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aves of green tea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8초

세물차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완효성비료 시비효과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Yield and Quality of Third-Harvest Tea Leaves)

  • 박장현;최형국;김정근;김길룡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69-273
    • /
    • 2005
  • 세물차의 수량은 관행시비구의 $313kg\;10a^{-1}$에 비해 완효성비료 N $50kg\;10a^{-1}$구의 $316kg\;10a^{-1}$를 제외한 다른 완효성 비료 시비구에서는 5.8-14.4% 감수하였다. 질소 흡수율과 이용율은 질소 시비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관행시비에 비해 N $50kg\;10a^{-1}$ 처리를 제외한 나머지 완효성비료 처리구에서는 총질소, 총아미노산, 엽록소 및 감칠맛의 주성분인 theanine 함량이 적었고, tannin, caffeine, 비타민 C 함량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형상, 향, 맛 등 제다 품질은 N $40kg\;10a^{-1}$을 제외한 나머지 완효성시비구와 관행시비구 간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수량 및 품질에서 관행시비나 완효성비료시비 상호간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지만, 완효성비료 N $50kg\;10a^{-1}$구에서 기타 처리보다 약간 양호한 경향이었다.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es of Nutraceutical Tea by Leaves and Flowers of Domestic Camellia(Camellia japonica)

  • Lee, Sook-Young;Cha, Young-Ju;Lee, Jang-Won;Hwang, Eun-Ju;Kwon, Su-Jung;Cho, Su-I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 /
    • pp.48-49
    • /
    • 2003
  • This project was conducted to development several camellia tea mixed herb teas having any physiological effects. Leaves of tea tree contain many compounds, such as polysaccharides, volatile oils, vitamins, minerals, purines, alkaloids(eg. caffeine) and polyphenols(catechins and flavonoids). Although all three tea types(green, oolonr and black) have antibacterial and free radical capturing(antioxidizing) activities, the efficacy decreases substantially the darker the variety of tea is. This is due to lower contents of anti-oxidizing polyphenols remaining in the leaves. Unlike tea tree(Camellia sinensis), the biochemical features and effects of camellia(Camellia japonica) are not well known. Fresh mature leaf of sasanqua camellia(C. sasanqua), roasted young leaf tea(C. japonica) and fresh mature leaf and bark of camellia ha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 vulgaris and B. subtilis. In antifungal activity bioassay, young leaf roasted teas of camellia and sasanqua camellia had high activity against C. albicans and T. beigelil. Plant extracts from Camelia japonica had highe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fungi than against bacteria. In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acute myelogenous leukaemia cell extracts including fresh leaf(200$\mu\textrm{g}$/m1), bark(230$\mu\textrm{g}$/ml) and flower tea (320$\mu\textrm{g}$/m1)inhibited growth of AML cells.(중략)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Fermented with Monascus pilosus

  • Lee, Ye-Kyung;Lee, Sang-Il;Kim, Jeong-Sook;Yang, Seung-Hwan;Lee, In-Ae;Kim, Soon-Dong;Suh, Joo-W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1호
    • /
    • pp.19-25
    • /
    • 2012
  • Green tea leaves were fermented for 15 and 30 days with Monascus pilosus which is known to produce functional statins (TMs), and the content of various biochemical constituents such as total polyphenol (TP), total flavonoid (TF), theaflavin, and thearubigin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at of non-fermented green tea (GT) and Pu-erh Chinese post-fermented tea (PU). In addition to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ferric iron reducing power (FIRP), xanthine oxidase (XO) inhibitory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iron chelating activity (ICA) and hydrogen peroxide contents were also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at of GT and PU. Content of TP and TF in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in TMs were lower than those in GT and PU. Theaflavin and thearubigin conten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in TMs were higher than those of GT. And, these components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period of fermentation. While, EDA and FIRP of TMs were lower than those of GT, XO inhibitory activity of TMs was higher than non-fermented tea. While, ICA of TMs was slightly higher than GT and PU, the content of hydrogen peroxide in TMs was markedly lower than GT.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green tea fermented by M. pilosus was valuable for oxidative stress-induced diseases by decreasing hydrogen peroxide, and forming theaflavins and thearubigins with functionality of genus Monascus.

한국산 녹차의 품종 및 가공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reen Teas by Varieties and Processing Methods)

  • 신애자;천석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52
    • /
    • 1988
  • 녹차의 품종, 채엽시기, 가공방법별에 따라 13종류의 한국산 녹차시료를 조제하고 이들 시료의 이화학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활, 회분, 가용성 고형분 및 조지방 함량은 대체적으로 품종, 차엽의 채취시기 및 가공방법의 상위에 따른 큰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조단백질의 경우에서는 삽목 Yabukida 품종 1번 차의 볶음과 찐 것에서 각각 30.8%, 31.3%이던 것이 2, 3번차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여 4번차의 경우에서는 각각 18.8%, 16.0% 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품종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품종별에 따른 변화도 크게 나타났다. 조섬유에서는 채엽시기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표면색도는 볶음 차보다 찐 차가 보다 밝은 녹황색을 띄며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밝은 황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클로로필함량은 찐 차의 경우가 볶은 차보다 높았고, 채엽시기에 따라 감소의 경향을 보였으나 삽목 Yabukida 4번 차의 경우에서는 증가하였다. 3. 탄닌의 함량은 볶음의 경우 채엽시기가 늦을수륵 증가하였지만 찐 차의 경우 그런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theaflavin과 thearubigin 함량은 평균하여 각각 0.07% 및 2.27%이었고 산화중합물비는 평균 0.22이었다. 4. Methylxanthine류에서는 caffeine이 주성분으로 94∼98%를 차지하였으며 볶음차의 caffeine 함량이 높았다. 베니호마래의 caffeine 함량은 다른 품종보다 낮았다. 5. 녹차의 환원당은 0.1%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유리당의 경우 삽목 Yabukida가 다른 품종에 비해서 sucrose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6. 녹차중의 유기산은 succinic, malic, shikimic, citric, quinic, gallic, oxalic 및 malonic acid의 8종류이었으며 이중 quin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삽목 Yabukida 품종에서는 채엽시기가 빠른 녹차에서는 malic acid 함량이 매우 낮은 반면 oxalic acid는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여 미량으로 검지되었다.

  • PDF

녹차의 잔류농약과 카테친 함량에 미치는 오존수 처리 효과 (Effects of Ozonated Water Treatment on Pesticide Residues and Catechin Content in Green Tea Leaves)

  • 정경희;서일원;남혜정;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5-270
    • /
    • 2008
  • 약 45-50 ppm의 농약 함량인 녹차 잎을 일반 수돗물과 용존 오존농도 0.25 ppm인 오존수 수침 또는 주수하여 잔류농약의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일반 수돗물의 수침방법에서 잔류 농약의 분해율은 24-30%였고 오존수에 의한 수침에서는 분해율은 52-71%였다. 전체적으로 수침에 의한 잔류농약 분해율은 일반 수돗물보다 오존수에 의한 농약 분해율이 2배 이상으로 높은 효율을 보였다. 주수에서 일반 수돗물에 의한 잔류농약 분해율은 26-34%였고, 오존수에 의한 방법에서는 66%-84%였다. 수침과 공통적으로 carbendazim의 분해율이 가장 낮았다. 주수에 의한 잔류농약 분해율은 오존수가 수침과 마찬가지로 일반 수돗물보다 오존수에 의한 농약 분해능이 2배 이상이었다. HPLC를 이용한 녹차잎의 카테킨 함량 조사에서, 오존수로 침지하였을 경우 EGC가 가장 높은 catechin 감소율(약 60 ppm)을 보였으며 EC, EGCG, ECG는 28-51 ppm(0.9-3.5%)였다. 오존수로 수침시킨 녹차 잎의 카테킨 함량은 일반 수돗물로 침지한 결과보다 catechin 성분들의 감소율이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세 방법의 측면에서 볼 때 오존수로 주수한 경우(평균 2.7%)가 침지한 경우(평균 3.2%)보다 catechin 성분들의 감소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오존수의 산화작용에 의한 각 잔류 농약 분해율은 50% 이상인 것에 비해 카테킨의 감소량은 5% 이하였다. 세수방식에 의한 결과에서 수침의 방식보다 주수가 더 많은 잔류 농약을 제거하였고, 손실된 카테킨 함량 또한 적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오존수를 이용한 주수는 잔류 농약 분해에 효율적이고, 기능성 성분의 감소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영양과 안전면에서 오존수를 이용한 세수가 녹차 잎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뽕나무 유전자원의 항산화능 비교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genetic resources)

  • 김현복;석영식;서상덕;성규병;김성국;조유영;권해용;이광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71-77
    • /
    • 2015
  •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activity of the natural antioxidants present in fruits and vegetables, because potentially these components may reduce the level of oxidative stress. Especially, mulberry leaves containing many natural components are considerable re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leaves was investigated with minilum L-100 device and ARAW-KIT (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 in comparison to the ascorbic aci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16 varieties was 3303.4 nmol at opening stage of five leaves in spring. The highest stage of antioxidant capacity (3708.0 nmol) and yield rate was just before the coloration stage with anthocyanin in fruits, whereas the lowest stage was middle of June (2231.6 nmol) and about two months growing stage after summer pruning (2064.6 nmol). But after summer pruning, the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leaves increased gradually until just before fallen leaves stage. Even if samples were same variety, antioxidant effect of those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collected regions. Also, antioxidant effect of mulberry leaves were higher than that of branche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yield-type mulberry leaves and fruits (Morus alba L., M. bombycis Koidz, and M. Lhou (Ser.) Koidz) collected from In-je, Won-ju and Yang-yang regions, Kang-won province, Kore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yield-type mulberry leaves was 2711.2 nmol. In the antioxidant capacity analysis of Jeollabuk-Do genetic resources, autumn's mulberry leaves showed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hat of spring's i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 on antioxidative capacity, five kinds of tea(coffee mix, green tea added brown rice, mulberry leaf tea, Polygonatum odoratum tea and black tea added lem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ir's anti-oxidative capacity were 2,531.01 nmol, 1,867.42 nmol, 1,053.72 nmol, 292.71 nmol and 188.91 nmol,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drinking water soaked with mulberry leaf showed 891.96 nmol.

덖음차 제조공정 중 첫 덖음시간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Quality of Pan-Fired Green Tea by 1st Pan-Firing Time)

  • 박장현;한재석;최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1-106
    • /
    • 1999
  • 덖음차 제조공정중 첫 덖음시간에 따른 최적 제다조건을 구명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엽시 엽수는 4매, 엽장 및 엽폭은 $6.4cm\;{\times}\;2.4cm$, 백아중(白芽重)은 40.2g이었다. 첫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여 6분 덖음시 6.0%에서 14분 덖음시 4.6%로 되었고, 제품수율은 10분에서 20.12%로 가장 높았다. 덖음시간에 따라 전질소는 $5.14{\sim}5.41%$, 총아미노산은 $2,531{\sim}3,282mg/100g$의 변이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첫 덖음시간이 10분일 때 가장 함량이 높았던 반면, 탄닌은 $13.22{\sim}13.86%$로 10분 처리에서 함량이 가장 낮았다. 카페인 $1.64{\sim}2.01%$로 첫덖음시간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엽록소($319.1{\sim}380.3mg/100g$)와 비타민 C ($158.9{\sim}208.8mg/100g$)는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6종의 유리아미노산 및 질소화합물 분석 결과 총 함량은 $2,447{\sim}3,192mg/100g$이었으며 10분 첫 덖음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들 중에서 theanine이 50% 이상이었고 aspartic acid, serine, glutamic acid 및 arginine을 합치면 $89.4{\sim}90.0%$였다. 차의 색깔은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황색이 증가하였고 녹색은 10분 덖음에서 가장 진한 색을 나타냈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도 10분 덖음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첫 덖음 시간의 경우 10분이 적당하리라 생각된다.

  • PDF

찻잎의 수확시기, 돈차의 숙성기간 및 추출온도가 돈차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ing Time, Aging Period and Extracting Temperature of Wild Green Tea (Camell sinesis) Leaves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Don Tea)

  • 박용서;유현희;이미경;허북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5-371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 physiological activity of traditional wild tea ("Don tea"; coin-shaped tea) as affected by different harvesting times, aging periods and extracting temperatures, No difference in anti-oxidative activities in the harvesting time and extracting temperature of tea leaves was observed. However, short aging periods of Don tea showed high ABTS {2-2-azonobis (3-ethylbenzothiazolin-6-sulphonic acid)} activity, ranging from 71.52 to 79.96%.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on tea was 71.10 to 91.40%. Especially, longer aging period and an extracting temperature of $100^{\circ}C$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longer aging periods and an extraction at $90^{\circ}C$,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on tea ranged from 74.04 to 94.92%. On the other hand, angiotensin 1-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activity of Don tea was 59.77-81.97%. It showed higher activity when harvested in June and August, aged for longer periods, and extracted at $100^{\circ}C$. These results suggested Korean traditional Don tea exhibited the highest physiological activity when aged over 8 months.

  • PDF

한국 전통 미생물발효차(청태전)의 미생물 군집분석 (The microbial diversity analysis of the Korea traditional post-fermented tea (Chungtaejeon))

  • 김병혁;장종옥;강시온;좌재호;문두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70-179
    • /
    • 2017
  • 차는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음료로 불발효차(녹차), 반발효차(우롱차), 완전발효차(홍차)와 흑차(미생물발효차 or 후발효차)를 포함하고 구분된다. 미생물발효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미생물 발효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삼국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청태전은 한국 남해안지역에서 제조되며 돈차 또는 떡차로 불리는 독창적인 한국의 미생물발효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태전에 우점하는 미생물군집구조 분석을 위해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하였다. 청태전에 우점하는 미생물은 ${\gamma}$-proteobacteria에 속하는 Pantoea sp.와 Klebsiella oxytoca가 우점하였다. 미생물 군집크기 분석을 통해 청태전의 미생물 군집크기가 다른 미생물발효차와 비교해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

"임원십육지"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전통음료의 향약성 효과에 관한 고찰 (Literature Review on the Pharmaceutical Effect of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in "Lim Won Sib Yuk Gi")

  • 신민자;최영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92
    • /
    • 1998
  • The pharmaceutical effects of non-alcoholic berverages made made in Limwonsibyukgi were studied. The type of beverage in Limwonsibyukgi were Tang(boiled herb extract), Ta(tea analog with/ without green tea), Jang(lactic acid fermented beverage), Galsoo and Suksoo. Most receipes for these beverages included boiling leaves, seeds, grains of grasses, trees and cereal, and adding honey and sugar as a sweetener, Each beverage has a pharmaceutical action : thirst elimination, enhancement of physical activity, and treatment of several dise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