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 Length

검색결과 499건 처리시간 0.041초

Association between Polymorphisms in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6 and 1A7 and Colorectal Cancer Risk

  • Osawa, Kayo;Nakarai, Chiaki;Akiyama, Minami;Hashimoto, Ryuta;Tsutou, Akimitsu;Takahashi, Juro;Takaoka, Yuko;Kawamura, Shiro;Shimada, Etsuji;Tanaka, Kenichi;Kozuka, Masaya;Yamamoto, Masahiro;Kido, Yoshiak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311-2314
    • /
    • 2012
  • Genetic polymorphisms of uridine diphosphate-glucuronosyltransferases 1A6 (UGT1A6) and 1A7 (UGT1A7) may lead to genetic instability and colorectal cancer carcinogenesis. Our objective was to measure the interaction between polymorphisms of these repair genes and tobacco smoking in colorectal cancer (CRC). A total of 68 individuals with CRC and 112 non-cancer controls were divided into non-smoker and smoker groups according to pack-years of smoking. Genetic polymorphisms of UGT1A6 and UGT1A7 were examin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We found a weak association of UGT1A6 polymorphisms with CRC risk (crude odds ratio [OR], 1.65;95% confidence interval [95% CI], 0.9-3.1, P=0.107; adjusted OR 1.95%, 95% CI 1.0-3.8, P=0.051). The ORs for the UGT1A7 polymorphis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rude OR: 26.40, 95% CI: 3.5-198.4, P=0.001; adjusted OR: 21.52, 95% CI: 2.8-164.1, P=0.003). The joint effect of tobacco exposure and UGTIA6 polymorphism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lorectal cancer risk in non-smokers (crude OR, 2.11; 95% CI, 0.9-5.0, P=0.092; adjusted OR 2.63, 95% CI, 1.0-6.7, P=0.042).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UGT1A6 and UGT1A7 gene polymorphisms are associated with CRC risk in the Japanese population. In particualr, UGT1A6 polymorphisms may strongly increase CRC risk through the formation of carcinogens not associated with smoking.

축소모형실험 및 PFC2D해석에 따른 발파해체 거동분석 (A Study of Blasting Demolition by Scaled Model Test and PEC2D Analysis)

  • 채희문;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4권1호
    • /
    • pp.54-6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장기에 고층 구조물 시공에서 널리 사용된 철근콘크리트(RC, Reinforced Concrete) 구조물을 대상으로 발파해체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고 전산실험결과와 이를 비교하였다. 발파해체 공법으로는 파괴거동을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점진붕괴공법을 적용하였으며, 축소모형실험은Hobbs(1969)에 의한 축소율의 개념에 따라 차원해석을 실시하여 축소된 강도특성을 계산하였다. 사용재료로는 석고, 모래, 물의 혼합액을 콘크리트 대용으로 사용하였다. 모래와 석고의 중량 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이에 따른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최적의 강도 값을 갖는 배합 비를 결정하였다. 또한 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축소강도로 비교할 때 철근과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땜용 납선을 철근대용 재료로 사용하였다. 수치해석 프로그램으로는 요소의 파괴거동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별 요소법(DEM Distinct Element Method)에 의해 수행되는 상용코드인 PFC2D(Particle Flow Code 2-Dimension)을 사용하였다. 모형의 제작은 실내에서 미리 양생된 부재들을 현장으로 옮겨 연결부만을 타설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3차원 무근 콘크리트 라멘 구조의 모형을 설계하고 그 축소 모형을 발파해체하여 그 거동을 촬영하였다. 이를 수치적인 해석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2차원 해석이라는 한계성은 존재하지만 대체로 유사한 형태의 거동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사전해석의 경험과 RC 보의 실내 굴곡 실험결과를 근거로 하여 RC 구조모형의 발파해체 사전해석을 실시하였다. 시차는 200㎳로 하여 점진적으로 붕괴되도록 설계하였다. 모형실험과는 달리 2차원 해석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900㎳까지 매우 유사한 거동을 보이며 붕괴되었다.

벼 도복(倒伏) 관련(關連) 형질(形質)에 미치는 Paclobutrazol과 Flurprimido의 처리(處理) 효과(效果) (Effect of Paclobutrazol and Flurprimido Application on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Lodging of Paddy Rice Plant)

  • 오세문;이한규;이경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3-168
    • /
    • 1984
  • 생장억제제(生長抑制劑) paclobutrazol 0.6%입제(粒劑)와 flurprimido 50% 수화제(水和劑)를 벼출수전(出穗前) 40일(日)에 처리(處理)하여 도복(倒伏)에 관련(關連)된 형질(形質)과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19873년(年)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aclobutrazol과 flurprimido를 출수전(出穗前) 40일(日)에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간장(稈長)을 각각(各各) 17cm, 18cm 단축(短縮)시켰으며 특(特)히 하위절간(下位節間)의 신장(伸長)을 크게 억제(抑制)하였다. 2. Paclobutraxol은 하위절간(下位節間)을 가늘게 하면서 간벽(稈壁)을 두껍게 하였으며 flurprimido는 간경(稈徑)의 변화(變化)없이 간벽(稈壁)을 현저(顯著)히 두껍게 하였다. 3. 좌절중(挫折重)은 paclobutrazol 처리(處理)로 변화(變化)되지 않았으나 flurprimido 처리(處理)에 의해서는 증가(增加)되었다. 4. Paclobutrazol과 flurprimideo 처리(處理)로 도복지수(倒伏指數)가 54~53% 낮아졌으며 포장(圃場)에서 도복(倒伏)이 없었다. 5. 두 약제(藥劑) 모두 엽장(葉長)을 짧게하여 1 엽당엽면적(葉當葉面積)을 감소(減少)시켰으나 분얼수(分蘖水)의 증가(增加) 및 하위청엽(下位靑葉)이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많아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가 높았다. 6. Paclobutrazol과 flurprimido 처리(處理)로 수당립수(穗當粒數)를 감소(減少)시켰으나 도복(倒伏)이 방지(防止)됨에 따라 도복(倒伏)이 된 무처리(無處理)보다 등숙율(登熟率)과 수량(收量)을 증가(增加)시킬 수 있었으나 무처리(無處理)의 도복(倒伏)이 없는 조건(條件)에서는 두 약제처리(藥劑處理)에 따라 수량(收量)을 6~7% 감소(減少)시켰다.

  • PDF

고속도로 화물차 군집주행 적용구간 선정 연구 (Methodology for Determining Promising Freeway Segments for Truck Platooning)

  • 조영;권경주;오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8-111
    • /
    • 2018
  •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형태 중 군집주행은 차량간 통신으로 연결된 2-5대 차량이 최소한의 안전거리만을 유지한 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행하는 방식으로, 교통 운영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 및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다수 수행된 바 있지만, 군집주행 도입 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도로구간의 선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물차 군집주행이 가능한 최적의 고속도로 구간을 선정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그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화물차 군집주행 적용구간 선정 평가항목으로는 화물차 사고율, 화물차 비율, 구간길이, 진출입 지점 수로 설정하였다. 각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계층화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남해고속도로 사천IC-산인JC 46.9km 구간에 화물차 군집주행을 운영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화물차 군집주행 시범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함을 갖는 불연속평판 구조물의 안정성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Uncontinuous Plate Structures with Cracks)

  • 이선우;김시영;홍봉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0권1호
    • /
    • pp.37-42
    • /
    • 1984
  • 응력집중부에 존재하는 균열에 대해서 J 평가식은 그 주위의 응력집중부의 국부변형과의 관계에 대해서 인장 및 압축이 있는 두곳에서 BEM 해석과 광탄성 실험한 결과와 COD 및 J치의 무차원량 J 하(E) /$\sigma$ 하(y) 상(2) a와 그 경우의 평균변형 및 항복변형의 비(e/e 하(y) )와의 관계는 균열의 길이에 의하지 않고 응력집중부의 형태에 거의 지배적으로 결정되는 일의적 대응관계가 있다. 2. 무한연속부 내부의 어떤 결함에 의한 평가식으로 부터 구한 값을 불연속 구조물내의 응력집중부에 존재하는 결함에 비하여 비교 정리하면, J 하(E) /$\sigma$ 하(y) 상(2) a=3.345(e/e 하(y) ) 상(2) 의 구간은 e/e 하(y) $\leq$1이고, J 하(E) /$\sigma$ 하(y) 상(2) a=3.345(e/e 하(y) )의 구간은 e/e 하(y) $\geq$1로서 이식들은 결함부 J평가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경계요소법에 의한 J식의 값과의 사이에는 가공경화율은 E/100을 사용하므로 이론과 실험결과가 거의 일치함을 보이고 상기 J식은 불연속평판 구조물이 결함을 가질 때 응력설계곡선의 자료가 될 수 있다.

  • PDF

성장기 어린이에서 상악 중절치 조기 상실 후 치조골 소실 (ALVEOLAR BONE LOSS AFTER THE EARLY LOSS OF UPPER CENTRAL INCISOR IN GROWING CHILDREN)

  • 나혜진;송제선;이제호;최형준;김성오;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1-57
    • /
    • 2012
  • 어린이는 8-10세 경에 외상을 자주 받으며 구강 내에서는 상악 절치부가 호발하는 부위이다.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절치가 상실되면 어린이에게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상악 절치를 유지해야 하지만 조기 상실되는 경우가 있다. 상악절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심미적 문제나 치조골의 수직적 높이와 수평적 너비의 감소, 인접치의 경사, 악궁 장경 감소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치조골이 소실되면 보철적 수복 시에 기능성과 안정성, 심미적인 면에 영향을 준다. 이 증례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가 조기 상실된 9세 여아와 6세 남아에서 각각 5년 5개월, 3년 7개월 후의 치조골소실 정도를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와 진단 모형 상에서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biochar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hinensis)

  • Lee, Jae-Han;Seong, Chang-Jun;Kang, Seong-Soo;Lee, Ho-Cheol;Kim, Soo-Hun;Lim, Ji-Sun;Kim, Jae-Hong;Yoo, Joun-Hyuk;Park, Jung-Hyun;Oh, Taek-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97-203
    • /
    • 2018
  • Biochar is the carbon solid produced through the pyrolysis of a biomass from organic sources such as agricultural waste, animal manure, and sludge under limited or anaerobic conditions. Biochar has the effect of reducing greenhouse gases through the carbon sequestration method; additionally, biochar is known to function as a soil amendmen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biochar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Daejeon, Korea. The Chinese cabbage was grown for 50 days in a glasshouse in pots. A pruning branch was used to produce the bead and pellet forms of biochar through pyrolysis. The biochar was added to the soil at 0, 2, and 5% by weight. The Chinese cabbage with the 2% treatment of the bead form of biochar had the highest fresh weight ($149.43{\pm}15.92g\;plant^{-1}$) which was increased by 10% compared to the control ($136.91{\pm}31.46g\;plant^{-1}$). Moreover, for the 5% treatment of the bead form of biochar ($60.91{\pm}9.82g\;plant^{-1}$), the growth decreased by 57% compared to the control. As the content of the bead form of biochar increased, the shoot dry weight, leaf number, leaf length and lead width that appeared decreased. An increase in the total organic matter, Avail. $P_2O_5$, Ex. cation and EC was observed when the biochar content was increased. Our results support the application of 2% biochar in the bead form for increased growth of Chinese cabbage.

휨항복 후 부착파괴하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부착 연성 평가 (Evaluation for Deformability of RC Members Failing in Bond after Flexural Yielding)

  • 최한별;이정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59-266
    • /
    • 2012
  • 일반적인 내진 설계에서는 구조물의 연성적인 거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보-기둥 접합부에 인접한 보에 소성힌지가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부착강도와 전단강도가 휨강도보다 큰 값을 가져야 하고, 전단이나 부착파괴가 요구된 연성에 도달하기 이전에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전단경간비가 짧은 부재의 경우에는 전단이나 부착 거동의 지배를 받는 경우가 많고, 핀칭 효과로 인해 에너지 소산이 비교적 적게 발생하므로 요구된 연성에 도달하지 못하고 파괴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단경간비가 짧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거동 분석과 연성 예측, 특히 부착 연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반복하중에 의해 저감되는 잠재 전단강도와 잠재부착내력 모델, 그리고 소성힌지 형성에 따른 휨부착응력의 급격한 증대를 도식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제안된 해석법은 각 값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여 부재의 거동을 파악하고, 부착 거동의 지배를 받는 부재의 경우, 부착내력과 휨부착응력의 값이 만나는 지점까지를 그 부재의 부착 연성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존에 수행된 8개의 보, 기둥 시험체를 통해 비교 및 검토하였으며 부재 거동에 대한 예측은 정확히 일치하였으나, 부착 연성 능력에 대해서는 과소평가 되었다. 그 이유는 부재의 부착강도를 실제 부착강도보다 비교적 낮게 예측한 부착강도식에서 찾을 수 있으며, 다른 부착 내력 모델에 대한 부착 연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 내구성 평가 (Long-Term Durability Estimation of Cementless Concrete Based on Alkali Activated Slag)

  • 이현진;이석진;배수호;권순오;이광명;정상화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49-156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 및 황산염 침투 저항성과 같은 장기 내구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물-결합재비에 따라 원주형 및 각주형의 무시멘트 콘크리트를 제작한 후, 이들에 대해서 재령 28일부터 365일까지 NT BUILD 492 및 JSTM C 7401 각각에 따라 장기 염소이온 침투 및 황산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 염소이온 침투 및 황산염 침투 저항성은 물-결합재비에 관계 없이 OPC 콘크리트보다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 내구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하악골의 불연속 결손부 재건 시 비혈행화 장골이식술의 골흡수율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Bone Resorption Rate after Nonvascularized Iliac Bone Graft for Mandibular Discontinuity Defect)

  • 최진욱;이충오;황희돈;김진욱;권대근;김진수;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398-403
    • /
    • 2012
  • Purpose: Mandible resection and discontinuity defect created lead to aesthetic and functional problems. The iliac crest bone graft exhibits relative ease for bone harvesting, possibility of two team approach, ability to close the wound primarily, large amount of corticocancellous bone and relatively few complications. Whereas the use of free vascularized flaps has donor site morbidity and worse-fitting bone contour, the use of nonvascularized iliac bone graft has advantages in the operation time and patients' recovery time. So, nonvascularized iliac bone graft could be an attractive option. Methods: Twenty-one patients (M:F=1:1.1) underwent iliac crest bone harvesting for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iscontinuity defect (mean length : $61.6{\pm}17.8$ mm), from May 2005 to October 2011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average age was $44.1{\pm}16.4$ years and the mean follow up periods was $28.2{\pm}22.7$ months. Bone resorption rate, according to age, sex, primary lesion, location and distance of defect, type of fixation plate, time of graft and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were measured in each patient. Results: The mean bone resorption rate was $16.1{\pm}9.0%$. Bone resorption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mandibular defect that is over 6 cm in size (P=0.015, P<0.05) and the cases treated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P=0.017, P<0.05). All was successfully fixed and maintained for the long-term follow-up. There were a few donor site complications and almost all patients were shown favorable outcome without severe bone resorption in this study. Conclusion: The nonvascularized iliac bone graft seems to be a reasonably reliable treatment option for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iscontinuity de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