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unfolding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초

Phenological Studies of Deciduous Trees in the Cool Temperate Region of Japan

  • Jun, Kala;Hayashi, Ichirok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3호
    • /
    • pp.193-200
    • /
    • 2008
  • We obtained quantitative information on leaf unfolding and leaf shedding by observing 45 species of cool temperate deciduous trees in an arboretum over 5 growing seasons. These trees were in leaf (the foliage period) for 207 days on average after 1 April; 50% of leaves had been shed by 192 days after 1 April. Duration from the start of leaf unfolding to 50% leaf shedding was 157 days on average. Leaf unfolding began 35 days on average after 1 April. For leaf unfolding to begin, a$ 51^{\circ}C{\cdot}day$ of cumulated daily mean air temperature above $5^{\circ}C$ from 1 January (modified Kira's warmth index) was needed. Fifty-nine days elapsed between initiation and the final stage of leaf unfolding. The period of net photosynthetic assimilation was 157 days. The species with succeeding- type leaf unfolding associated with the anemochore seed type dominated the early stage of succession, while the species with flush-type leaf unfolding tended to dominate the late stage of succession. Few species were found in regions where late frosts occur after the day when the cumulative temperature for leaf unfolding is achieved. Bi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e time of leaf unfolding, which affects the life history of each species, so that each species occupies its own niche in the stand. We conclude that that leaf phenology, such as timing of leaf unfolding and leaf shedding, is one of the components of each speci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밤나무 재배품종의 개엽과 개화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Leaf Unfolding and Flowering of Chestnut Varieties Cultivated in Southern Korea)

  • 박준호;황명수;조민기;최명석;김종갑;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49-58
    • /
    • 2011
  • 본 연구는 밤나무 품종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남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는 31품종의 개엽 및 개화특성을 조사하였다. 개엽시기는 품종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2008년과 2009년에 비해 2010년에 늦게 개엽되었다. 개엽 1단계부터 4단계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2008년과 2009년은 약 8일 정도였지만, 2010년에는 약 14일 정도가 소요되었다. 개화특성에 있어서 2008년과 2009년의 경우, 암꽃의 개화개시와 개화완료는 각각 5월 초순과 6월 초순이었으나 2010년에는 늦은 개화개시와 개화완료를 나타내었다. 개화특성에 있어서는 수꽃도 암꽃과 동일한 경향이었으나, 개화개시는 수꽃이 암꽃보다 20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Factors affecting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Betula ermanii on Mt. Neko in Nagano Prefecture, Japan

  • Jiro, Otsubo;Shigeru, Mariko;Ichiroku, Hayash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2호
    • /
    • pp.121-131
    • /
    • 2010
  •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Betula ermanii segregate vertically at an elevation of approximately 1,850 m on Mt. Neko in Nagano Prefecture, Japan. B.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B. ermanii were the dominant species below and above this altitude, at which the mean-annual and growing-season air temperatures were $4^{\circ}C$ and $14.1^{\circ}C$, respectively. Based on a modification of Kira's warmth index which employs cumulative temperature represented as $^{\circ}C$ day, leaf unfolding in both species was observed to be initiated at $58^{\circ}C$ day and $169^{\circ}C$ day, respectively. In 1996, leaf unfolding was initiated on 18 May in B. platyphylla var. japonica (+/-6 days) and on 5 June in B. ermanii (+/-8 days), shortly after the last frost which occurred on 5 May 1995 above 1,850 m; below this elevation there was no risk of frost at the time. At elevations above 1,850 m, the unfolded leaves of B. platyphylla were damaged by late frost, while B. ermanii escaped injury because the leaves were still protected by winter bud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eed germination in both B. platyphylla and B. ermanii was $30^{\circ}C$. Temperature alternation from 10 to $30^{\circ}C$ and moist storage of seeds at $4^{\circ}C$ (stratification) prior to incubation increased germination rates in both species. The seedlings of B. ermanii had a greater survival rates than those of B. platyphylla var. japonica when planted above 1,850 m. Comparisons of the timing of leaf unfolding and the latest frost at a site appeared to b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se species.

기온과 봄 식물계절지수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 장정걸;유성태;김병도;손성원;이명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6-115
    • /
    • 2020
  •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상수리나무 잎의 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on Leaf Phenology of Quercus acutissima)

  • 서동진;오창영;한심희;이재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3-218
    • /
    • 2014
  •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상수리나무 잎의 생물계절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부개방형온실을 이용하여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여 처리하였다. 대기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의 설정은 현재 농도, 현재 농도의 1.4배, 현재 농도의 1.8배 등 3 처리구로 하였고, 온실효과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상부개방형온실 외부에 비교구를 설치하였다. 잎의 생물계절현상은 2013년에 동아 파열, 개엽, 단풍, 낙엽에 대하여 각 생물계절현상이 나타나는 일자와 적산온도를 조사하였고, 2014년에는 봄철 계절현상인 동아 파열과 개엽에 대하여 각가의 일자와 적산온도를 조사하였다. 동아 내의 탄수화물 함량 분석을 위하여 2014년 3월에 각 처리구별로 동아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봄철의 생물계절현상이 연도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2013년도에는 동아 파열과 개엽 시기가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봄철 기온이 높았던 2014년도에는 동아 파열 및 개엽 시기 모두 처리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풍과 낙엽 등 가을철의 생물계절현상은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 내의 탄수화물 함량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전분, 총 비구조 탄수화물, 총 수용성 당류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승은 상수리나무의 개엽을 빠르게 하고 낙엽을 늦추어 전체적인 생육기간을 연장시키게 될 것이다. 봄철의 이른 개엽은 동해피해의 가능성을 높이나, 개엽 시기는 온도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으며, 전년도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의하여 동아 내의 전분, 수용성 당 등 탄수화물 함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봄철의 동해피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맥품종의 오도에 따른 생육반응 (Varietal Differences in Growth and Development Affected by Temperature in Barley)

  • 천종은;박문웅;김정곤;이은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43-349
    • /
    • 1988
  • 보리 극조숙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육종재료들에 대한 감온성 및 저온생육성을 검정하였다. 국내외 품종 및 계통을 공시하여 파종을 소거한 후 온실의 고온, 저온조건 및 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도처리에 따른 초장의 온도계수(Q$_{10}$), 생육비율, 감온성정도는 품종간 변이가 컸다. 조숙성 품종은 Q$_{10}$ 치가 커서 온도변화에 둔감한 생육반응을 보였다. 2. 온도변화에 대한 지엽전개기의 온도계수(Q$_{10}$), 감온성정도 역시 품종간 변이가 컸으나 감온성정도의 변이계수가 더 크므로 품종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선 이 형질의 이용이 더 효과적으로 보여진다. 3. 지엽전개기에 대한 Q$_{10}$ 및 감온성정도는 초장에 대한 Q$_{10}$, 감온성정도와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4. 출수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은 고온에서 2~4일로 짧았으나 저온구에서 는 1~11일로 그 변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5. 고온에서의 출수기와 저온에서의 출수기, 포장출수기, 성숙기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냈고 저온에서의 개화기는 고온에서 출수기, 포장출수기, 성숙기와는 상관을 나타냈다. 6. 대체로 저온과 고온구간에 출수기의 차이가 큰 품종은 수원218호. SB76588, 5월보리. 조강보리 등으로 감온성이 민감하고 조숙성 품종군에 속하였다.품종군에 속하였다.

  • PDF

소맥겹의 Glutamine Synthetase 활성도에 관한 연구 I. 엽위별 GS활성도의 차이 및 출수후 "V"자형 변화현상 (Studies on the Activity of Glutamine Synthetase(GSA) in Wheat Leaves I. Variation of GSA by Different Leaf Position and its Depression Phenomenon after Inflorescence Emerged)

  • 손상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8-105
    • /
    • 1989
  • 소맥생육기간중의 GS활성도의 경시적 변이진상을 알고저 소맥품종 Kolibri의 시비수준별, 엽위별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1. 각엽에 있어서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엽분화 초기에 극히 낮으나 엽의 전개, 신장에 따라 수배까지 증가하며 엽의 노화 진전과 더불어 하락하였다. 2.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엽의 분화초기를 제외하면 아래로부터 상위엽 차순으로 높았으며, 최고의 활성도는 지엽에서 나타났다. 3. 최상위 2개엽은 최하위엽(제 1-4엽)보다 활성도와 활성 peak가 전 처리구에서 모두 2-3배 높았다. 4. 생체종 1g당 GS활성도는 제 1-4엽에서 1회의 활성 peak를 보인 반면 제6-지엽에서는 2회의 peak를 나타냈다. 5. GS활성도는 출tnrlRK지 증가하여 첫 번째 활성 peak에 이르고 그 이후 개화후 7일의 유숙기까지 급락하였다가 다시 증가하여 개화후 22일인 호숙기에 두 번찌 peak에 이르는 V자형 함몰현상을 나타냈다.

  • PDF

염화칼슘이 벚나무 잎의 가스교환 및 기공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Cl2 on Gas Exchange and Stomatal Responses in the Leaves of Prunus serrulata)

  • 제선미;김선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03-308
    • /
    • 2016
  • 겨울철 제설제로 사용하는 염화칼슘에 의한 3년생 벚나무 잎의 가스교환 및 기공반응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개엽 전 염화칼슘 0.5%, 1.0%, 3.0% 수용액을 2회(1 L) 근권부에 처리하였다. 염화칼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벚나무의 기공전도도($g_s$), 광합성율($P_n$), 증산율($T_r$), 그리고 수분이용효율(WUE)은 감소하였다. 염화칼슘 처리에 의해 기공전도도와 광합성율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엽육세포 내 $CO_2$ 농도($C_i$)가 대조구와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공제한 뿐만 아니라 비기공제한 요인도 함께 광합성율의 감소를 야기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벚나무의 개엽 전 염화칼슘 처리는 잎의 형태적 특징에도 영향을 주었다. 염분농도가 증가할수록 기공의 길이가 작아지고 기공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잎의 크기가 작아졌는데, 이는 식물체 내 수분손실을 줄이기 위한 적응기작으로 판단된다.

단고추(피망) 육묘시 주야간 온도차(DIF)가 플러그묘 생장과 정식후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s (DIF)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Bell Pepper Plants before and after Transplanting)

  • 임기병;손기철;정재동;김종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5
    • /
    • 1997
  • 피망(Capsicum annuum L.) 플러그 육묘시 초장 조절을 위해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16조합 처리를 50일간 실시한 뒤 각각의 묘소질에 따른 정식후 생육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주야간 온도차 처리에 따른 피망 플러그묘의 초장은 주간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같은 일평균 온도에서는 -DIF에 의해 억제되고, +DIF에 의해 촉진되었다. 엽전개 속도는 DIF처리 효과보다는 일평균 온도에 의해 좌우되었고, 생체중 및 건물중은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야간온도에 비해 주간온도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엽면적과 줄기직경은 주야간온도가 16$^{\circ}C$부터 24$^{\circ}C$로 증가할 때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육묘시 온도처리에 따른 제 1번화의 착생 절위는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나 화뢰의 퇴화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망육묘시 DIF를 조절하여 육묘시 초장조절이 가능하며 -DIF 처리로 초장이 억제된 유묘일지라도 정식후 +DIF 조건에서 재배함으로써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엽전개 속도(생육속도)와 제 1번 화의 화아 분화도 일평균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며, 적온 범위 내에서 일평균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아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토양수분 함량별 인삼의 근 및 지상부 생육 (Root and Top Growth of Panax ginseng at Various Soil Moisture Regime)

  • 목성균;손석용;박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5-120
    • /
    • 1981
  • 토양수분이 인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경Pot(1/2000cm)에 묘삼을 이식하여 토양수분함량별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장황, 근수량과 지상부 형질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생육에 대한 토양의 적정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65. 5%(절대수분 22.1%였고 생육이 정지되는 토양수분 함량은 포장용수량의 31.5%(절대수분 10.7%)였다. 2. 토양수분 함중이 적은 곳에서는 출아 및 전엽율이 상당히 지연되었으며 엽면적외 감소와 지상부 결주가 많아져 근수량이 현저히 감소되였다. 3. 근수량은 엽면적(r=0.91**) 경직경(r=0.76**) 경장(r=0.71**) 지상부생중(r=0.96**)간에 각각 정의 상기관계가 있었고 지상부 결주율(r=-0.77**) 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생근중과 수분함량(r=- 0.80**)간에 부의 상관관계가 있어 수분이 충분한 곳에서 자란 인삼은 조직이 치밀함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