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meniscu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17초

슬관절의 해부학과 신체 검진법 (Anatomy and Physical Examinations of the Knee)

  • 유재호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0-57
    • /
    • 2008
  • 구조물에 대한 체계적 이해인 해부학과 그 역할에 대한 기능적 확인이라고 할 수 있는 신체 검진법은 슬관절을 진료하는 임상의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소양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슬관절의 골성 구조, 반월상 연골, 전후방 십자 인대, 내외측 측부 인대, 근육, 내측 및 외측 삼층 구조 개념, 전후방 해부학, 슬관절 주위 점액낭에 대한 해부학 및 반월상 연골, 내외측 측부 인대, 전방 십자 인대, 후방 십자 인대 및 후측방 구조물에 대한 신체 검사에 대해 기술하였다. 해부학 및 신체 검진법에 대한 개념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는 슬관절을 치료하는 임상의에게 나침반과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외측 반월상 연골 변연부 파열 봉합 후 초음파 추적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Ultrasonographic Follow Up Study After Repair of Peripheral Lateral Meniscal Tear)

  • 김정만;임동선;김태형;신은수;문영석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5-19
    • /
    • 2011
  • 목적: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봉합 후 추적 검사 방법으로서의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중 변연부 파열이 있어 봉합술을 시행했던 경우 중 1년 이상(1~2.5년) 추시가 가능하였던 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10예, 여성 4예 이었으며, 평균나이는 36.1세(19~53세)이었다. 수술 후 6주, 3개월, 6개월, 1년에 외래에 방문하여 수술한 슬관절에 대한 신체 검사와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와 임상적 치유 상태가 일치하는 정도를 보았다. 결과: 3예에서 추시 기간 중 초기인 6주, 3개월에 신체 검사 상 관절선 압통이나 부종 등이 있었으나 이후 추시에서는 사라졌고, 모든 추시 기간 실시한 초음파 검사에서는 전례에서 봉합부위가 치유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외측 반월상 연골 변연부 파열 봉합술 후 초음파 검사는 치유 상태를 판단함에 있어 비용과 편의성에 있어 유용한 검사라고 생각된다.

  • PDF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중장기 추시 결과 (Mid to Long - Term Results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전철홍;권석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5
    • /
    • 2009
  • 목적: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 후 중.장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신선 동결 동종 연골판을 이식한 24명 환자, 2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측 반월상 연골판 19례, 내측 반월상 연골판 6례였다. 평균 연령은 33.6세 (17~50세)였으며, 추시 관찰은 평균 54.8개월 (6~116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 사진에 mm 표시된 전.후방 사진을 얻어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외측 반월상 연골판은 열쇠 구멍 고정 방법으로(Key hole method) 고정하였으며, 내측 반월상 연골판은 양 골 조각 고정술(double bone plug) 방법으로 고정하였다. 전례에서 KASS (knee assessment scoring system)과 Lysholm knee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고 Tegner activity scale을 이용하여 스포츠 회복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술 전 증상은 호전되었다. KASS score는 술 전 평균 61.7점(34~80점)에서 술 후 평균 83.8점(61~95점)으로 호전되었으며, Lysholm knee score는 술 전 평균 77.7점(48~79점)에서 술 후 평균 87.7점(63~97점)으로 향상되었다.(우수 3례, 양호 17례, 보통 4례, 불량 1례). 통증을 동반한 부종이 2례, 감각 이상 1례, 비흡수성 봉합사에 의한 육아종이 1례 발생하였다. 총비골신경 마비가 1례 발생하였으나 술 후 6주에 회복이 되었다. 결론: 반월상 연골판 아전 또는 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은 동통을 완화시키고, 슬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술 전 정확한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 측정과 술 중 견고한 고정은 좋은 임상적 결과를 위한 중요한 인자로 사료된다.

  • PDF

경골 고평부 골절의 반월상 연골 파열 양상 (Characteristics of Meniscus Tear in Tibial Plateau Fractures)

  • 이동훈;김병국;김재화;정주환;이인성;이준구;이순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12
  •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은 슬관절에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관절경하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경골 고평부 골절을 진단 받은 39명의 환자 중 33명 환자를 대상으로 골절 고정 시내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Schatzker 분류에 따르면 1명의 I형(3.3%), 19명의 II형(53.3%), 4명의 III형(13.3%), 2명의 IV형(6.6%), 2명의 V형(6.6%), 5명의 VI형(20%) 소견을 보였다. 결과: 25명의 환자(75.8%)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Schatzker II형 환자 19명 중 18명의 환자(94.7%)가, Schatzker III형 환자 4명 중 3명의 환자(75%)가, Schatzker VI형 환자 5명 중 4명의 환자(80%)가 반월상 연골 파열 소견을 보였다. 반월상 연골 중 가장 많이 손상된 부분은 외측 연골의 전각부분이다(22/25). 25명의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변연부 수직 종파열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관절경하 봉합술을 시도할 수 있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 있어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파악 및 치료에 유용하며, 경골 고평부 골절환자에서 관절경을 권한다.

  • PDF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상연골 낭종의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for Meniscal Cyst)

  • 민병현;이원익;최승준;강신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1-146
    • /
    • 1998
  • Recent studies suggest that most meniscal cysts can be treated surgically by arthroscopic management of the meniscal tear and arthroscopic cyst evacuation. But arthroscopic cyst decompression may sacrifice a substantial amount of meniscal tissue that is not torn in order to expose the "stalk" of the cyst. Nowadays, the trend is changing as preserving the involved meniscus to prevent from inevitable degenerative changes after meniscectomy.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escribe a new surgical technique that minimizes loss of meniscal tissue in hopes of maximizing residual meniscal function. We experienced 10 patients with meniscal cysts that were consisted of four lateral cysts and six medial cysts. Menisci were torn in all cases.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decompression of cysts were performed in 9 cases, and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open cystectomy in 1 case. The procedures were consisted of injection of the methylene blue into the cyst, partial meniscectomy of the meniscal tear until the dye was seen in orifice of the cyst, and decompression of cyst through cystic opening. This article serve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orn menisci and cysts, to re-evaluate the occurrence ratio of the meniscal cyst on the medial to lateral meniscus, and to assess the efficacy of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decompression of cyst as a potentially meniscal sparing procedure.

  • PDF

정상견 무릎의 관절경 검사소견 (Arthroscopic Findings of the Canine Stifle Joint)

  • 정순욱;정월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00-308
    • /
    • 1999
  • Arthroscopy is a valuable diagnostic and operative tool in equine and human orthopedics. The arthroscope is a difficult instrument to use and requires patience, practice, and persistence in order to obtain good results. This technique was found to be less traumatic than arthrotomy, invasiveness, rapid recovery and the feasibility of surgically correcting many arthropathies. The use of the arthroscope in the dog provides a new dimension in the study and diagnosis of joint derangement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troduce the use of the arthroscope in the dog-more specifically, in the stifle of the dog. A diameter 2.7 mm fore-oblique viewing arthroscope, cold light source, video and video printer are used. With the fore-oblique viewing type it is possible to view directly as well as slightly to the side and the range of viewing can be increased by rotating the arthroscope around the object The scope is connected with a cold light source by means of a fiber-optic light guide. The stifle joint was flexed to 20~30$^{\circ}$. The joint were lavaged with lactated Ringer's solution during arthroscopic examination. Arthroscopy of the stifle was performed prior to arthrotomy in 1 dead dog and 4 healthy dogs, and other 3 dogs was performed only arthroscopic examination. In this study only the conventional approaches were used and in most cases it was possible to view all the intra-articular structures via the lateral infrapatellar approach. In the stifle joint, endoscopic observation was performed to find lateral femoral condyle, patella, medial femoral condyle, trochlear groove, tibia, fat, cranial cruciate ligament, caudal cruciate ligament lateral meniscus, tendon of long digital extensor muscle, medial meniscus, and medial collateral ligament Post-arthroscopic examination, the lameness had disappeared within 12~24 hours. Pain and swelling in the stifle joint had disappeared within 24~36 hours. Post-arthroscopic secondary infection was never encountered in the dogs. In conclusion, arthroscopic insertion technique in canine stifle joint using a diameter 2.7 mm 30$^{\circ}$ arthroscope was established and arthroscopical views of all anatomical structures in the normal stilfe joint were obtained through lateral infrapatellar portal.

  • PDF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의 임상적 결과 - 내측과 외측 및 동반 손상의 유무에 따른 비교 - (The Clinical Results of Meniscus Allograft Transplantation - Comparison between medial, Lateral, Isolated and Combined Procedure Groups -)

  • 조승목;윤경호;이정환;배대경;송상준;강창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8-33
    • /
    • 2009
  • 목적: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의 결과를 내측과 외측 및 동반손상 유무에 따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시행하고 1년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5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 이식군은 19례, 외측 이식군은 33례였고, 단독 손상군은 18례 동반 손상군은 34례였다. 평균나이는 34.2세(18세~51세) 평균 추시기간은 42.2개월(12개월~90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의 판정을 위하여 슬관절 운동범위, VAS 점수, IKDC 주관적 평가 점수, Lysholm 점수, Tegner 점수, 환자 만족도 및 이차 관절경 또는 추시 MRI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관절운동 범위는 130.3도 였다. VAS 점수는 수술 전 5.96점에서 3.05점으로, IKDC 주관적 평가 점수 46.5점에서 64.52점으로(p<0.001), Lysholm 점수는 61.94점에서 79.58점으로(p=0.0019) Tegner점수는 수술 전 2.97에서 3.62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수술의 만족도는 '매우만족', '대체로 만족'이라고 대답한경우가 61.5% 였다. 수술 후임상적 점수의 향상이 있었지만 내측과 외측 이식술 군간 그리고 단독 손상군과 동반 손상군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차 관절경을 시행한 18례중 10례에서 이식된 동종 반월상 연골의 변연부의 치유 소견이 관찰되었고 6례에서 부분파열이 2례에서는 복합 파열이 관찰되었다. 추시 MRI 촬영이 가능하였던 16례에서 아탈구는 12례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내측과 외측 이식군 간의 임상적 결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동반된 연골 손상이나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를 병행한 경우 동반손상의 유무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증상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 전각부의 비정상적 삽입 - 1예 보고 - (Symptomatic Abnormal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유재두;신상진;김태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5-49
    • /
    • 2007
  • 11세 여환의 증상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비정상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내원 4개월 전부터 지속된 좌측 슬관절의 동통을 주소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 받았으나, 치료에 반응이 없어 관절경 술식을 시행받았다. 관절경 소견상 환자의 내측 반월상 연골판 전각에서 기시하는 비정상적인 띠를 발견 할 수 있었으며, 이 띠는 전방십자인대 옆을 지나 대퇴골 과간 절흔으로 뻗어나가 대퇴골 내과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이 비정상적인 띠는 수술 전 시행한 슬관절 자기 공명 영상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관절경 시행시 발견되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술 시행 후 술 전 호소하던 증상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