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activities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23초

여가에 대한 생애주기 관점과 여가생활주기 단계별 모형 개발 (Proposal on the Leisure life Cycle Model by Approaching life Cycle of Leisure Activity)

  • 윤소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4호
    • /
    • pp.103-115
    • /
    • 2010
  • This study approached the leisure with the step of life cycle, analyzing the process of leisure career and leisure development in individual life. The leisure life cycle leads the other related studies by examining the concepts of continuity, change, leisure socialization, and leisure career. It also analyzes the patterns and the structures of the use of life time, using '2004 Time Use Survey' from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new 3 steps of leisure life cycle: participating and expanding stages, selective and concentrating stage, and continuing and absorbed stage. These steps set up the goal of leisure program by the periods. They also can help setting the direc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make up the leisure activity program models step by step. Moreover, the development of model can be used as valuable information to draw up the plans that can prepare for aging society and demand the support of policy.

코로나 블루와 여가 활동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Corona Blue and Leisure Activities : Focusing on Korean Case)

  • 사혜지;이원상;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09-121
    • /
    • 2021
  •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코로나19와 우울감(blue)이 합쳐진 코로나 블루(Corona Blue)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과 후의 스트레스와 여가활동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스트레스에 따른 여가활동의 도움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방법을 통한 코로나 블루 뉴스기사 분석과 설문조사의 2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첫째, 코로나19가 "경계"단계로 격상된 2020년 1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까지 강화된 9월까지의 신문 기사를 토대로 총363건의 뉴스 기사를 토픽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28개의 토픽이 추출되었으며, 비슷한 주제끼리 멘탈데믹(mentaldemic), 세대확산, 우울증 가속 원인, 피로감 증가, 장기전에 대처하는 자세, 소비변화, 우울 극복을 위한 노력 총 7개로 그룹화하였다. 둘째,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코로나19 전, 후 여가활동에 따른 스트레스 변화수준과 여가활동에 따른 주된 도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전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 평균 차이가 코로나19 후 보다 큰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코로나19 후에도 여가활동은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19전 여가활동에 따른 주된 도움이 신체적, 사회적 활동을 통한 기분전환, 재충전의 의미였다면, 코로나19 후에는 자연, 야외 활동, 지적 활동을 통한 기분전환, 잠깐 잊음과 같은 심리적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 블루 현황 파악과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가 대처를 통해 완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한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여가 정책 및 대응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봉수군의 주거에 관한 연구 - 경상도 지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welling of Signal-fire Military in Chosun Dynasty - Based on the Gyungsang Province -)

  • 이철영;윤재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11-120
    • /
    • 2005
  • To design common facilities that support residents' leisure activities is one of the comtemporary issues in Korea. People became interested in the leisure facilities in near-home environments. This trend encouraged this research stud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eisure facilities in apartment communitie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leisure facilities, and to suggest design considerations for Korean multi-family housing communities. Subject communities are located in the five metropolitan areas in the United States. The 460 apartment communities were randomly selected after a thorough review of a website for apartment finders. Among them, the 126 communiti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s: (1) A total of 30 facilities were identified as the creational facilities in apartment properties. (2) Some leisure facilities were correlated with the other facilities, based on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3) In addition to the facilities, some apartment communities provide leisure programs for their resi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chitectural interventions and maintenance services as well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lead diverse leisure activities for residents.

치유관광객의 여가활동 특성, 스트레스, 삶의 질의 관계 - 농촌 치유관광 관여도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Healing Tourists -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on Rural Healing Tourism -)

  • 김경희;민재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3호
    • /
    • pp.143-153
    • /
    • 2022
  •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an individual's stress management as well as quality of lif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healing tourists,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on rural healing touris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658 cases who experienced rural healing touris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activities, the conflict between work and leis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stress, and that stress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activities,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volvement on rural healing tourism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for work-life balance and leisure, suggesting that daily recovery through rural healing tourism has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stress management as well as quality of life.

기혼여성의 여가활동참여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isure Participation and Its Variables of Married Women)

  • 이정숙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6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barriers on leisur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nd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leisure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22 married women and interviewed with a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 for th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Crdnbach's $\alph$$\alpha$ , and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core of self-developmental motivation, time and expenses barriers,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other variables. Married women frequently participate in time spending activities. 2. Frequencies of leisure participation diffe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barriers. 3. The score of relative contribution of leisure barriers on leisure participa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other variables.

  • PDF

Associations Between Activities Outside Work and Presenteeism Among Korean Wage Workers: An Analysis Using a Nationwide Survey

  • Jung, Sung Won;Lee, June-Hee;Lee, Kyung-Ja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2권5호
    • /
    • pp.292-298
    • /
    • 2019
  • Objectives: Presenteeism is currently recognized as a significant global health issue that can potentially cause productivity losses. Hence, many studies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factors and presenteeism. However, few studies have considered non-occupational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presenteeism and activities outside work, including volunteering, self-development, leisure/sports, and gardening and house repair activities, in Korean wage worker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in which a total of 19 294 wage workers participat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presenteeism and activities outside work,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fter adjusting for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Results: Self-development and leisure/sports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dds ratio (OR) of presenteeism (OR, 1.166; 95% confidence interval [CI], 1.061 to 1.282 and OR, 1.276; 95% CI, 1.181 to 1.379, respectively). Conclusions: Certain activities outside work, such as self-development or leisure/sports, were related to presenteeism among Korean wage workers.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the positive effects of those activities on health, this study documented negative effects of these activities outside work on health.

건강지향적 여가활동으로서 힐링(Healing)호흡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Breathing Method of Healing as a Health-Oriented Leisure Activity)

  • 김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40-14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호흡의 치유적 기제가 현대인의 심신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건강지향적 여가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문헌고찰해 보고자하였다. 이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여가는 다양한 분야에서 양적 증가를 나타내고 있는데 현대인들의 건강한 삶의 가치에 대한 높은 관심은 건강지향적 여가활동의 기회제공을 확대하고 건강관리 실천의 실효성을 뒷받침하게 될 것이다. 둘째, 개인이 힐링의 치유 과정을 거쳐 삶에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해 나간다면 사회적 관계에서 요구되는 '전인적 힐링' 패러다임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힐링(Healing) 호흡'의 인지적 호흡 활동의 유도는 몸과 마음의 치유적 효과를 더욱 높이고자 하는 건강 증진의 목적을 둔 여가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힐링(Healing) 호흡법을 통한 현대인들의 건강지향적 여가활동의 실천은 인간 생명의 본질적 가치를 높이고 전인적(全人的) 사회화의 의미를 구현할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여가활동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 여가참가경력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 impact of their leisure experience on job-seeking Stress)

  • 서수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501-507
    • /
    • 2020
  • 본 연구는 여가활동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 여가참가경력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019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C시의 대학생 총 264명을 대상으로 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보다 여성이 학업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2학년, 3학년보다 1학년, 4학년이 성격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계열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계열보다 자연계열 학생이 성격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연계열보다 인문계열 학생이 가족환경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용돈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40만원~50만원을 받는 학생과 50만원이상을 받는 학생보다 10만원이하, 10만원~20만원을 받는 학생이 가족환경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활동 참가경력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여가활동 참가경력이 많을수록 전반적으로 취업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은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 다양한 여가활동을 통해 자기조절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대도시와 중소도시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여가활동 실태 비교 -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Leisure Activities of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Large Cities and Medium and Small Cities - Focusing on the Influence on Health Status -)

  • 김윤환;한효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9권1호
    • /
    • pp.50-58
    • /
    • 2024
  • 본 연구는 2021년 기준 고등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된 2018년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1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대도시와 중소도시별 고등학교 1학년생의 여가활동 시간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여가활동에 관해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관계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도시규모에 따른 여가활동 시간이 다르고,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한 연구도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을 가진다. 건강상태의 영향 요인은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평일과 주말 모두 운동 및 신체활동은 정(+), 스마트폰을 가지고 노는 시간은 부(-)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도시규모별로 구분해서 살펴볼 때는 대도시에서는 평일과 주말 모두 이외에 친구들과 노는 시간은 정(+), 중소도시에서는 평일과 주말 모두 TV를 시청하며 노는 시간이 정(+)의 영향으로 나타나 도시규모별로 차이가 있는 요인도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규모에 따라 평일과 주말의 여가시간 건강상태 영향 요인은 동일한 문항도 있었지만, 다른 문항도 나타났다. 대도시의 경우 도시의 발전으로 인해 친구들과 야외에서 여가,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요인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시규모별로 건강상태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여가활동은 여가활동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관련 시설의 확대 등의 지원이 필요하고, 부(-)의 영향이 미치는 여가활동은 감소하도록 하고 다른 여가활동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