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x coated ure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논에서 물과 양분관리에 따른 메탄CH4), 아산화질소(N2O)배출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by Management of Water and Nutrient in a Rice Paddy Soil)

  • 김건엽;박상일;송범헌;신용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6-143
    • /
    • 2002
  • 물관리방법을 달리한 상시담수와 간단관개에서 메탄과 아산화질소의 배출 양상과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물원 및 질소비료 시용에 따른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을 비교하고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관리 방법으로는 상시담수 (이앙$\sim$출수 35일까지 담수)와 이앙 35일 이후 중간낙수한 간단관개 (중간낙수기간 20일), 그리고 시비방법으로는 토양을 검정한 시비량인 토양검정, 토양 검정시비량+볏짚, 돈분액비, LCU 완효성비료, 그리고 N을 시용하지 않은 대조구 등을 처리하여 메탄 및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측정하였다. 메탄 배출량은 간단관개보다 상시담수께서 높았고,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이와 반대로 나타났다. 유기물과 비료시용 종류에 따른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액비와 검정시비+볏짚시용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LCU 완효성비료구에서 가장 낮았다. 지구온난화잠재력으로 환산한 온실가스 배출은 물관리 조건에서 상시담수가 간단관개보다 170$\sim$208% 높았으며, 요소를 시용하고 상시담수를 기준 한 것과 간단관개로 물관리하여 각 처리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을 비교하면, 요소는 41.4%, LCU 완효성비료 55.8%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료이용효율은 LCU 완효성비료, 액비>검정시비+볏짚>검정시비 순이었다.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피복요소 시용에 따른 암모니아 휘산 (Ammonia Volatilization from Coated Urea in Paddy Soil of Direct Seeding Rice Culture)

  • 이동욱;박기도;박창영;전원태;손일수;박성태;이석순;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28-333
    • /
    • 2005
  • 영남지역 식질논에서 벼를 건답직파하여 재배하면서 완효성질소비료인 LCU를 표준시비량의 80%와 100% 수준으로 시용시 관행 요소 대비 암모니아 휘산의 경감효과를 검토하였다. 토양 $NH_4-N$ 농도는 파종 후 45일경에 가장 높았는데 LCU 처리구에서는 $92-100mg\;kg^{-1}$, 요소 시용구에서는 $73mg\;kg^{-1}$였으며, 전 생육기간동안 요소 시용에 비해 LCU 처리구가 높았다. 토양 $NO_3-N$의 농도는 모든 처리에서 파종 후 10일경에 가장 높았는데 LCU 처리구는 $30-33mg\;kg^{-1}$, 요소 시 용구는 $27mg\;kg^{-1}$였고, 건답기간동안 높게 유지되다가 담수 후 낮아져 파종 후 80일경 이후에는 모든 처리에서 $1-2mg\;kg^{-1}$로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표면수의 $NH_4-N$ 농도는 요소시용구에서는 추비 후 $NH_4-N$ 농도가 $8-10mg\;L^{-1}$로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으나, LCU 처리구에서는 생육기간동안 $1mg\;L^{-1}$이하였다. 표면수의 pH는 담수 후 생육기간동안 요소 및 LCU 처리에서 7.5-8.3 였으나 요수구의 pH가 다소 높게 유지되었다. 요소 시용구에서의 암모니아 휘산량은 추비 시용 후 급격히 증가하였고, 시비질소에 대한 총 휘산량은 $8.7-11.8kg\;N\;ha^{-1}$ 이었다. 한편 LCU 시용에 따른 암모니아 휘산량은 LCU의 시비량에 관계없이 $2.4-3.0kg\;N\;ha^{-1}$였으며, 연차간의 변이도 요소에 비해 매우 적었다. 따라서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LCU 시용시 암모니아 휘산량은 요소 시용에 비해 72-76% 경감되었다.

염해답(鹽害畓)에서 벼 무논골뿌림재배시(栽培時)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및 분시방법(分施方法)에 따른 생육(生育)과 수량성(收量性) (Growth and Yield of Rice as Affected by Nitrogen Level and Split-Application Method in the Puddled Drill Seeding in Tidal Land Paddy Field)

  • 신복우;유철현;최송열;정지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64-269
    • /
    • 1996
  • 본 연구는 염해답(鹽害畓)에서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栽培時) 질소(窒素) 시비량(施肥量)과 질소(窒素) 분시방법(分施方法)에 의한 시비효율(施肥效率)과 수량성(收量性)을 구명하고자 계화도(界火島) 간척지(干拓地)의 세사양토(細砂壤土)인 문포통(文浦統)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NH_4-N$의 함량(含量)은 질소(窒素) 시비량(施肥量)이 많을수록, 질소(窒素) 분시방법별(分施方法別)로는 단비(單肥)(요소(尿素))시용(施用)보다 완효성(緩效性) 복비(複肥)(LCU) 시용구(施用區)에서 높았으며 최고분습기(最高分襲期)에 가장 높았다. 2. 질소(窒素) 이용률(利用率)은 질소(窒素) 시비량(施肥量)이 적을수록 높았으나 시비효율(施肥效率)은 200kg/ha에서 높았으며 분시방법별(分施方法別)로는 단비(單肥)(요소(尿素)) 시비량(施肥量)의 30% 감비(減肥)한 완효성복(緩效性複)(LCU) 시용구(施用區)에서 높았다. 3. 질소(窒素) 시비량별(施肥量別) 쌀 수량(收量)은 질소(窒素) 200kg/ha시용(施用)에서 3.83ton/ha로 가장 많았으며, 질소(窒素) 분시방법간(分施方法間) 쌀 수량(收量)은 관행시비량(慣行施肥量)의 30% 감비(減肥)한 완효성복비(緩效性複肥) 70% 전량(全量) 기비(基肥) 시용구(施用區)에서 3.24ton/ha으로 가장 많았다. 4. 사열(砂裂) 염해답(鹽害畓)에서 무논골뿌림 직반재배시(直潘栽培時) 질소(窒素) 적정(適正) 시비량(施肥量)은 ha당(當) 요소(尿素) 222kg이었다.

  • PDF

Seedling Growth and Yield of Rice as Applying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s Mixed with Seed Bed Soil in Seedling Box

  • Lee, Suk-Soon;Lee, Dong-Wo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89-295
    • /
    • 2001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level of slow release N fertilizers when total amounts of nitrogen required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in paddy were applied in the soil of seedling box. To evaluate the emergence rate and growth of rice seedlings, five levels of Meister (MS) 10, MS S10, and latex coated urea (LCU) which are equivalent to 0, 40, 60, 80, and 100kg N h $a^{-l}$ were mixed in soil of the seedling box. Emergence rate differed depending on the fertilizers and N levels; in MS 10 plots the emergence rate was 40.8% at 40kg N h $a^{-l}$ and no seedlings were emerged at the higher levels, in MS S10 plots higher than 80% at all the N levels, and decreased with the N levels from 70.0% at 40 kg N h $a^{-l}$ to 59.5% at 100kg N h $a^{-l}$ of LCU. Seedling started to wilt at 40 kg N h $a^{-l}$ of MS 10 and 80 and 100 kg N h $a^{-l}$ N of LCU on the 8th day after sowing, while seedling growth was normal at all the levels of MS S10. Field performance of rice was evaluated at the 0, 30, 60, 90, 120kg N h $a^{-l}$ of MS S10 applied in the soil of seedling box and N was not applied in paddy. Grain yield at 90 and 120kg N h $a^{-l}$ of MS S10 was similar to conventional urea split application (120 kg N h $a^{-l}$), but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30 and 60kg N h $a^{-l}$ of MS S10. Fertilizer N recovery decreased with N levels and the N recovery at 90 kg N h $a^{-l}$ of MS S10 and conventional urea split application were 62.2 % and 44.2%, respectively, with similar grain yield. The optimum level of MS S10 to be applied in seedling box seems to be about 90 kg N h $a^{-l}$ considering grain yield, price of fertilizer, labor applying fertilizer, and fertilizer N recovery.d fertilizer N recovery.

  • PDF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완효성비료 효과 (Effect of Latex Coated Urea on Growth and Yield in Rige Direct Dry Seeding for Water-saving Rice Culture)

  • 최원영;최민규;김상수;이재길;이문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1-225
    • /
    • 2002
  • 본 연구는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매시 완효성비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소비료를 표준시비(N-160kg/ha) 대비 완효성비료(LCU: 18-12-13%)를 기비로 100%와 80% 시용구 및 기비로 60% 시용하고 속효성비료인 요소로 분얼비 또는 수비로 20%씩 각각 시용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간중 지상부 생육은 LCU 100%에서 가장 컸고, LCU 시비량간에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컸다. 2. 시비질소의 흡수량은 LCU 100%에서 가장 높았고 질소 시비효율은 LCU 60% + 수비(요소) 20%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3. 처리간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m^2$당 수수와 $m^2$당 립수는 LCU 100%에서 가장 많았고, 등숙비율과 현미 천립중은 비슷하였는데, 쌀 수량은 관행인 속효성 시비구 대비 LCU 100%에서 7%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휴립건담직파재배에서 관개수 부족시 절수재배가 필요하여 이때에 완효성비료로 시비할 경우 표준시비량(N-160kg/ha) 수준으로 시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벼 종이멀칭이앙 시 완효성비료 수준이 벼 생육, 잡초방제 및 질소효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trolled-release Fertilizer Levels on Rice Growth, Weed Control and Nitrogen Efficiency in Paper Mulching Transplanting)

  • 전원태;양원하;노석원;김민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45-350
    • /
    • 2006
  • 본 시험은 벼 종이멀칭이앙 시 적정한 완효성비료의 시용량을 구명하고자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작물과학원 벼 연구 포장 강서통에서 대안벼를 2004년 5월 28일에 중묘를 멀칭기계 이앙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완효성비료는 LCU (Latex Coated Urea, 21-7-9) 복비를 시용하였다. 피복재료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PES $10{\mu}m$)+재생지를 이용하여 피복하였다. 처리내용은 관행질소시비량 ($110kg\;ha^{-1}$)을 기준으로 하여 완효성비료호 기준시비량의 60%, 80%구, 100%구와 관행 및 무질소구를 두고 시험을 수행하였다. 벼 멀칭이앙 시 모의 결주율은 무피복의 관행이앙과 차이가 없었다. 잡초발생 및 방제가는 시비량이 적을수록 잡초가 다양해지고 잡초방제가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벼 이앙 후 일수가 진전됨에 따라서 시비량이 많을수록 초장와 경수가 크거나 많아지는 경향이었고 완효성비료 80%구의 벼 생육이 관행시비구와 차이가 없는 경향이었다. 엽색도와 토양 중 $NH_4{^+}-N$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수량구성요소 중 $m^2$당 이삭수의 증가로 인하여 완효성비료 80%구가 관행과 수량 차이가 없었다. 농업적 질소이용 효율은 시비량이 적을수록 증가하였다. 벼 종이멀칭이앙 시 벼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잡초발생 및 방제가, 시비효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관행질소 시비량의 80%를 완효성비료로 이앙 전에 밑거름으로 전층시비 하는 것이 알맞을 것으로 생각된다.

종이멀칭 이앙재배 시 유기물원에 따른 토양산화환원전위, 잡초방제 및 벼 생육특성 변화 (Changes of Soil Redox Potential, Weed Control and Rice Growth in Paddy on Paper Mulching Transplanting by Organic Matter Application)

  • 전원태;양원하;노석원;김민태;성기영;이종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95-500
    • /
    • 2007
  • 본 시험은 벼 종이멀칭이앙 시 유기물원 및 유기물원과 완효성비료 조합 시 벼 생육, 잡초방제,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경기도 수원에 소재하는 작물과학원 벼시험포장 강서통에서 대안벼를 2004년 5월 28일에 중묘를 종이멀칭기계 이앙하였다. 시용한 유기물원은 퇴비, 볏짚 및 청예호밀을 투입하였다. 시용한 퇴비의 생중은 $10,000kg\;ha^{-1}$이고 C/N율은 17.5, 볏짚의 생중은 $10,000kg\;ha^{-1}$이고 C/N율은 44.2, 청예호밀은 생초중 $11,380kg\;ha^{-1}$이고 C/N율은 42.6이었다. 완효성 비료와 유기물원과 혼합 시 완효성비료의 시용량은 관행질소 시비량의 80%를 기준으로 하여 시용하였다. 완효성비료의 비종은 LCU (Latex Coated Urea, 21-7-9)복비를 시용하였다. 피복재료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PES $10{\mu}m$)+재생지를 이용하여 피복하였다. 유기물 시용 후 벼 종이멀칭이앙 시모의 결주율은 관행이앙과 큰 차이가 없었다. 잡초발생 및 방제가는 호밀이 투입된 구에서 잡초발생이 적었고 방제가도 높은 경향이었다. 주요시기별 토양의 산화환원전위는 볏짚+완효성 비료 80%구가 분얼기에 가장 낮았다. 볏짚과 퇴비 단용구는 유수형성기까지 산화환원전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주요시기별 토양 중 $NH_4{^+}-N$는 분얼기에는 청예호밀+완효성 80%구가 가장 높았고 퇴비시용구에서 유수형성기까지 용출이 되는 경향이었다. 벼 수량은 청예호밀+완효성 80%구와 퇴비+완효성 80%구가 관행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볏짚+완효성 80%구는 수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토양물리성개선(土壤物理性改善) 및 진단시비(診斷施肥)가 무논골뿌림직파(直播) 벼의 질소이용효율(窒素利用效率)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mprovement of Soil Physical Property & Diagnostic Fertilization on Yield and N-Use Efficiency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of Rice)

  • 강승원;유철현;한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4-260
    • /
    • 1999
  • 본 연구(硏究)는 호남평야지(湖南平野池) 논토양(土壤)의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벼 무논골뿌림직파물리성개선(直播物理性改善) 및 진단시비(診斷施肥)에 의한 쌀 안정(安定) 증수방법(增收方法)을 구명(究明)하고자 관행(慣行), 진단시비(診斷施肥), 진단시비(診斷施肥)+심경(深耕), 심토파쇄(心土破碎), 진단시비(診斷施肥)(LCU80%) + 심토파쇄(深土破碎), 무질소구(無窒素區) 등(等) 6처리(處理)로 하여 2년간(年間)('97~'98)에 걸쳐 검토(檢討)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심경(深耕) 및 심토파쇄시(心土破碎時) 관행(慣行)에 비하여 경도(硬度), 용적밀도(容積密度)가 낮아지고 공극률(孔隙率)이 증가(增加)하여 물리성(物理性) 개선효과(改善效果)가 현저하였으며 화학성분중(化學成分中) 유기물(有機物), 인산(燐酸), 가리함량(加里含量)이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토양중(土壤中) $NH_4-N$ 용출량(溶出量)은 관행대비(慣行對比) 진단시비(診斷施肥) + 사양물리성개선구(士壤物理性改善區)에서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며,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흡수량(吸收量)과 이용률(利用率)은 진단시비(診斷施肥)(LCU80% 전량기비(全量基肥))+심토파쇄구(心土破碎區)에서 가장 많았으며 엽색(葉色)과 경엽중(莖葉中) 질소농도(窒素濃度)는 관행(慣行)에 비하여 진단시비(診斷施肥)+토양특리성개선구(土壤特理性改善區)에서 최고분벽기(最高分蘗期)부터 출수기(出穗期)기까지 높았으며 이들 상호간(相互間)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쌀수량(收量)은 관행(慣行)보다 진단시비(診斷施肥) 6%, 진단시비(診斷施肥) + 심경구(深耕區) 18%가 증수(增收)하였으나 진단시비(診斷施肥)(LCU80% 전량기비(全量基肥))+심토파쇄구(心土破碎區)에서 23%가 증수(增收)되었고 시비효율(施肥效率)도 가장 높았다.

  • PDF

벼 담수표면 직파재배시 진단시비와 심토파쇄가 토양이화학성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agnostic Fertilization and Subsoil Breaking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Direct Seeding of Rice on Flooded Paddy Surface)

  • 류철현;유진희;양창휴;김택겸;강승원;김재덕;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34-338
    • /
    • 2006
  • 호남평야지 논토양의 대표토양인 전북통에서 벼 담 수직파재배시 토양물리성 개선과 진단시비로 쌀 안정생산을 위한 토양관리기술을 확립하고자 관행, 진단시비, 진단시비+퇴비+규산, 진단시비(LCU 70%)+심경, 진단시비(LCU 70%)+심토파쇄, 무질소구 등 6처리를 하여 2년간(1999~2000)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후 심토에서 물리성은 관행에 비하여 경도, 용적밀도, 고상이 낮아지고 공극률이 증가되었으며 그 정도는 심토파쇄>심경 순으로 양호하였다.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은 관행에 비하여 진단시비구, 완효성비료(LCU 70%) 시용 및 토양물리성 개선구에서 유기물함량, 규산함량 등이 증가하였다. 시비질소의 토양중 $NH_4-N$ 농도는 5엽기까지는 심경구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으며 관행 대비 LCU 70% 시용구에서 성숙기까지 발현량이 많았다. 시비질소의 흡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진단시비(LCU 70%)+심경, 심토파쇄구에서 많았고 질소이용률도 높았다. 쌀수량은 관행($5.22Mg\;ha^{-1}$)대비 진단시비(LCU 70%)+심토파쇄구에서 8%, 진단시비(LCU 70%)+심경구에서 4% 증수되었으며, 증수요인은 $m^2$당 입수가 많고 등숙률이 높았던 것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호남평야지에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완효성 질소비료 시비량 (Recommendation Rate of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for Early Dry Seeding Culture of Rice in Honam Plain Area)

  • 김상수;최원영;백남현;최민규;박홍규;남정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92-297
    • /
    • 2006
  • 호남평야지에서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완효성복합비료 시용량을 구명하고자 '97~'98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의 암모니아태 질소는 유수형성기까지는 관행시비보다 모든 완효성비료 시비에서 많았고 완효성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많았으나 출수기에는 이삭거름시용으로 관행시비가 완효성비료보다 많았다. 초장은 최고 분얼기까지는 관행시비보다 완효성비료시비에서 길었으나 간장은 완효성비료 100%시용을 제외하고는 관행시비와 같거나 짧았다. 경수와 수수는 모든 생육시기에서 관행시비보다 완효성비료시용에서 많았고 완효성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많았으나 유효경비율은 정수 및 수수와 반대의 경향이었다. 질소 이용율은 관행시비보다 완효성비료시용에서 높았고 완효성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단위면적당 입수는 관행시비보다 완효성비료를 증시할수록 많았으나 현미 천립중은 단위면적당 입수와 반대의 경향이었다. 쌀 수량은 완효성비료 60% 시비는 관행시비와 차이가 없었으나 완효성비료 80%이상에서는 관행시비보다 증수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질소이용율, 생육, 도복 및 수량을 고려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 재배에 알맞은 완효성비료 전층시비량은 질소관행 시비량의 80%정도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