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arning-centered class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2초

플립드 러닝 기반 학습자 주도형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연구 (Research o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Based Learner-Center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 이동엽;김동현;조수진;강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81-89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요구와 관심을 갖고 수업에 참여하는 영재 학생들에게는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학생 능동형 수업이 더욱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자 주도형 과학영재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해당 모형을 기반으로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재 수업에 적용하고 다양한 학습결과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학습자 주도형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주관성 연구 -호텔조리학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A Subjectivity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Intensive Major Course in Bachelor Degree Major College -Focusing on hotel culinary department enrolled student-)

  • 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648-660
    • /
    • 2018
  •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전공심화과정 호텔 조리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의 구조를 유형화 하며,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유형들 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6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5) : 전공심화과정 교수법 만족형(In-depth major curriculum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type), 제 2유형(N=4) : 실기중심 수업 만족형(Practical learning class satisfaction type), 제 3유형(N=3) : 현장 중심 수업 만족형(Place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제 4유형(N=3) : 취 창업 중심 수업 만족형(Employment Establishment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제 5유형(N=3) : 이론중심 수업 만족형(Theory centered class satisfaction type), 제 6유형(N=2) : 일 학습 병행 수업 만족형 (Work learning concurrent class Satisfying type)으로 각각의 유형마다 다양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모형 중심교수의 효과성에 관한 탐구- '컴퓨터 교육'교과를 수강하는 예비교사 대상으로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Model-Centered Instru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Computer Education)

  • 김혜원;한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59-369
    • /
    • 2007
  • 학습자가 학습을 시작하기 전 혹은 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전문가의 정신모형을 제시하는 모형 중심 교수는 비전문 학습자의 문제해결 과정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학습의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협동학습 전략은 모형 중심 교수 이론을 적용하는 인지 도제 학습 모형의 여섯 단계 동안 비전문 학습자의 정신 모형을 정교하게 하고 반추하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컴퓨터교육'교과를 수강하는 교육대학교의 예비교사들의 교수설계 과정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모형 중심 교수와 협동학습의 효과를 탐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GBS(Goal-Based Scenario)에 의한 수업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 수업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How to Apply GBS (Goal-Based Scenario) to 'Ecology & Environment' Education in High School)

  • 강인애;이명순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94-110
    • /
    • 2008
  • Recently environmental problem becomes such a big issue all over the world tha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has been simultaneously emphasized. While diverse methods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have been researched,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a teaching-learning model called GBS (Goal-based scenario), aims to provide a new learner-centered approach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briefly presents two theoretical backgrounds of GBS (i.e., constructivism and Schank's dynamic memory theory), which is followed by specific and concrete strategies and methods of how to apply GBS in class for the teacher. GBS(Goal-Based Scenario) is a learner-centered model in which learners are presented with a reality-based scenario (or task or problem) and go through several stages of 'missions' to get to a final solution of the given scenario. GBS, while completely resonant with other constructivist learning models in terms of learner-centered approaches, is distinctive from others, when it supplies more specific, structured guides of learning, called 'missions', to the students throughout the whole learning process. In a words, GBS ought to be recognized as an unique learner-centered model compromising the contradictory concepts of 'learner control' and 'structure and specifics' in learning environments still without any damage of constructivist learning principles.

  • PDF

플립러닝 기반 공학수업 개선 방안 연구 - 국내 C대학 공학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Engineering Course - Focused on Engineering Course Cases at C university -)

  • 이성혜;김은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15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evaluations of instructors and experts on flipped learning-based engineering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8 engineering courses which participated in the flipped learning course development project of C university from 2017-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structors and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pre-learning was not performed and checked effectively. In this regard, the instructors suggested the students' burden of pre-learning,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flipped learning, and the experts suggested the lack of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pre-learning. In addition, the instructors and the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courses were still instructor-centered. The instructors evaluated that they operated the instructor-led course by themselves. In addition, the experts suggested that there was not enough instructional strategies to activate the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 number of the students and the lecture room environment that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learner- centered class were the evaluation opinions of both the instructors and the experts. In addition, the professor suggested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of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 as the main opinion, and the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online learning system and classroom was not linked for pre-learning, classroom learning, and the post-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flip learning based engineering course were suggested.

Designing the Content-Based Korean Instructional Model Using the Flipped Learning

  • Mun, Ju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5-2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ontent-based Korean Class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for foreign students. The class model that presents on this paper will lead the language learning through content learning, also it will be enable the student more active and to have an initiative in the class. Prior to designing a Content-based Korean Class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the concept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flip learning were review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n,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eaching method adapting Flipped learning to Content-based teaching metho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also suggests standards and principles of composition in Contents-based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After designing the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the suggested standards and principles, it presents a course of instruction about how learning methods, contents and activities should be done step by step. The Content-based Korean class model using the Flipped learning will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lecture-teaching methods which are the dominant of present classroom environment.

A Comparison of Two English Reading Classes: With a Focus on Cooperative Learning

  • Suh, Jae-Suk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3호
    • /
    • pp.79-98
    • /
    • 2006
  • As one way of changing a teacher-fronted, grammar-based reading class into a meaningful, fun-creating one, this paper compared teacher- fronted reading with student-centered reading framed upon cooperative learning. In a study in which each type of reading method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in an EFL reading course for a period of one semester, data were gathered via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ough each type of reading instruction came with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student-centered reading instruction was preferred for various reasons. Most important, through an active participation in cooperative work, subjects were motivated and interested in L2 reading much, were exposed to various reading strategies and skills, and practiced them in a friendly, low-anxiety learning climate.

  • PDF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3-71
    • /
    • 2006
  • 본 연구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독서방식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교육 기간에 따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2005년 4월부터 12월까지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대상으로 한 반은 쓰기 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Author-Reader-Inquirer Cycle'을 실시하고, 다른 한 반은 말하기 듣기 프로그램중심 독서프로그램 모형인 'Literature Circles'를 실시하였다.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1회차 검사, 7월에 단기 교육 사후검사. 2학기말인 12월에 장기 교육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교육은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기 중심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말하기 듣기 프로그램에 비해 효과적이고, 단기 독서교육 보다는 장기 독서교육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서 방식 중에서는 음독, 묵독, 다독, 통독, 발췌독에 비해 정독을 통한 독서방식이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image design PBL class that can be used for e-Digital contents production

  • Ahn, In-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7-82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ment plan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PBL - related video design class. PBL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 must acquire diverse knowledge and skills to discover problems and solve them creatively. Therefore, various learning methods are being studied, and one of them is PBL learning. PBL i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explores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specific topics other than existing curriculum-based education methods and finds solutions to problems. In this study, two lectures on video design related to video contents and image contents were taught in PBL class, and PBL class problem was analyzed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studied.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udent Activity-centere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Model: Focused on Earth Science)

  • 이효녕;이현동;채동현;임성만;전재돈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9-151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한 모델을 현장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 및 국외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7E 순환 학습 모델에 기반한 교과서 개발 Framework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Framework를 토대로 '시스템과 상호작용 - 지구시스템'의 성취 기준에 대한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델은 총 5차시 분량이며 시스템 사고, 융합인재교육에서 추구하는 여러 가지 목표를 반영하였다. 1~4차시까지는 최종산출물을 도출하기 위한 유기적은 연결되어 학생활동 중심의 탐구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5차시는 직업과 진로에 대하여 탐색할 수 있는 단원으로 제시하였다. 개발한 모형을 학교 현장에 투입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수업에 대한 흥미, 교과서 내용, 산출물의 도출 등에서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발한 모델을 학교 교육과정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교과서가 만들어진다면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