘택트렌즈 착용 실태와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관리 소독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경기도 지역 콘택트렌즈 착용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1월부터 7월까지 콘택트렌즈를 구매하고자 안경원에 내원한 고객 중 설문에 응한 중 고등학생 및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 종류는 미용칼라 콘택트렌즈가 139명(55.16%)으로 가장 많았으며, 여성이 177명(88.5%), 남성이 23명(11.5%)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를 같이 사용한 경험이 있냐는 설문에 대한 응답은 37명(18.5%)이 '있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콘택트렌즈 보관 용기의 교체 여부에 대해서는 '교체하지 않는다'라는 응답이 103명(51.5%)이었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안경 사용률을 알아보기 위한 안경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에서는 '안경이 있다'라는 응답이 148명(74%))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택트렌즈 처음 착용 시기는 중학교가 127명(63.5%)으로 가장 많았으며, 안경 처음 착용 시기는 초등학교 4-6학년이 65명(43.92%)으로 나타났다. 콘택트렌즈는 미용의 목적보다는 시력교정을 위한 목적으로 눈의 건강상태에 맞는 콘택트렌즈 착용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정기 검사 및 올바른 콘택트렌즈 관리를 위한 안경사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Isoenzyme patter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Acanthamoeba spp. isolated from contact lens containers in Korea

  • Shin, Ho-Joon;Cho, Myung-Soo;Kim, Han-jip;IM, Kyung-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4호
    • /
    • pp.229-236
    • /
    • 1999
  • In order to refer to the basic information regarding the identification of isolates obtained from a contact lens container in Korea, the isoelectric focusing gel electrophoresis was employed to compare the isoenzyme band patterns among Acanthamoeba spp. including eight isolates and the simple pairwise dissimilarity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an alkaline phosphate development, isolate 7 and Acanthamoeba polyphaga showed homologous band patterns, and isolates 1, 2, and 3 showed the same patterns. For lactate dehydrogenase, similar patterns were observed in isolates 2 and 3. Isolates 3 and 5 showed homologous band patterns for malate dehydrogenase and glucose phosphate isomerase. For hexokinase, isolates 4, 7, and A. hatchetti showed the same band patterns. In others, a considerable number of interstrain polymorphisms was observed in nine isoenzyme band patterns. In Acanthamoeba group II, genetic distances among isolates 1, 2, 3, 4, and 5 ranged from 0.104 to 0.200. In comparison to A. castellanii, A. hatchetti, and A. poIyphaga, genetic distances of isolates 7 and 8 were 0.254 and 0.219, respectively. In Acanthamoeba group III, including A. culbertsoni, A. healyi, and A. royreba, isolate 6 had genetic distances which ranged from 0.314 to 0.336. Finally, when comparing to the six reference Acanthamoeba, it was possible to classify isolates 1, 2, 3, 4, and 5, as genetically close-related species and as independent species group. Furthermore, isolates 6, 7 and 8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species as well.

  • PDF

수액 소진 알람시스템을 위한 동일평면형 광센서의 연구 및 제작 (Optical Sensor of Coplanar Structure Study and Design for Intravenous Solution Exhaustion Alarm System)

  • 박효순;김태윤;정의성;성기웅;김명남;조진호
    • 센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118
    • /
    • 2015
  • Intravenous (IV) infusion set is one of the most common treatment methods applied to hospitalized patien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njection of IV solution in order to prevent patients from any possible medical injuries. In this paper, using the optical sensors to detect exhaustion of IV solution was proposed. The optical sensor is coplanar structure composed of LED and photodiode which is installed according to focal distance of the lens. These two elements detect exhaustion of IV solution at the desired point conveniently. Through the results of experiments using various wavelength of LED (R.G.B), the blue LED was selected to the optimum light source. The suggested optical sensor can detect exhaustion of IV solution by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light which is caused by properties such as total reflection, refractive index and scattering. From the implementation, the detector is applicable to both containers of IV solution, glass bottle and plastic pack. And also the result shows apparent differences according to existence of IV solution even if the IV solution color and illumination were chan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