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ft main coronary artery disease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1초

좌주간지 병변에 대한 약물방출스텐트시술과 관상동맥우회수술의 1년 추적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One-year Follow-up Results after Coronary Bypass Surgery versus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ith Drug-eluting Stents in Patients with Left Main Coronary Artery Disease)

  • 최진호;임청;박계현;정의석;정우영;채인호;최동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10-215
    • /
    • 2008
  • 배경: 약물방출스텐트에 의한 재협착감소효과와 병행약물치료의 발달은 좌주간지병변에 대한 스텐트 시술의 증가를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는 좌주간지병변에 대한 관상동맥우회수술과 약물방출스텐트 시술의 1년 임상성적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좌주간지병변으로 관상동맥우회수술이나 약물방출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를 우회수술군과 스텐트군으로 나누어 이들 군의 수술 전 관상동맥질환 및 중증도, 입원기간, 원내 사망, 1년간 누적 사망 및 심근경색발생, 재관류술 시행비율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결과: 101명의 관상동맥우회수술을 받은 환자(수술군)와 78명의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스텐트군)가 분석대상이었다. 양군 환자의 연령, 성별, 위험인자, 좌심실 구혈률, 급성관 상동맥증후군의 비율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수술 군의 Euroscore가 $26.0{\pm}20.4$로 스텐트 군에 비해 높아 더 위험군이었으며(vs $6.38{\pm}10.31$, p<0.001), 긴급성도 37.6%로 더 많았으며(vs 10.3%, p<0.001) 입원기간도 16.1일로서 더 길었다(vs 7.9일, p=0.001). 좌주간지 이외 다혈관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수술군이 많았다(92.1% vs 37.2%, p<0.001). 원내 사망률과 1년 누적사망율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3.0% vs 2.6%; 5.2% vs 6.6%, p=0.73). Euroscore로 matching한 41명의 수술환자와 78명의 스텐트환자를 선별하여 분석하였을 때 Euroscore (9.1 vs 6.4, p=0.104) 연령, 성별, 위험인자,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의 비율의 차이는 없었다. Euroscore matched 분석에서 수술군에서 다혈관질환이 많았으며(87.8% vs 37.2%, p<0.001) 입원기간도 더 길었다(13.3일 vs 7.9일, p=0.02). 원내사망률과 1년 누적사망율은 수술군이 우수한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0% vs 2.6%, p=0.55; 0% vs 6.6%, p=0.30). Euroscore matched 분석에서 1년 재관류술 비율은 스텐트군과 수술군에서 각각 13.3%와 6.3% (p=0.48), 사망 혹은 심근경색증 발생비율은 10.0%와 0% (p=0.09)였다. 결론: 저위험군 환자의 화주간지병변에 대한 약물방출스텐트 시술은 수술에 비해 입원기간 단축의 효과는 있지만, 추적관찰기간동안 재관류술 시행비율과 1년 누적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적 관찰이 필요하다.

좌주관상동맥 협착에 대한 수술적 혈관 성형술 (Surgical Angioplasty of the Left Main Coronary Artery Stenosis)

  • 정승혁;양지혁;김기봉;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33-437
    • /
    • 1999
  • 배경: 좌주관상동맥 협착의 외과적 치료로 일반적으로는 관상동맥 우회술이 시행되지만, 정상적인 전향적 혈행을 유지시켜준다는 장점 때문에 좌주관상동맥의 성형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1994년 7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15례에서 좌주관상동맥 병변에 대한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남자가 8명, 여자가 7명이었으며 연령은 평균 53.3$\pm$8.8 세이었다. 수술은 심낭의 비후가 있어서 복재정맥을 이용한 1례를 제외한 14례 모두에서 자가심낭편을 이용하여 협착부위를 확장하였고, 4례에서는 시야확보를 위해 폐동맥을 절단후 시행하였다. 5례에서 좌주관상동맥 성형술을 단독 시행하였고, 9례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을 병행하였고, 1례에서 좌, 우 관상동맥 개구부의 동시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사망은 없었고, 1례에서 술후 4개월째에 좌주관상동맥 성형부위의 유의한 협착으로 관상동맥 우회술을 다시 시행하였다. 재수술을 시행한 1례를 제외한 14례중 8례에서는 수술후 1년째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하였는데, 50%의 국소협착을 보인 1례를 제외한 7례에서는 우수한 개존성을 보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 23$\pm$11개월(7-43)동안 15례 모두 흉통의 재발을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좌주관상동맥 협착에 대한 혈관성형술은 향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나, 비교적 우수한 수술 및 중기 성적을 보였다.

  • PDF

가와사끼병 환아에서 발생한 거대관상동맥류 내 혈전의 성공적 용해요법과 장기 치료 및 경과 1례 (Thrombolytic Therapy and Long Term Follow-up Study in a Child with Kawasaki Disease Complicated by Giant Coronary Aneurysm with Thrombosis)

  • 문수정;이수야;나경희;박선영;김은영;김경심;김용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302-307
    • /
    • 2003
  • 환아는 3개월된 영아로 발병 10일째에 본원에 내원하여 초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지 못했으며 발병 2주에 시행한 심초음파상 거대 관상동맥류를 보였다. 이에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투여와 aspirin과 dipyridamole로 치료 중 발병 24일째 혈전증이 동반되어 urokinase와 heparin의 IV 투여를 통한 혈전용해 치료로 혈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이후 5년간 aspirin, dipyridamole, coumadin을 투여하면서 심전도와 심초음파검사를 반복하며 외래 추적 관찰 중 점차 좌측관상동맥내 혈전이 증가하고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소견과 함께 협착이 의심되었다. 발병 5년 후 시행한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상 관상동맥 좌측 전하지가 완전 폐색되고 우측관상동맥으로부터 발달한 측부순환에서 혈류를 공급받고 있었고, 핵의학 검사상 좌심실의 전벽과 중격, 일부 외벽에 완전 가역적 관류 결손을 보였던 가와사끼병 환아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관동맥 우회술의 수술성적-수술전 처치 및 수술수기의 영향에 관한 연구 (Surgical Resul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The Effect of Pre and Intraoperative Procedures)

  • 김영태;홍종면;채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2호
    • /
    • pp.141-147
    • /
    • 1993
  • A total of 40 patients having a diagnosis of atherosclerotic coronary arterial disease were analysed on the operative outcomes according to variables as follows: 1) preoperative risk factors such as age, sex, CCS (Canadian Cardiovascular Society) functional class, type of angina, number of diseased vessel, presence of left main coronary artery stenosis, previous history of habitual smoking and presence of other medical diseases (diabetes mellitus, essential hypertension), 2) preoperative management such as intravenous infusion of nitroglycerine, preoperative IABP (intra-aortic balloon pump) support and whether the operation was scheduled as emergency or not, 3) intraoperative variables such as infusion method and composition of cardioplegic solutions, number of distal anastomosis, use of internal mammary artery, total cardiopulmonary bypass time and total cross clamp time. Complications included operative death in 12.5%,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in 25.0% and perioperative arrhythmia in 17.5%. Nineteen perioperative variables were analyz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these end points. For operative death, presence of left main coronary artery stenosis (p = 0.056) and cardiopulmonary bypass time (p = 0.029) were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analysis, but presence of left main coronary artery lesion (p = 0.011, $\chi$$^2$= 6.45) and abscence of preoperative of IABP support (p = 0.069, $\chi$$^2$ = 3.30) were independent predictor in multivariate analysis (stepwise linear logistic regression).

  • PDF

생후 3개월에서 7세 미만 정상 소아에서의 관상동맥 직경 (Coronary artery diameter of normal children aged 3 months to 6 years)

  • 유정진;조숙경;박용민;이란;정소정;배선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6호
    • /
    • pp.629-633
    • /
    • 2008
  • 목 적 : 가와사끼병에 따른 관상동맥 직경 증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좌주간부 관상동맥(LCA, left main coronary artery), 좌전하행 관상동맥(LAD, left anterior desending coronary artery), 우 관상동맥(RCA, right coronary artery) 각각의 정상 직경에 대한 자료가 아직 국내에 발표되지 않아, 이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가 계획되었다. 방 법 : 2005년 3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건국대학교 병원을 방문하여 심초음파 검사를 받았으나, 특별한 심질환 소견을 보이지 않았던 생후 3개월에서 7세 미만 소아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초음파 검사 시행 후 저장되었던 영상 자료에서 관상동맥 크기 측정이 이루어졌으며, 체표면적 등의 몸 크기 자료를 독립 변수로 하여 단순 선형 회귀분석이 시행되었다. 결 과 : 체표면적은 LCA($R^2=0.20$, P=0.0038), LAD($R^2=0.41$, P<0.0001), 및 RCA($R^2=0.30$, P=0.0002) 모두의 직경과 의미 있는 관계를 보였다. 회귀 공식에서 y 절편은 각각 1.703, 1.058, 1.007; 회귀 계수는 각각 0.971, 1.175, 1.177; 표준편차는 각각 0.315, 0.221, 0.282 로 추정되었다. 결 론 : 개별 관상동맥 직경과 체표면적과의 의미 있는 관계가 확인되었고, 선형 회귀 공식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개별 관상동맥 직경의 Z-score 산출을 국내 자료로서 가능하도록 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관동맥 협착증의 외과적 치료 (A Surgical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A Report of 41 Cases])

  • 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2호
    • /
    • pp.220-231
    • /
    • 1985
  • In selected patients with occlusive lesions of coronary arteries, aortocoronary bypass grafting has been effective in reducing anginal symptoms and in increasing the patients` longevity. Between May, 1977, and December, 1983, 41 patients with coronary occlusive disease received aortocoronary bypass surgery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Seoul. Thirty-three were male and 8 were female. Their ages ranged from 33 to 70 years [average 531.6 years]. Of the 41 patients, 11 suffered from stable angina, 30 suffered from unstable angina and 4 suffered from a variant type of angina. Eleven patients had 1 diseased vessel, 11 patients had 2 diseased vessels, 19 patients had 3 diseased vessels, and 5 patients had a diseased left main coronary artery. A single graft was placed in 5 patients, a double graft was placed in 17 patients, a triple graft was placed in 11 patients and a quadruple graft was placed in 8 patients. Nineteen patients received a sequential graft [40 sites of 20 vessels]. The average internal diameter of the grafted distal coronary artery was 2.380.15, 1.630.13 mm on the left side and 3.200.20, 1.830.21 mm on the right side. Two operative deaths occurred in the early years of our experience. The mortality rate was 4.87% and there were no late deaths. Of the 39 survivors, 30 [76.9%] were Functional Class I [free of symptoms without medication], 7 [17.9%] were Functional Class II and only 2[5.2%] were Functional Class III during the follow up period [653.75 patient-months]. On the basis of this experience, we conclude that 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is occurring in increasing numbers in Korea. Therefore, a concerted effort is needed to detect this disease and to manage the increasing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it.

  • PDF

좌주관상동맥및 좌전하챙지기시부의 수술적 혈관 성형술 (Surgical Angioplasty of Left Main and 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 이원용;김응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861-866
    • /
    • 1996
  • 좌주관상동맥및 좌전하챙지기시부의 협착이 있는 환자에서 수술적 혈관성형술을시행하면 기존의 관 상동맥우회술에 비해 혈류방향이 전향적이 되어 심근으로의 산소공급에 도움을 주며, 향후 원위관상동맥협착이 생길 경우 경피적혈관성 형술이 시행 가능하고, 이식 편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이 차로 관상동맥우 회술 시행 시용이 하다.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4년 7월부터 1995년 12월가지 55례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고, 이중 7례의 좌주관상퐁맥 협착환자에서 좌주관상동맥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좌주관상동 맥의 협착의 정도는 60-95%였고, 동반병변으로는 좌전하행지기시부 협착이 2례, 우관상동맥협착이 1 례, 둔각지 협 착이 1례 였다. 수술은 환자자신의 심낭 또는 우심낭을 이용하여, 좌주관상동맥 절개부위를 확장하였고, 좌전하행 지 기시부 협착이 동반된 2례에선 절개선을 좌전하행지의 협착원위부가지 연장하여 좌전하행지기시부도 함께 확장하였다 우관상동맥협착이 동반된 1례에선 우측내유동맥으로 관상동맥 우회 술을 같이 시행하였다. 수술후 심근경색과 조기사망은 없었고, 1례에서 심전도상 57-T파의 이상소견이 猾暳퓸\ulcorner추가로 좌 전하행지와 둔각지에 관상동맥 우회 술을 시행하였다. 퇴원전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상 7례에서 확장된 좌주관상동맥이 관찰되었고, 2례에서 경미한 봉합부협착이 보였으나, 흉통의 재발없이 외래추적관찰중이다. 이상에서, 좌주관상동맥협착 환자중 원위관상동맥에 이상이 없는 경우수술적 혈관성형술로 직접 확장하는것이 기존의 관상동맥 우회술의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

관상동맥 우회술 32례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Analysis of 32 Cas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1호
    • /
    • pp.1369-1375
    • /
    • 1992
  • During a 17-month period 32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The mean age of these patients was 45.3 years [range 39 to 71 years]. There were 18 men and 14 women. Preoperatively 11 patients had stable angina pectoris and 12 patients of unstable angina pectoris. 28% [9 patients] had of myocardial infarction history. The patterns of disease were single vessel involvement [4 casis], double vessel involvement [11 cases], triple vessel involvement [12 caese] and 5 cases of left main coronary artery disease. Thirty-seven percent [12/32] were in 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 IV.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was performed under emergency conditions in 3 patients. We performed 13 case of double anastomosis, 12 case of triple anastomosis and 4 case of 4 anstomosis [mean 2.59 anastomosis per patient]. The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was used in 68.7%. 90% of the patients receieved two or more grafts. Complications occurred in 8 patients [25%].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ean of 8.6 months [2 to 17 months]. There was no hospital and late death. Postoperatively 87% were in 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 I or II and 96% of the patient were free from angina.

  • PDF

관상동맥협측증의 외과적 요법 (Aortocoronary bypass surgery in the manage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 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9권4호
    • /
    • pp.606-617
    • /
    • 1986
  •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1981 through June 1986, 18 cases of coronary arterial bypass graft were performed at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y consisted of 13 males and 5 females with the mean age of 49 [range: 28-69 years]. History of myocardial infarction was noted in 50% of the patients and cardiomegaly on chest PA in 2 patients with preserved LV function. On resting EKG, except the evidences of old myocardial infarction, the findings of LVH were noted in 7 case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2, diffuse myocardial ischemia in 1, and significant ventricular arrhythmia in 2 cases. The angina by type of presentation is stable in 3 patients, unstable in 15 patients with resting, postinfarction and progressive angina as the criteria of unstability. The patterns of involvement of significant disease were single vessel involvement [5 cases] double vessel involvement [8 cases], and triple vessel involvement [5 cases] including 5 cases of left main coronary arterial diseases. The pattern of coronary arterial disease in individual patient was one or more stenosis of the proximal left coronary arterial system with or without right coronary involvement, in every case. We performed 9 cases of double bypass and 9 cases of triple bypass with great saphenous vein using single anastomosis technique except in 4 cases, One of the 4 cases is our first case, sequential anastomosis between LAD and diagonal was performed due to shortage of the prepared vein graft. In the other 3 cases, our latest experience, we adopted the left internal mammary artery for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revascularization. The distribution of sites of distal anastomosis revealed more striking predilection to LAD, showing our atten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revascularization of LAD system. The ischemic time was 35 minutes per graft and mean number of grafts per patient was 2.5. Of the 18 patients, 13 [77.2%] had complete revascularization, and incomplete in 5 cases with the causes of incompleteness as presented. The early results of operation were as followed: surgical death in 2 [11%], perioperative infarction 2 [11%], need of inotropic support 5 [28%], arrhythmia 2 [11%], wound problem, bleeding, and emotional dysfunction. The actuarial anginal free survival during the period of 6 months through 2 years was 85.2% with excellent symptomatic control according to the angina classification of Canadian Cardiovascular Socie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