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ligament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7초

Comminuted Radial Head Fracture in All-arthroscopic Repair of Elbow Fracture-dislocation: Is Partial Excision of the Radial Head an Acceptable Treatment Option?

  • Yang, Hee Seok;Kim, Jeong Woo;Lee, Sung Hyun;Yoo, Byung M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4호
    • /
    • pp.234-239
    • /
    • 2018
  • Background: In elbow fracture-dislocation, partial excision of the comminuted radial head fracture that is not amenable to fixation remains controversial considering the accompanying symptom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results of radial head partial excision when the comminuted radial head fracture involved <50% of the articular surface in all-arthroscopic repair of elbow fracture-dislocation. Method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condition of the radial head fracture. In Group A, the patients had a radial head comminuted fracture involving <50% of the articular surface, and underwent arthroscopic partial excision. Group B was the non-excision group comprising patients with stable and non-displacement fractures. Follow-up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at 6 weeks and at 3, 6, 12, and 24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In all, 19 patients (Group A: 11; Group B: 8)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enrolled in the study. At the final follow-up, all 19 patients showed complete resolution of elbow instabilit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ange of motion, visual analogue scale score, and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between groups. Radiological findings did not show any complications of the radiocapitellar joint. However, nonunion of the coracoid fracture was observed in 3 patients (Group A: 1; Group B: 2), without any accompanying instability and clinical symptoms.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the final outcome is coronoid fracture fixation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 complex repair for restoring elbow stability, arthroscopic partial excision for radial head comminuted fractures involving <50% of articular surface is an effective and acceptable treatment for elbow fracture-dislocation.

만성 발목 불안정성(CAI) 환자와 건강 대조군 간의 발목 관절 복합체 구조적 특징과 목말밑 관절 회전 축 기울기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nkle Joint Complex and Declination of the Subtalar Joint Rotation Axis between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Patients and Healthy Control)

  • Kim, Chang Young;Ryu, Ji Hye;Kang, Tae Kyu;Kim, Byong Hun;Lee, Sung Cheol;Lee, Sae Yong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1-70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lination of the subtalar joint rotation axis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nkle joint complex such as rear-foot angle alignment and ligament laxity test between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patients and healthy control. Method: A total of 76 subjects and CAI group (N=38, age: $23.11{\pm}7.63yrs$, height: $165.67{\pm}9.54cm$, weight: $60.13{\pm}11.71kg$) and healthy control (N=38, age: $23.55{\pm}7.03yrs$, height: $167.92{\pm}9.22cm$, weight: $64.58{\pm}13.40kg$)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The declination of the subtalar joint rotation axis of the CAI group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healthy control in both sagittal slope and transverse slope. The rear-foot angle of CAI group was different from a healthy control. Compared to healthy control, they had the structure of rear-foot varus that could have a high occurrence rate of ankle varus sprain. CAI group had loose ATFL and CFL compared to the healthy contro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viation of the subtalar joint rotation axis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nkle joint complex were different between the CAI group and the healthy control and this difference is a meaningful factor in the occurrence of lateral ankle sprains.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Edema Control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Injuries: A Literature Review

  • Yong, Joon-hyoung;Lim, Jin-seok;Moon, Il-young;Yi, Chung-hw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1-179
    • /
    • 2022
  • Background: The application of Kinesio tape (KT) has become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the reduction of edema owing to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mimic skin behavior. Although many studies have found that KT appl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dema related to breast cancer and rehabilitation following mandibular third molar surgery,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e use of KT for musculoskeletal injurie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KT application for reducing edema caused by musculoskeletal disorder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July 2022) was performed on PubMed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2 and June 2022. The following keywords were used: "Kinesio taping," "Kinesio tape," "swelling," and "edema," with different combinations and derivations. Only articles available in Englis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Among 68 identified studies, seven met our search strategy and criteria and were included in the literature review. Five of these studies investig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knee joint; two of them reported that KT appl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dema measured using perimetry following total knee replacement a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However, the KT application did not improve swelling in patients with acute lateral ankle sprains. Pediatric patients with acute proximal phalangeal joint sprain experienc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eduction of swelling than the group using a splint. Conclusion: This literature review found discrepant evidence to support using KT for edema control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KT for controlling edema following musculoskeletal injuries.

Prosthetic resurfacing of engaging posterior capitellar defects in recurrent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of the elbow

  • Dani Rotman;Jorge Rojas Lievano;Shawn W. O'Driscol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3호
    • /
    • pp.287-295
    • /
    • 2023
  • Background: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PLRI) is a common mechanism of recurrent elbow instability. While the essential lesion is a deficiency in the lateral ulnar collateral ligament (LUCL), there are often associated concomitant bony lesions, such as an Osborne-Cotterill lesions (posterior capitellar fractures) and marginal radial head fractures, that compromise stability. Currently, there is no standard treatment for posterior capitellar deficiency associated with recurrent PLRI.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five patients with recurrent PLRI of the elbow associated with a posterior capitellar impaction fracture engaging with the radial head during normal range of motion. The patients were treated surgically with LUCL reconstruction or repair and off-label reconstruction of the capitellar joint surface using a small metal prosthesis designed for metatarsal head resurfacing (HemiCAP toe classic). Results: Five patients (three adolescent males, two adult females) were treated between 2007 and 2018. At a median follow-up of 5 years, all patients had complete relief of their symptomatic instability. No patients had pain at rest, but two patients had mild pain (visual analog scale 1-3) during physical activity. Three patients rated their elbow as normal, one as almost normal, and one as greatly improved. On short-term radiographic follow-up there were no signs of implant loosening. None of the patients needed reoperation. Conclusions: Recurrent PLRI of the elbow associated with an engaging posterior capitellar lesion can be treated successfully by LUCL reconstruction and repair and filling of the capitellar defect with a metal prosthesis. This treatment option has excellent clinical results in the short-medium term. Level of evidence: IV.

상악 전치 intrusion시 저항중심의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LOCATION OF CENTER OF RESISTANCE DURING INTRUSION OF UPPER ANTERIOR TEETH)

  • 박춘근;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9-272
    • /
    • 1997
  • Segmented arch mechanics를 적용하여 상악 전치에 intrusive force를 가할 때 저항중심의 전후방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상악 6전치와 치근막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intrusion시키고자 하는 치아의 수, 치축의 경사도 및 치조골의 흡수 정도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 변화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축경사도와 치조골의 높이가 정상일 경우, 치아의 수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는 다음과 같았다. 1) 중절치 2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 브라켓의 원심면 부위에 위치하였다. 2) 중절치와 측절치 4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 공간의 후방 2/3 부위에 위치하였다. 3)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 6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견치 브라켓 후방 약 3mm 부위로 견치와 제1소구치의 치간부에 위치하였다. 4) 치아의 수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특히 4전치군 보다는 6전치군에서 후방 이동량이 크게 나타났다. 2. 절치의 순측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3. 치조골의 흡수량이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 PDF

Neurolysis for Megalgia Paresthetica

  • Son, Byung-Chul;Kim, Deok-Ryeong;Kim, Il-Sup;Hong, Jae-Taek;Sung, Jae-Hoon;Lee, Sa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1권6호
    • /
    • pp.363-366
    • /
    • 2012
  • Objective : Meralgia paresthetica (MP) is a syndrome of pain and/or dysesthesia in the anterolateral thigh that is caused by an entrapment of the 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 (LFCN) at its pelvic exit. Despite early accounts of MP, there is still no consensu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neurolysis or transaction treatments in the long-term relief for medically refractory patients with MP. We retrospectively analyzed available long-term results of LFCN neurolysis for medically refractory MP in an effort to clarify this issue. Methods : During the last 7 years, 11 patients who had neurolysis for MP were enrolled in this study. Nerve entrapment was confirmed preoperatively by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r a positive response to local anesthetic injection. Decompression of the LFCN was performed at the level of the iliac fascia, inguinal ligament, and fascia of the thigh distally. The outcome of surgery was assessed 8 weeks after the procedure followed at regular intervals if symptoms persisted. Results : Twelve decompress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11 patients over a 7-year period. The average duration of symptoms was 8.5 months (range, 4-15 month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3 months (range, 12-60 months). Complete and partial symptom improvement were noted in nine (81.8%) and two (18.2%) cases, respectively. No recurrence was reported. Conclusion : Neurolysis of the LFCN can provide adequate pain relief with minimal complications for medically refractory MP. To achieve a good outcome in neurolysis for MP, an accurate diagnosis with careful examination and repeated blocks of the LFCN, along with electrodiagnosis seems to be essential. Possible variation in the course of the LFCN and thorough decompression along the course of the LFCN should be kept in mind in planning decompression surgery for MP.

청소년기에 시행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 Adolescent)

  • 송은규;심상돈;김현종;김형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1-108
    • /
    • 2002
  • 목적 : 성장이 남아있는 청소년기 전방 십자 인대 손상에 대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445예 중 19세 이하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1예 여자가 1예였고 수술당시 평균 나이는 75.9$(13.1\~16.9)$년 최종추시상 20.1$(18.1\~22.7)$년 이었다. 평균 추시기간은 45.1$(24\~120.6)$개월이었다. 사용된 이식건은 자가 슬괵건이 11예 자가 골-슬개건-골이 1예였다. 임상성적은 Lysholm Knee Scoring Scale, 관절운동범위, 수상 전 스포츠로 복귀정도를, 방사선학적 결과는 $Telos^{\circledR}$ 기기를 이용한 전방전위도를 정상측과 비교하였다. 골성숙도는 술전 월령, 신장 및 슬관절 전후면 방사선 촬영상 성장판의 상태로 평가 하였고 최종 추시상 Teleorontegehogram로 하지부동 정도와 대퇴경골각 (Femorotibial angle), 해부학적 및 역학적 외측 원위 대퇴각(aLDFA, mLDFA), 역학적 내측 근위 경골각 (mMPTA)을 정상측과 비교하여 성장장애를 평가하였다. 결과 : Lysholm Knee Score는 술전 평균 51$(25\~63)$점에서 최종추시상 98$(94\~100)$점으로 호전되었고, $Telos^{\circledR}$ 기기를 이용한 전방전위도는 술 전 평균 13.5$(6\~27)$ mm에서 술후 평균 2.9$(1\~4)$ mm로 호전되었으며 임상적으로 의의있는 슬관절 불안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최종추시상 성장판 손상에 의한 1 cm 이상의 하지부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성장이 남아있는 골 미성숙 환자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하지부동이나 슬관절 정열이상이 없는 좋은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Asymmetric Head-Gear의 견인력의 차이에 따른 상악 제 1 대구치에 나타나는 힘과 변위 및 초기 응력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비교 연구 (A FEM comparison study about the force, displacement and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n the maxillary first molars by the application of Asymmetric Head-Gears with the different traction forces)

  • 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1-323
    • /
    • 2001
  • 편측성 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시 다양한 mechanics가 사용되어지는데 그중 한가지가 asymmetric face-bow를 가진 head gear이다. 이 asymmetric head gear의 편측 효과에 대해 다양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는데 이에 저자는 편측성 II급 부정교합의 상악 치열 모델링과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Power arm asymmetric face-bow를 모델링하고, 견인력을 달리하여 유한 요소법을 통해 치근막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분포와 그에 따른 각 방향의 반력, 그리고 그로 인한 변위를 관찰하여 역계를 이해하고 치료효과를 예견하고자 실험을 고안하였다. 발치나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25세 남자 정상 교합자를 대상으로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얻은 방사선필름을 기초로 하여 유한 요소 상악 모델과 치주인대 모델을 제작하고 그후 다시 좌측 제 1 대구치가 근심 편위되어있는 편측성 상악 II급 부정교합 모델로 제작하고, RMO 사의 Face-bow (Penta-$^{TM}$/Medium size)를 기본 모델로 0.045 inch 직경의 inner-bow와 0.072 inch 직경의 outer-bow를 가지는 asymmetric face-bow를 우측을 25mm 짧게 하여 모델링한 후, 좌우측 제 1 대구치에 각각, 250g, 300g, 350g 씩 견인력을 부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양쪽 제1 대구치가 받는 힘의 총합은 견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대체로 근심위치된 치아가 정상 위치한 치아보다 더 많은 힘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치아 모두 윈심으로의 힘을 받으며, 원심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2. 측방력은 두 치아 모두 협측으로의 힘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힘의 성분을 분석하여 보면 견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X축으로의 힘이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 점점 작아지며, 정상 위치한 치아에서 점점 증가하여 측방력의 성분이 힘을 많이 받는 쪽에서 적게 받는 쪽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3. 원심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회전과 경사이동 양상을 보여주었는데 견인력의 증가시 함께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힘을 많이 받는 쪽, 즉 근심 위치된 치아가 더 많은 회전과 경사이동을 보였으며 적은 양이나마 정상 위치된 치아에 서도 같은 양상의 변위를 보였다.

  • PDF

전방십자인대 단일 다발 재건술에서 경경골 술기 및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한 대퇴골 터널의 기울기 (Femoral Tunnel Obliquity between the Transtibial and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in Sing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이주홍;박종혁;배현경;김종길;왕성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1-47
    • /
    • 2010
  • 목적: 전방십자인대 단일 다발 재건술에서 경경골 터널과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한 대퇴골 터널의 기울기를 방사선학적으로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시행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132예 중 단일 다발 재건술의 대퇴골 터널 형성에 경경골 술기를 이용한 30예와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한 재건술 20예를 전후방, 과간 절흔상 및 측면 방사선 사진을 통해 관상면 및 시상면에서의 골 터널 기울기를 측정하였다. 결과: 관상면에서 대퇴 터널이 대퇴과간 관절면의 연결선과 이루는 각도는 경경골 술기의 경우 평균 $71^{\circ}$ (범위: $65^{\circ}{\sim}77^{\circ}$), 전내측 접근법은 평균 $51^{\circ}$ (범위: $39^{\circ}{\sim}60^{\circ}$)였으며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관상면에서 경골 터널이 관절면과 이루는 각은 경경골 술기에서 평균 $55.7^{\circ}$ (범위: $49^{\circ}{\sim}68^{\circ}$), 전내측 접근법은 평균 $52.1^{\circ}$ (범위: $37^{\circ}{\sim}58^{\circ}$)를 보였다. 시상면상경골 터널이 관절면과 이루는 각은 경경골 술기에서 $62.6^{\circ}{\pm}5.4$, 전내측 접근법은 $60.1^{\circ}{\pm}2.7$로 유사한 값을 보였고, 대퇴 터널이 대퇴 후방 피질골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은 경경골 술기에서 $22.7^{\circ}{\pm}7.8$, 전내측 접근법은 $30.2^{\circ}{\pm}6.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전방십자인대 단일 다발 재건술에서 전내측 삽입구를 이용한 대퇴터널 형성은 경경골 술기에 비해 관상면에서 보다 수평적이었고 후방 피질골로 부터의 기울기 증가를 보였다.

  • PDF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치료 -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의 비교 - (Management of Displaced Bucket-Handle tear - Differences Between Medial & Lateral Menisci -)

  • 정선욱;한성호;양보규;이승림;하정현;김민석;여용범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3-159
    • /
    • 2003
  • 목적 : 내측 및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양상과 동반손상에 따른 치료원칙과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군)로 진단받은 52명 52예와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I군)로 진단받은 31명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I군 25세($16\~66$세), II군 29세($18\~63$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I군 18개월 ($12\~50$개월), II군 13개월($6\~46$개월)이었다. 술중 관절경 검사를 통하여 연골 파열의 부위, 동반손상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외측의 경우 추가적으로 원판형 연골인 경우를 조사하였다 술 후 최종 추시 시 이학적 검사와 임상양상에 따라 치료 판정을 하였으며, 두 군 전체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되었던 경우 추시 관절경을 19례$(23\%)$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된 경우는 I군 38예$(73\%)$, II군 5예$(16\%)$였으며, 원판형 연골이었던 경우는 II군에서 19예$(59\%)$였다. 최종 추시 시 봉합술을 시행한 예에서 I군의 경우 26예 중 22예$(85\%)$는 성공 판정을 받았으며, II군의 경우 3예 중 2예$(67\%)$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고, 절제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I군의 경우 26예 중 전예에서 II군의 경우 28예 중 26예$(93\%)$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다. 이중 I군에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봉합술을 시행한 2예에서 있었고, 재수술 당시 1예에서는 봉합부위의 재파열과 다른 1예에서는 새로운 부위의 파열을 발견하였다. II군에서는 원판형 연골의 모양을 보였던 19예 중 2예에서 절제술 후 남아있는 연골에서 새로운 파열이 발견되었다. 결론 : 내측과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 있어 동반 손상이 현저히 다르며, 그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 원칙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