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uric acid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5초

고온성 세균의 $\beta$-Galactosidase에 관한 연구 ( I ) - 분리고온균의 생리적 특성 - (Studies on the $\beta$-Galactosidase from Thermphilic Bacterium -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Thermophile -)

  • 이종수;오만진;이석건;김찬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3
    • /
    • 1983
  • 고온균의 생리적 특성자 내열기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온천토양에서 $\beta$-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고온균을 분리하여 동정하고 몇가지 주요한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였으며 그의 균체 지방산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beta$-galactosidase를 생산하는 공시균주는 Thermus sp. 으로 동정되었다. 2. 분리선정한 균주의 최적 생육온도는 $65^{\circ}C$이었고, 37$^{\circ}C$에서 생육하지 않는 절대고온균 이었으며 최적pH는 6.5내외이었고 pH에 민감하였다. 3. NaCl에 대한 내성은 NaCl 1% 이상에서는 생육하지 못했다. 4.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은 penicillin G는 10$\mu\textrm{g}$/$m\ell$, chloramphenicol은 0.5$\mu\textrm{g}$/$m\ell$ 이었다. 5. Vitamin 요구성은 Ca-pantothenate와 pyridoxine-HCI를 절대적 생육인자로 요구하였고niacin을 자극적 생육인자로 요구하였다. 6. 공시균주의 균체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60.20%, lauric acid 11.80%, myristic acid 7.56%. behenic acid 4.25%, Capric acid 1.77%, stearic acid 2.13%, arachidic acid 1.53% 이었다.

  • PDF

β-galactosidase를 생성하는 고온성(高溫性) 세균(細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β-galactosidase Producing Thermophilic Bacterium)

  • 이종수;김찬조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377-386
    • /
    • 1982
  • 고온균(高溫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과 내열기구(耐熱機構)에 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온천토양(溫泉土壤)에서 ${\beta}$-galactosidase를 생산(生産)하는 고온균(高溫菌)을 분리(分離)하여 동정(同定)하고, 몇가지 주요(主要)한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하였으며, 그의 균체지방산(菌體脂肪酸) 조성(組成)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beta}$-galactosidase를 생산(生産)하는 공시(供試) 균주(菌株)는 Thermus속(屬)으로 동정(同定)되었다. 2. 분리선정(分離選定)한 균주(菌株)의 최적(最適) 생육온도(生育溫度)는 $65^{\circ}C$이었고, $37^{\circ}C$에서 생육(生育)하지 않는 절대(絶對) 고온균(高溫菌)이었으며 최적(最適) pH는 6.5내외(內外)이었다. 3. NaCl에 대(對)한 내성(耐性)은 NaCl 1% 이상(以上)에서 생육(生育)하지 못했다. 4. 공시균주(供試菌株)의 항생물질(抗生物質) 내성(耐性)은 Penicillin G는 $10{\mu}g/m{\ell}$, Chloramphenicol은 $0.5{\mu}g/m{\ell}$이었다. 5. Vitamin 요구성(要求性)은 Ca-pantothenate와 pyridoxine-HCl을 절대적(絶對的) 생육인자(生育因子)로 요구(要求)하였고 niacin을 자극적(刺戟的) 생육인자(生育因子)로 요구(要求)하였다. 6. 공시균주(供試菌株)는 최대(最大) 흡수파장(吸收波長)이 420nm 부근(附近)의 색소(色素)를 생성(生成)하였고 그의 생성능(生成能)은 약(弱)하였다. 7. 공시균주(供試菌株)의 균체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palmitic acid 60.20%, lauric acid 11.80%, myristic acid 7.56%, behenic acid 4.25%, capric acid 1.77%, stearic acid 2.13%, arachidic acid 1.53%이었다.

  • PDF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 et Zucc.) 열매의 지질 및 향기성분 분석 (Analyses of Lipid and Volatile Components in Juniper Seed(Juniperus rigida Sieb. et Zucc.))

  • 신원선;하재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5-800
    • /
    • 2003
  • 우리 나라의 해안지역 및 전국의 산야에 분포하고 있는 노간주나무는 예로부터 열수추출하거나, 알코올로 추출하여 민간요법에 이용해온 예는 다수 있으나, 현재에는 그 이용여부가 보고된 바 없다. 노간주나무의 잎 및 열매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간주나무의 잎과 열매의 지질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굴절률, 산가, 검화가, 요오드화가, 인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노간주나무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경우, 산가는 91.04, 요오드가는 133.60, 굴절률은 1.4724, 검화가는 82.38, 불검화가는 15.52, 인 함량은 11.02 ppm이었다. 열매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8월에 채취한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에서는 중쇄 지방산인 lauric acid 및 caprylic acid 등이 약 50% 정도 차지하고 있었으나, 열매의 성수기에 접어드는 10월에 채취한 시료에는 전체 지방함량중 linoleic acid가 47.64%, linolenic acid가 17.55%, oleic acid가 16.05%, palmitic acid가 11.19%의 순으로 계절에 따른 지방산의 분포 및 조성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간주나무의 열매로부터 SPME를 이용하여 추출한 정유성분의 휘발성성분의 조성을 GC-MSD로 분석한 결과, 주된 향기성분은 $\beta$-myrcene, $\alpha$-pinene, $\beta$-farnesene, $\beta$-cubebene, limonene 등이었으며, transcaryophyllene, $\alpha$-terpinolene 등과 camphene, sabinene, $\beta$-pinene, ${\gamma}$-terpinene, 1,4-terpineol, $\alpha$-fenchyl acetate, 2-undecanone, neryl acetate, jupinene, $\delta$-cadinene, germa acrene, farnesol 등이 검출되었고 원자방출검출기 (AE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특이적인 황화합물 및 질소화합물 등이 검출되지 않았다.

방아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sition of Bangah(Agastache rugosa O. Kuntze) Herb)

  • 안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5-378
    • /
    • 1991
  • 방아의 단백질 함량은 부위별로 볼 때 잎에서 14.90%로 가장 높았고 꽃대에는 10.63%, 줄기에서는 3.83%로 부위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지방함량은 $5.25{\sim}7.74%$의 범위로 부위별 함량이 비슷하였다. 회분은 잎과 꽃대에 각각 8.43%와 7.71%로 비슷하였으나 줄기에서는 1.42%로 현저히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당은 잎과 꽃대에서 각각 27.53%와 14.86%으로 함유되었고, 환원당은 각각 11.80%와 2.75%의 함량으로 부위에 따라 차이를 보이었다. 지방산은 각 부위에서 총 15종이 동정되었으며 그 중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lauric acid, linoleic acid 등이 주된 성분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잎과 꽃대에는 linolenic acid 함량이 각각 35.45%와 52.77%로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은 잎과 꽃대에서 17종이 동정되었으며 tryptophan을 제외한 7종의 필수아미노산이 분포되어 있었고, 각 아미노산 함량별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등의 순으로 높게 함유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이 잎과 꽃대에서 각각 37.82%와 33.49%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잎에서 histid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및 alanine 등의 순으로 높게 함유되었으며 꽃대에는 serine, histidine, proline, glutamic acid, arginine 및 aspartic acid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의 조성은 Ca과 Fe를 제외한 Zn, K, Na, Mg, Cu 및 Mn 등이 줄기에 비하여 잎과 꽃대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 Novel Lipopolysaccharide Biosurfactant from Klebsiella oxitoca

  • Kim, Pil;Kim, Jung-Hoe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6호
    • /
    • pp.494-499
    • /
    • 2005
  • The chemical, physical, and emulsifying properties of BSF-1, which is an extracellular lipopolysaccharide biosurfactant produced by Klebsiella oxytoca strain BSF-1, were studied. BSF-1 was found to be composed mainly of carbohydrate and fatty acids.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1,700{\sim}2,000 kDa$. The polysaccharide fraction contained L-rhamnose, D-galactose, D-glucose, and D-glucuronic acid at a molar ratio of 3:1: 1:1. The fatty acid content was 1.1 % (w/w) and consisted mainly of palmitic acid (C16:0), 3-hydroxylauric acid (3-OH-C12:0), and lauric acid (C12:0). In terms of thermal properties, BSF-1 was revealed to have inter- and intra-molecular hydrogen bonds. The hydrodynamic volume (intrinsic viscosity) of BSF-1 was 22.8dL/g. BSF-1 could be maintained as a stable emulsion for 48 h through a low-level reduction in surface tension. The optimal emulsification temperature was $30^{\circ}C$. Emulsification by BSF-1 was efficient at both acidic and neutral pH values.

야콘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 김아라;이재준;정해옥;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8
    • /
    • 2010
  • 야콘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야콘 분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야콘 분말의 일반성분은 건물량(dry matter basis)을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3.53%, 조단백질 1.13%, 조지방 0.40%, 조회분 0.79%, 식이섬유소 1.63% 및 탄수화물 92.52%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fructose가 1320.84 mg/l로 가장 많았고 glucose가 1283.70 mg/l 검출되어 총 2종이 검출되었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123.12 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proline, arginine, alanine, valine, histidine, lysine순이었다.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lauric acid 2종류의 지방산만 각각 51.72%와 48.28%로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oxalic acid가 2519.29 mg/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benzoic acid 1895.17 mg/l, formic acid 247.84 mg/l 순이었다. 비타민 A, C 및 E의 함량은 각각 0.057 mg%, 0.670 mg% 및 0.001 mg%로 검출되었으며, 무기질은 총 5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 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Na, Ca, Mg 순이었고 Zn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야콘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Rancimat으로 측정한 항산화지수는 pH 1.2 조건에서 분획 중 ethylacetate 분획이 1.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 1.83에 비해서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ethylacetate 분획이 49.82%로 분획 중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으나, 양성대조군인 BHT의 75.29%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야콘은 체내 신진대사와 생리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양소들이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야콘의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이용화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해 본다.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Snail (Semisulcospira gottschei)

  • Lee Sang-Min;Kim Kyoung-Duck;Lim Tae-Jun;Bang In Chu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3호
    • /
    • pp.165-171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survival, growth anc body composition of snail (Semisu1cospira gottschei). Three replicate groups of snail (average weighing 152mg) were fed the diets containing different lipid sources such as lauric acid (LA), squid liver oil (SO), linseed oil (LO), corn oil (CO), SO+ LO, SO+CO, LO+CO and SO+LO+CO for 8 weeks.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dietary lipid sources (p>0.05). Weight gain of snail fed the SO, SO+LO and SO+LO+CO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nail fed the LA and LO diets (P<0.05), and the lowest weight gain was observed in snail fed the LA diet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rude lipid content of edible portion in snail fed the different diets (P>0.005). Contents of 12:0, 18:2n­6, 18:3n-3 and 20:5n-3 from snail fed the LA, CO, LO and SO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snail fed the other diets, respectively (p<0.05). The highest 22:6n-3 content was observed in snail fed the SO+ LO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nail fed the SO, SO+CO and SO+LO+CO diets (p>0.05). The n-6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20:4n-6 and 22:4n-6 contents of snail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lipid sources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quid liver oil and mixture of squid liver oil and linseed and/or corn oil are good dietary lipid sources for the normal growth of snail. However lauric acid may not be a good lipid source for snail diet.

지방산과 $CaCl_{2}$ 처리에 의한 알긴산 필름의 수분저항성 증진 (Increase in Moisture Barrier Properties of Alginate-based Films by Composting with Fatty Acids and $CaCl_{2}$ Treatment)

  • 임종환;김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32-439
    • /
    • 2004
  • 알긴산 필름의 수분저항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방산 (lauric, palmitic, stearic, oleic acid)과 복합필름을 제조하고 $CaCl_{2}$용액으로 처리하고, 이들의 처리 효과를 필름의 두께, 표면색, 미세구조, 인장강도, 신장률, 투습도, 수분용해도 및 등온 흡습곡선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알긴산 필름은 지방산과의 복합필름을 형성하거나 $CaCl_{2}$ 처리를 하므로 필름의 미세구조가 크게 변하였다. 필름의 인장강도는 사용한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25-70% 정도 감소하였으나, $CaCl_{2}$ 처리에 의해 1.5-2배 증가하였다. 필름의 신장률은 두 가지의 처리에 의해 모두 감소하였다. 투습도는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를 제외하고는 지방산과 복합필름을 제조하므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수분용해도 역시 두 가지 처리에 의해 모두 감소하였는데, stearic acid의 경우는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하여 사용하므로 수분용해도가 약 30배 정도까지 감소하였다. 모든 알긴산 필름의 등온흡습곡선은 전형적인 두 단계의 변화 양상을 나타냈으며, 그 전환점은 수분활성도 0.75의 범위였다. 등온흡습곡선과 단분자층 수분함량의 결과는 $CaCl_{2}$ 처리에 의해 필름의 친수성이 감소하였음을 나타냈다.

Chemical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Endotoxin from Vibrio vulnificus

  • Lee, Bong-H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27-29
    • /
    • 2001
  • Vibrio vulnificus endotoxin was extracted, analyzed the chemical composition, tested its biological activity, and compared to those of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 major fatty acid of three endotoxins were different each other; V. vulnificus endotoxins were different each other; V. vulnificus endotoxin was myristric acid (C14:0), E. coli was lauric acid (C12:0), S. typhimurium was capric acid (C10:0).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V. vulnificus endotoxin were similar to those of E. coli and S. typhimurium in terms of the gelation activity of the Limulus amebocyte lysate and the lethal toxicity. But the result of enzyme (AST, ALT, and LDH) analysis showed that the enzyme activity of V. vulnificus endotoxin was similar to that of E. coli, but smaller than that of S. typimurium.

  • PDF

외부자극에 대한 포화지방산의 물성평가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aturated Fatty Acids for External Stimulus)

  • 조완제;구창권;송경호;박태곤;박근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2
    • /
    • 1998
  • The structural changes of molecules on the water surface were measured by displacement currents and $\pi$-A isotherm. By using a theoretical equations we calculated charges($\Delta$Q) and dipole moment( $m_{z}$) of saturated fatty acids( $C_{12}$, $C_{14}$, $C_{16}$). The dynamic behavior of saturated fatty acid monolayers at the air/water interface was investigated using a displacement current-measuring technique coupled with the so called Langmuir film technique and also the dipole moment of the acids was determined.as determined.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