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ft heart ventricle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18초

감염성 심내막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Infective Endocarditis)

  • 김혁;김영학;정원상;신경욱;김지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19-626
    • /
    • 2010
  • 배경: 감염성 심내막염의 수술 적응증 및 시기 등은 논란의 대상이다. 저자들은 본 교실에서 최근 10년간 연속적으로 수술받은 감염성 성내막염 환자들에 대한 수술 결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수술 적응증 및 시기 등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연속적으로 수술한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 23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단은 modified Duke criteria에 준하였고 남녀 비율 2.8:1, 평균연령 $46.78{\pm}16.19$ (24~76)세, NYHA 기능 분류상 class I 1예(4.3%), class II 4예 (17.4%), class III 10예(43.5%), class IV 8예(34.8%)였다. 수술 전 혈액내 균 배양 검사에서 8예 (34.8%)가 원인균이 동정되었고 수술 전 평균 항생제 사용기간은 $20.78{\pm}16.00$ (1~56)일이었다. ACC/AHA 심장판막질환 지침중 감염성 심내막염의 수술 적응증에 근거하여 수술을 진행하였으며 12예(52.2%)에서 긴급 수술이 필요하였다. 23명의 환자 모두 외래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평균 외래 추적 관찰 기간은 $49.26{\pm}33.21$ (11~128)개월이었다. 결과: 수술 소견상 우종은 20예에서 발견되었고 대동맥판막 치환술 9예, 승모판막 치환술 8예, 승모판막 성형술 1예, 대동맥판막 치환술과 승모판막 치환술을 함께 시행한 3예가 있었다. 승모판막 성형술 l예를 제외한 20예의 판막치환술 환자 중 19예에서 기계판막을 사용하였다. 감염된 점액종의 제거술이 1예, 감염된 심박동기 lead의 제거술 및 감염조직 절제술이 1예였다. 수술 후 평균 항생제 투여 기간은 $24.39{\pm}15.98$ (l2~85) 일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출혈로 재수술한 2예, 심낭막절개술 후 증후군으로 배액술이 필요했던 l예, 수술장에서 발생한 저심박출증 l예, 수술 후 일과성 뇌 허혈증이 있었던 l예 등이었다. 수술 전후로 비교한 NYHA 기능분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있었고(p<0.001) 평균 좌심실 구현률은 유의하지 않았으며(p=0.468) 좌심실 이완기말/수축기말 크기, 좌심방 크기는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p<0.05). 결론: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에서 적절한 수술 적응증을 적용하여 조기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는 적시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혈류역학적으로 안정된 경우는 충분한 항생제 투여로 전신성 염증의 소설을 유도한 후 수술을 시행하여 전 예에서 수술 사망이나 감염의 재발없이 좋은 단중기 수술 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환자에서 승모판막 수술의 유용성 (Efficacy of Mitral Valve Surgery in Moderate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MR))

  • 정성호;이재원;최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357-365
    • /
    • 2005
  • 배경: 관상동맥 질환에 동반된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을 가진 환자들은 장기 생존율이 좋지 않다. 게다가 중등도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에 대한 치료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 환자에서 관상동맥 우회술만을 시행한 군과 승모판막 수술을 함께 시행한 군을 비교하여 승모판막 수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으로 진단받은 34명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우회술만을 시행한 군을 I군(n=23), 승모판막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군을 II군(n=11)으로 하였다. 각 군의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69.3\pm4.3$개월과 $53.1\pm4.9$개월이었다. 결과: 양 군에서 수술 사망은 없었고, 만기 사망은 I군에서 1명 있었다. II군에서 모든 환자들은 고리(Ring)를 이용한 승모판륜 성형술을 시행받았다. 수술 직후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정도는 II군에서 더 만이 감소하였고, 마지막 추적 관찰한 심초음파 검사 상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인자들은 양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 군의 5년 생존율 또한 차이가 없었다($95.5\%\;vs\;100\%$, p=0.48). 결론: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을 가진 선택된 환자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술만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수술 전 심박출계수가 낮거나 NYHA class가 낮은 환자들에서는 수술 후 승모판막 폐쇄부전이 지속적으로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에서는 승모판막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또한, 승모판막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에서 좌심실용적과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정도가 많이 감소하였는데 심실기능과 장기 생존율에 대한 이러한 인자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가토(家兎)에서 Nicotine, DMPP, McN-A-343, AHR-602, Tyramine, Angiotensin, Neostigmine이 심박증가(心博增加)를 일으키는 작용점(作用點)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ite of Cardioaccelerating Action of Nicotine, DMPP, McN-A-343, AHR-602, Tyramine, Angiotensin and Neostigmine in Rabbits)

  • 박평순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9-40
    • /
    • 1975
  • 1. 척수가토(脊髓家兎)에서 nicotine, DMPP, McN-A-343, AHR-602, tyramine, angiotensin및 neostigmine에 의한 심박증가(心搏增加)의 작용점(作用點)을 조사(調査)하였다. 2. 상기약물(上記藥物)에 의한 심박증가(心搏增加)는 reserpine 처리가토(處理家兎)에서는 대단히 약(弱)하였고, Propranolol 투여후(投與後)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3. Tetrodotoxin, guanethidine은 isoproterenol, nicotine, DMPP, tyramine에 의한 심박증가(心搏增加)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으나 McN-A-343, AHR-602, angiotensin, neostigmine에 의한 심박증가(心搏增加)는 이를 현저(顯著)히 약화(弱化)시켰다. 4. Nicotine, DMPP의 심박증가(心搏增加)는 chlorisondamine으로 McN-A-343, AHR-602의 심박증가(心搏增加)는 atropine으로 각각(各各) 억제(抑制)되었다. 5. Isoproterenol, nicotine, DMPP, McN-A-343, tyramine, angiotensin, neostigmine은 적당량(適當量)을 우심방내(右心房內)에 주입(注入)하였을때 이들을 이정맥내(耳靜脈內)에 주사(注射)하였을 때와 비슷한 반응(反應)을 일으킬 수 있었다. 그러나 AHR-602 우심방내(右心房內) 주입(注入)은 유의(有意)한 심박증가(心搏增加)를 일으키지 않았다. 6. Nicotine, DMPP, neostigmine은 우심방내(右心房內) 주입시(注入時)는 현저(顯著)한 심박증가(心搏增加)를 일으켰으나, 동량(同量)을 우심실내(左心室內)에 주입(注入)하였을때는 증가(增加)를 일으키기 않았다. Isoprotereool 및 tyramine에 대한 반응(反應)은 우심실내(右心室內) 주입(注入)보다도 우심방내(右心房內) 주입시(注入時) 훨씬 컸다. 7. McN-A-343, angiotensin의 우심실내(右心室內) 주입시(注入時)는 우심방내(右心房內) 주입시(注入時)보다도 훨씬 현저(顯著)한 심박증가(心搏增加)를 일으켰고, AHR-602의 우심실내(左心室內) 주입(注入)도 현저(顯著)한 반응(反應)을 일으켰다. 8. Nicotine, DMPP, tyramine은 심장(心臟)의 aenergic nerve의 말단(末端) 또는 extraneuronal norepinephrine-store에 작용(作用)하여, Mcn-A-343, AHR-602, angiotensin은 심장(心臟)의 adrenergic nerve에 작용(作用)하여 심박증가(心搏增加)를 일으키며, nicotine, DMPP, tyramine, neostigmine의 작용점(作用點)은 주(主)로 우심방(右心房)에 McN-A-343, AHR-602, angiotenisin의 작용점(作用點)은 주(主)로 우심실(右心室)에 존재(存在)하는것으로 추론(推論)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