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presence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4초

'동료 튜터링'에 참가한 목표달성 집단과 미달성 집단의 차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를 중심으로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between Low-Achievers Participating in Peer Tutoring)

  • 황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81-59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동료 튜터링(학습 튜터링)'의 참가 영향을 분석하여, 유관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참가자 중 목표달성 집단(학점 상승)과 미달성 집단(학점 하락)의 차이를 학점 변화 및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의 차이로 비교, 분석해보고, 둘째, 세 변인의 관련성이 어떠한지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세종시 소재 H 대학교, 학습 튜터링 참가자 1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검정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략한 연구 결과는, 첫째, 튜터링 참여 후 목표달성 집단(124명, 80.52%)은 학점이 상승하였고, 참가자 전체의 학점 평균도 상승하였다. 둘째, 성별, 학년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목표달성 집단은 미달성 집단보다 세 가지 변인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넷째, 세 가지 성과 변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의 71%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료(학습) 튜터링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실재감 향상을 위한 활동 전략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온라인 돌봄을 결합한 블렌디드 러닝 EduCare 모델 (The EduCare Model Combining Online Care in Blended Learning)

  • 한정혜;이시훈;이원래;최은정;이재용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67-174
    • /
    • 2022
  • 등교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블렌디드 러닝에서 온라인 수업의 단방향성과 상호작용의 단절이 학력격차를 심화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블렌디드 러닝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 교육 공동체를 대상으로 표적 집단 인터뷰를 통하여 온라인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하여 돌봄 요소를 고려한 EduCare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블렌디드 EduCare 모델에 대하여 전문가 타당성 검토를 거친 6가지 수업 운영 모형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돌봄요소를 고려함으로써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학습 실재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실재감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온라인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것이다.

Evolution of a New Learning Ecology: From E to M-Learning

  • Atienza, Theresita V.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698-1703
    • /
    • 2007
  • The paper focuses on a new 'learning ecology' that is evolving and the challenges that educators must confront. It looks at e-learning as not just another add-on, but a technology that is transforming our educational institutions. How teaching and learning is conceptualized and experienced to generate a determined community of inquiry that integrates social, cognitive, and teaching presence in a manner that will take full advantage of the distinctive assets of e-learning is discussed. Likewise, the possibility of mobile learning is put forward.

  • PDF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Learning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 최미향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2_2호
    • /
    • pp.425-435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13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C nursing colleges of C city in Gyungnam.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online-questionnaire from 5 January to 18 January, 202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7.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Factor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were teaching presence(presence of teacher)(𝛽=.43, p<.001), instructional quality(content qualities)(𝛽=.41, p<.001),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satisfaction)(𝛽=.13, p<.001). instructional quality(interface)(𝛽=.12, p=.036), which explained about 85.3% of total variance(F=192.78, p<.001).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classes that prioritize the presence of teacher so that learners can recognize and trust the presence of teacher by passionately professional performing. And, among instructional quality, we should be strengthen the usefulness of learning materials, content factors related to tests and assignments, and strive to improve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operate classes that fully consider the interface factors related to the manual composition and system convenience for online classes among the quality factors of classes.

교육대학원생의 비대면 온라인 강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추천 의향에 미치는 예측 요인에관한연구 (A study on prediction influence factor of Graduate Students inEducation Learning satisfaction, persistence, recommend intention)

  • 김재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17-532
    • /
    • 2022
  •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관한 주관적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추천 의향의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들을 실증적 검증하였다. 이에 서울권에 위치하고 있는 E모 대학교의 교육전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N=417)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대학원생의 비대면 수업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현존감, 인지된 유용성, 정보시스템품질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지된 유용성과 사회적 현존감으로 나타났고 인지된 유용성의 영향력이 매우 컸다. 그리고 교육대학원 학습자의 주관적인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만족스러운 태도를 형성한다고 해서 학습지속의향이란 행동으로까지 연결되지는 않음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만족도는 타인 추천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또한 학습지속의향 역시 타인 추천 의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주목할 점으로 학습만족도가 타인 추천 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컸다는 점이다. 이는 교육대학원 학습자 개인이 인식하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주관적 태도인 만족도가 최종적으로 타인에게 교육대학원을 추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살펴보았고,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실제 반영되어 비대면 온라인 수업 커리큘럼과 콘텐츠 구성의 기초 자료로서 실무적 의의를 지닌다.

Students' Online Fashion Studio Class Experience and Factors Affecting Their Class Satisfaction

  • Lee, Jungmin;Lee, Mi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6호
    • /
    • pp.135-147
    • /
    • 2020
  • This study explored students' online fashion studio class experience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class satisfaction. An online survey of colleg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online studio classes within apparel and fashion-related departments during the spring of 2020 was conducted in June 2020. Responses from a total of 21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 Respondents rated lecture clips as the most useful, followed by teacher demonstration and feedback, PowerPoint (PPT) supplements, and Q&As. Frequently mentioned areas of improvement were online platform stability and video quality. Many respondents also stated that more streamline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channels, immediate and meticulous teacher feedback, the adoption of course contents developed specifically for an online environment, and provisions for equipment usage would be desirable. Student satisfaction of an online fashion design studio cla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online learning system stability, perceived usefulness of teacher's demonstration, and affective response toward COVID-19. Students satisfaction of an online garment construction studio cla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online learning system st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of teacher's demonst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developing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that allow students to feel included in class and establish an online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to enhance the sense of social connection that can enable two-way communication.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의 특성이 학습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Online Streaming Course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주유존;양혜준;지앙슈에진;황하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59-68
    • /
    • 2022
  • 코로나 시대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과 비대면 수업이 확산되고 있음에 따라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이용자 측면에서 왜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을 이용하는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의 특성으로 사회적 현존감, 흥미성, 이용 편리성, 상호작용성을 제안하고, 이들 특성이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국 대학생 3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성, 사회적 현존감, 흥미성은 학습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용 편리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학습 만족도는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Commitment in Online Science Classes)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3-201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이다. 온라인 과학수업에 대해 초등예비교사 88명의 반응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해석하였다.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독립변인은 용이성, 유용성, 사회적 실재감으로 설정하고 종속변인은 학습몰입으로 설정하였다. 온라인 과학수업은 대학교의 LMS 시스템을 기반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용이성, 유용성, 사회적 실재감에 대하여 예비교사들의 사전-사후 반응에서 t검정, 요인들간에는 상관관계, 다중공선성 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으로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요인들의 전-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요인간의 상관계수는 유의수준 .01에서 공동체감과 상호지원 및 집중에서 .306이고, 학습몰입과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354로 나타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각 요인들의 사전-사후 검정에서 효과적인 결과를 보아 특별하게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고는 해석할 수 없지만 용이성, 유용성, 사회적 실재감에서 학습몰입을 하게 되었다고 해석된다.

흉부 디지털 영상의 병변 유무 판단을 위한 딥러닝 모델 (A Deep Learning Model for Judging Presence or Absence of Lesions in the Chest X-ray Images)

  • 이종근;김선진;곽내정;김동우;안재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12-218
    • /
    • 2020
  • 흉부 영상을 통해 진단 가능한 병변은 무기폐, 심비대, 덩어리, 기흉, 삼출 등 그 종류가 수십 가지에 이른다. 흉부 병변의 정확한 진단과 위치 및 크기를 판단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산화단층촬영(CT) 검사가 필요하지만, 전산화단층촬영은 검사 비용과 방사선 피폭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흉부 병변 진단의 일차적 선별도구로서 방사선검사(X-ray) 영상에서 병변 유무 판단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병변의 유무 판단에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 방법들을 비교하여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알고리즘보다 병변 유무 판단률이 약 1% 정도 향상되었다.

동기식 온라인창업교육의 학습자만족 모델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l of Learner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변영조;이상한;김재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9-135
    • /
    • 2020
  • Owing to pandemic (COVID-19), the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method has been changed to the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education methods. Using a real time-based video conference system, synchronous education can be adopted by face-to-face class easily.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s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in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authors collected data from learners taking a synchronous entrepreneurship course. Through previous research, learned the reality of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lessons. Spatiotemporal effectiveness, mentor abi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fluence learning satisfaction. PLS-SEM results revealed that it was confirmed that only spatiotemporal effects affect learner satisfaction. However, the education environment (fluent operation and convenience of function use of real-time based online conference system) effect teaching presence, class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effects.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pport for developing effective teacher activities, proper lesson structure, convenient function of the conference system, and learner-center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hen developing synchronous online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