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ves of green tea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8초

잎차용 다기 형태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한 잎차용 빨대 개발 (Invention of a Straw-shaped Device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Shape of a Normal Teapot)

  • 김중만;차경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0-229
    • /
    • 2010
  • 본 연구는 잎차용 3가지 형태의 기존 다기의 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한 잎차용 빨대의 효과를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존의 다기로 잎차를 우려 마실 때 잎차를 일차적으로 차 우림 용기에 넣고 데운 찻물을 부어 우린 다음 여과 과정을 거친 다음 별도의 차액의 표면적인 극적으로 증가되는 과정이 필연적이기 때문에 차액의 온도가 음용 적은 이하로 냉각되기 쉬운 문제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차액의 맛과 향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기존 다기 사용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차액의 공기와의 접촉 면적과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바닥이 평면인 원통 수직 벽면의 최 하단으로부터 5mm 높이 내에 직경이 1~2 mm인 수 개의 여과구를 단층으로 형성한 잎차용 빨대를 개발하였다. 이 잎차용 빨대는 잎차를 우린 다음 차액을 거르지 않고 우림 용기에 직접 꽂아 음용할 수 있어 기존 다기를 사용한 경우보다 차액의 온도가 높게 유지되어 따뜻한 차액을 음용할 수 있었고, 관능적 평가에서 차 향 및 입안의 느낌을 포함한 전체적인 차 맛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p<0.05).

  • PDF

Scab of Tea (Thea sinensis) Caused by Cladosporium herbarum in Korea

  • Kwon, Jin-Hyeuk;Kang, Soo-Woong;Kim, Jeong-Soo;Park, Chang-Seu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350-353
    • /
    • 2001
  • In 2001, a black scab disease was observed in tea plant (Thea sinensis) cultivated in the hillsides of Hwngaemyon and Hadong-gun, Gyeongnam province, Korea. The disease symptoms initially appeared on leaves, green twigs and stems, showing small dark brown spots on the infected areas, which gradually expanded. A fungus was isolated from diseased leaves and green twigs. It grew readily on potato dextrose agar, forming dark green to dark gray colonie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about 20$^{\circ}C$. The diameter of growing hyphae was 3.5-5.8 $\mu\textrm{m}$. Conidia were ellipsoidal, ovoid or subspherical, and mostly one-celled but occasionally septate. The size of one-celled and septate conidia were 3.7-12.4${\times}$3.4-5.2 $\mu\textrm{m}$ and 9.3-18.7${\times}$3.8-7.2 $\mu\textrm{m}$, respectively. Conidia were formed in long branched chains on the erected conidiophores, which were dark brown in color and 28.9-218.3${\times}$3.0-6.1 $\mu\textrm{m}$ in length.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Cladosporium herbarum on the basis of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lack scab disease occurring in tea caused by Cladosporium herbarum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 PDF

효소를 이용한 녹차 생엽에서 고품질 녹차 추출물 생산 (High Quality Green Tea Extract Production from Enzyme Treated Fresh Green Tea Leaves)

  • 이란숙;차환수;박종대;이성훈;김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25-1029
    • /
    • 2008
  • 녹차 생엽으로부터 고품질의 녹차 추출물을 얻기 위해 복합효소 Rapidase TF를 이용하여 효소처리 농도, 효소처리시간 및 효소처리 온도를 달리하여 실시한 후 $80^{\circ}C$에서 30 min 간 가열한 추출액의 이화학적 성분 특성을 조사하였다. 효소처리에 의해 유리당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glucose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최대 7.2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아미노산은 효소 처리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었으며, 카페인 함량은 효소처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총폴리페놀 및 총카테킨 함량은 효소 첨가량이 증가하고 효소처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카테킨 조성은 효소처리 조건에 관계없이 EGC, EC, ECg 및 EGCg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Gallic acid 함량은 효소처리 농도 0.04%, 효소처리 온도 $45^{\circ}C$까지 증가하다 그 이상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증열 처리된 녹차 생엽에 복합효소 Rapitase TF를 $0.08{\sim}0.1%$ 첨가 후 $37{\sim}45^{\circ}C$$180{\sim}240\;min$ 처리함에 의해 기존의 복잡한 가공공정을 거치지 않고 생엽에서 바로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공정이 간단하고 녹차성분 추출률이 향상된 새로운 형태의 차 추출물 제조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Anti-Cancer Effects of Green Tea by Either Anti- or Pro-Oxidative Mechanisms

  • Hayakawa, Sumio;Saito, Kieko;Miyoshi, Noriyuki;Ohishi, Tomokazu;Oishi, Yumiko;Miyoshi, Mamoru;Nakamura, Yoriyuk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649-1654
    • /
    • 2016
  • Tea derived from the leaves and buds of Camellia sinensis (Theaceae) is consumed worldwide. Green tea contains various components with specific health-promoting effects, and is believed to exert protective effects against diseases including cancer, diabetes and hepatitis, as well as obesity. Of the various tea components, the polyphenol catechins have been the subject of extensive investigation and among the catechins, (-)-epigallocatechin gallate has the strongest bioactivity in most cases. Our research group has postulated that hepatocyte nuclear factor-$4{\alph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are targets of green tea constituents including (-)-epigallocatechin gallate for their anti-diabetes, anti-obesity, and anti-hepatitis effects, respectively. Published papers were reviewed to determine whether the observed changes in these factors can be correlated with anti-cancer effects of green tea. Two major action mechanism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have been proposed; one associated with its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the other with its pro-oxidative activity. When reactive oxygen species are assumed to be involved, our findings that (-)-epigallocatechin gallate downregulated hepatocyte nuclear factor-$4{\alph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may explain the anti-cancer effect of green tea as well.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which determinant directs (-)-epigallocatechin gallate action as an anti-oxidant or a pro-oxidant for favorable activity.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f Green Tea on Antioxidant Activity and EGCG Content: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Kim, Mun Jun;Ahn, Jong Hoon;Kim, Seon Beom;Jo, Yang Hee;Liu, Qing;Hwang, Bang Yeon;Lee, Mi Kye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4호
    • /
    • pp.270-274
    • /
    • 2016
  • Green tea, the leaves of Camellia sinsneis (Theaceae), is generally acknowledged as the most consumed beverage with multiple pharmacological functions including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f green tea on its antioxidant effects using DPPH assay. Three extraction factors such as extraction solvent (EtOH, 0 - 100%), extraction time (3 - 15 min) and extraction temperature ($10-70^{\circ}C$) were analyzed and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 (GTE) was determin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ith three-level-three-factor Box-Behnken design (BBD).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good fit of data and the optimal conditions of extraction were found to be 57.7% EtOH, 15 min and $70^{\circ}C$. Under this condition, antioxidant activity of experimental data was 88.4% which was almost fit to the ideal value of 88.6%. As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is known for the major ingredient for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GCG on antioxidant activity of GTE. EGCG showed antioxidant activity with the $IC_{50}$ value of $4.2{\mu}g/ml$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EGCG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TE with $R^2=0.7134$. Interestingly, however, GTE with 50 - 70% antioxidant activity contain less than $1.0{\mu}g/ml$ of EGCG, which is much lower than $IC_{50}$ value of EGCG. Therefore, we suppose that EGCG together with other constituents contribute to antioxidant activity of GT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een tea is more beneficial than EGCG alone for antioxidant ability an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of green tea will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food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Leaves and Fruits of Acer ginnala

  • Chung, Jin-Su;Lee, Min-Sun;Chung, Ji-Yo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45-48
    • /
    • 2001
  • The antioxidative effect of the extracts from the leaves and fruits of Acer ginnala against free radicals was studied by two different methods using DPPH radical-generating system, and hydroxyl radical-generating system $(Cu^{++}/H_2O_2\;system)$ which induces DNA strand breaking. Compared with well known antioxidative plants, green tea, Scutellaria baicalensis, the Acer ginnala extracts showed excellent radical-scavenging activity in DPPH radical-generating system and inhibited effectively hydroxyl radical induced-DNA strand breaking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Cu^{++}/H_2O_2$ system whereas the green tea extract stimulated the strand breaking at a low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 extracts from the leaves and fruits of Acer ginnula could be good antioxidative agents.

  • PDF

저장 조건이 녹차 음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Green Tea Beverage)

  • 이정민;임상욱;조성환;최성길;허호진;이승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27-34
    • /
    • 2009
  • 녹차 잎 1.5 g에 증류수 100 mL을 가하여 $75^{\circ}C$에서 5분 동안 추출하여 녹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저장 조건을 달리하여 A 녹차 음료 (빛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지 않음, 자연 상태의 대기 조건, 비타민 C 무첨가), B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30 mg/100 mL 첨가), C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무첨가)로 구분하여 $4^{\circ}C$에서 28일간 저장한 후, 유용 성분을 분석하였다. 총페놀 함량의 경우 저장 초기에 비하여 저장 28일 후 A 녹차 음료는 71.50%, B 녹차 음료는 73.88%, C 녹차 음료는 75.07%로 감소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저장 초기에 비하여 A 녹차 음료는 87.87%, B 녹차 음료는 92.93%, C 녹차 음료는 88.39%이었다. 녹차의 유용 카테킨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는 28일간 저장 후에 A 녹차 음료는 130.61%, B 녹차 음료는 136.47%, C 녹차 음료는 4.34%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녹차의 저장 조건이 녹차 음료의 성분에 영향을 미치며, 빛, 질소 치환, 비타민 C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한 녹차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reen Tea Prepared with Alkaline Ionized Water)

  • 이정민;박순례;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43-1047
    • /
    • 2007
  • 시판되고 있는 녹차잎을 $75^{\circ}C$에서 알칼리 이온수로 10분간 추출하여 녹차를 제조한 뒤,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한 녹차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과 아스코르브산 함량은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unter 색도 L, a, b값은 pH 증가에 따라 각각 감소, 감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녹차의 주된 성분인 epicatechin류의 함량은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카페인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도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tyrosinase 억제능은 pH 8.85의 알칼리 이온수 녹차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녹차 건분이 급성 알코올 투여받은 9개월령 흰쥐의 뇌 부위별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Effects of Green Tea Powder Diet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in 9 Month Old Rat Brain Regions)

  • 류선미;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1호
    • /
    • pp.24-2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녹차 건분 식이가 뇌 조직에서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감소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규명하고 자, 생후 9개월령 Sprague-Dawley에게 1% 녹차 건분식이를 4주간 공급하고 희생 12시간 전메 급성으로 알코올을 투여한 후 뇌 조직을 cortex, cerebellum, striatum, hippocampus로 나누어 malondialdehyde(MDA)의 함량과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SH-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1%녹차 건분 식이의 공급은 striatum과 hippocampus 내 MDA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고 알코올에 따른 hippocampus 내 catalase 활성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곁과는 녹차 건분의 공급이 알코올로 산화적 stress를 가한 동물에서 일부 뇌 조직의 지질 산화를 감소시키고 알코올에 의한 뇌 조직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생쑥과 덖음쑥차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Raw Mugwort Leaves and Parched Mugwort Tea)

  • 김영숙;이종호;김무남;이원구;김정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1-267
    • /
    • 1994
  •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쑥(A. asiatica nakai)을 이용하여 전래의 녹차제조법에 따라 덖음쑥차를 제조하였다. 생쑥과 덖음쑥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Tenax trap으로 포집한 다음, GC-MS로 분리, 동정한 결과 58가지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이들 휘발성 화합물 중 향의 특징으로 보아 쑥향과 유사한 11가지 향기성분은 benzaldehyde, pinene, myrcene, cineole, 2-pyrrlidinone, camphor, thujone, 1-acetylpiperidine, caryophyllene, coumarin 그리고 famesol이었으며, 이들의 혼합물은 4월에 채취한 쑥의 향기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었으므로 이들 11가지 화합물을 덖음쑥차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지 표가 되는 화합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