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weight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6초

Influence of forestry host plants and rearing seasons on silk gland weight of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Lepidoptera: Saturniidae) under Doon valley conditions of Uttarakhand in India

  • Bhatia, Narendra Kumar;Yousuf, Mohd.;Tewary, Pankaj;Sharma, Satya Prakash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2권1호
    • /
    • pp.1-11
    • /
    • 2016
  •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is a commercial forest silkworm in India that produces tasar silk, but never experimented in Uttarakhand, a Himalayan state of India. A. mylitta express divergent phenotypic characters under different ecological conditions; so, we studied the effect of seven forest tree species in two rearing seasons on variability in silk gland weight of Daba (bivoltine) ecorace of A. mylitta at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Dehra Dun, Uttarakhand during 2012 and 2013. We used two-way completely randomized block factorial design and Post HOC Tukey's HSD test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and there after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silk gland weigh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rearing seasons (DF=1, F=2333.98, p <0.05), host plants (DF 6, F= 1516.25, p <0.05) and their interactions (DF=6, F=7.10, p <0.05). Higher silk gland weight was found in second rearing season than the first on all the host tree species. Terminalia alata fed A. mylitta larvae showed the highest silk gland weight of 8.03 and 9.47 g in first and second rearing seasons, followed by T. tomentosa (7.19 & 9.01g), T. arjuna (6.8 & 8.08 g) and L. speciosa (6.57 & 7.83 g) fed larvae, respectively. Post HOC Tukey's HSD test indicated that silk gland weight of L. speciosa and T. arjuna fed larvae in both the rearing seas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E.I. analysis also confirmed that T. alata, T. tomentosa, T. arjuna and L. speciosa are better in their order of merit than T. bellirica , T. chebula and L. tomentos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larval weight gain is a strong predictor (β=1.002, t=346.777, p = <0.05) for the silk gland weight of A. mylitta ; however, larval dura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regression weight (β=-0.270, t=-8.436, p = <0.05) on mean weight of silk gland.

IGR계 살충제가 집파리 유충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insect growth regulators on the development of housefly, Musca domestica L., larvae)

  • 박정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37-146
    • /
    • 1998
  • 축산지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집파리 (Musca domestica)의 방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 등록되어 있는 곤충생장조절 작용이 있는 몇가지 살충제와 imidacloprid 5% WP를 유충의 먹이에 섞어 줌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번데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는 1997년 경남 함양의 돈사(豚舍)에서 채집한 집파리를 실험실에서 사육하여 사용하였다.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등 IGR 계통의 살충제를 집파리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3령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높았고,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정상적인 번데기 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기형번데기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기형번데기의 형성에 의한 총사망율은 먹이에 섞어준 약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imidacloprid에서 각각 5 ppm, 3 ppm, 30 ppm, 5 ppm, 1,000 ppm이었고, tebufenozide는 1,000 ppm에서 91.7%의 사충율을 나타내었다.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에서 각각 100 ppm, 10 ppm, 300 ppm, 10 ppm이었으며, tebufenozide와 imidacloprid는 다른 약제에 비하여 집파리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떨어져서 각각 1,000 ppm과 300 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총사망율이 36.1%와 86.7%에 불과하였다. 집파리의 번데기가 외형상으로는 정상이라 하더라도 약제 처리에 의하여 무게가 감소하였다. Teflubenz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imidacloprid 처리에 의한 무게감소 현상이 뚜렷하였고, diflubenzuron 과 triflumuron은 무게 감소효과가 적었다. 따라서 IGR계통의 살충제는 유충을 치사시키거나 기형 번데기를 만들어 성충으로 우화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번데기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차세대의 산란수에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생각된다.

  • PDF

$\alpha$-Amylase를 첨가한 인공사료가 가잠의 성장 및 혈당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alpha$-Amylase added to Artificial Diet on the Larval Growth and the Amount of Blood Sugar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김계명;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35
    • /
    • 1979
  • 상엽이 20% 함유된 누에의 인공사료에 있어서 5영 5일째에 $\alpha$-Amylase를 첨가시켜 사료를 종이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화율은 자웅잠 다같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자잠은 웅잠보다 높았다. 2. 체중에 있어서는 웅잠은 대조구와 같은 수준이었으나 자잠의 체중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3. 견질에 있어서는 견중, 견층중 다같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4. 사료의 효율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 정도는 자잠이 더 현저했다. 5. 5령 7일에 있어서 누에의 혈당량은 대조에 비하여 적었다.

  • PDF

줄녹색박각시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Cephonodes hylas (Linne) (Sphingidae: Lepidoptera))

  • 여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0-307
    • /
    • 1995
  • 치자나무의 실생묘포장에서 잎을 식해하는줄녹색박각시의 생활사를 1984년부터 1985년까지 남해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줄녹색박각시의 산란기간은 5월 하순부터 26일간이었고, 평균 20.4개의 알을 기주 식물의 잎 뒷면에 산란하였다. 산란후 14일부터 16일 사이에 부화하고, 부화율은 97.6%였다. 알은 타원형이고, 크기는 지름이 1.01mm 길이가 1.14 mm이고 난기간은 14.6일이다. 유충의 평균 길이는 1령이 $3.52\pm$1.01 mm, 2령이 $6.46\pm$0.45mm, 3령이 $13.19\pm$4.27mm, 4령이 $24.08\pm$2.22mm, 5령이 $43.71\pm$5.62 mm이고, 유충의 평균체중은 1령이 $13.34\pm$2.41mg, 2령이 $29.83\pm$6.88mg, 3령이 $76.64\pm$31.31mg, 4령이 $292.09\pm$107.70mg, 5령이 $2,144.84\pm$760.70mg이다. 유충기간은 7월부터 10월까지로 1령이, 12일, 2령이 36일, 3령이 32일, 4령이 16일, 5령이 20일로 총유충기간은 116일이었고, 유충기간 동안에 1마리의 유충이 실생묘 17.18주를 가해하였다. 제5령 유웅이 종령유충으로 평균 15 mm 땅속에 들어가 토립으로 집을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어 월동하며, 번데기의 평균 길이는 33.6mm이고, 평균 체중은 2,032mg이다. 성충은 이듬해 5월 중순에서 하순까지 우화하는데, 성충의 성비는 암컷이 42.82%이고, 체색형의 비는 갈색형이 89.93%였다.

  • PDF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Modulations during Oviposition and Egg laying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 Singh, Tribhuwan;Saratchandra, Beera;Raj, H.S.Phan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2호
    • /
    • pp.115-123
    • /
    • 2003
  • Oviposition and egg laying is an important physiological and behavioural event in the life cycl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Oviposition and egg laying is dependent on a number of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viz., neural, hormonal, environmental, physical, behavioral etc for the perpetuation of population. Although, the virgin female moths have fully developed embryos but active egg laying begins under the influence of mating which provides essential copulation stimulus for oviposition. After mating drastic biochemical changes occurred that incites egg laying under the influence of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s. Weight of pupae as well as larval density has significant role on oviposition and egg laying behaviour in the silkworm wherein high pupal weight and inadequate rearing space affects not only the biology, morphology and physiology but also the oviposition and egg laying. Surface topography, plane of inclination, mating length, age of male moth, temperature and photoperiod etc has significant effect on reproductive physiology of silkworm. An attempt has been made in this review article to elucidate briefly the works carried out on mating behaviour, direct and indirect copulation stimulus, vitellogenesis,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besides effect of weight of pupae and or pharate adult and larval density on oviposition and egg laying behavior in the silkworm, B. mori and its significance in silkworm seed production.

Studies on Sex-linked Inheritance of Quantitative Characters in Direct and Reciprocal Crosses of Silkworm Bombyx mori L.

  • Reddy, N.Mal;Basavaraja, H.K.;Dar, A.K.;Kumar, N.Suresh;Dandin, S.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7권1호
    • /
    • pp.15-20
    • /
    • 2003
  •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possible cause for reciprocal difference in silkworm hybrids. By utilising the polyvoltine race Pure Mysore (PM) and newly evolved breeds (CSR2, CSR5, CSR16 and CSR17), the direct and reciprocal crosses of polyvoltine ${\times}$ bivoltine and also bivoltine hybrids were studied. The hybrids of polyvoltine ${\times}$ bivoltine (direct) are superior to their reciprocal crosses in respect of cocoon yield, cocoon weight and filament length. The reciprocal crosses of polyvoltine ${\times}$ bivoltine are superior to their direct crosses in respect of fecundity and short larval dur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haracters like cocoon shell ratio, raw silk percentage, denier, reelability and neatness in both polyvoltine ${\times}$ bivoltine direct crosses and their reciprocals. The expression of cocoon characters as a function of sex revealed that direct crosses (polyvoltine ${\times}$ bivoltine) showed higher cocoon weight, pupal weight, shell weight and longer filament length in females than the reciprocal crosses (bivoltine ${\times}$ polyvoltine), where as these characters in males were almost the same in both direct and reciprocal crosses, indicating that the sex-linked genetic factor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it was clear that difference in cocoon yield observed in reciprocal crosses of polyvoltine ${\times}$ bivoltine was due to the low cocoon and shell weight in females which was turn due to presence of early maturity genes (Lme) linked with sex-chromosome (X) which effect on larvae period of the silkworm. In bivoltine hybrids, i.e., both direct and their reciprocals crosses, all the characters viz., hatching percentage, larval duration, survival, cocoon weight, cocoon shell weight, cocoon shell ratio, raw silk percentage, filament length, denier, reelability and neatne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number of eggs laid by moth) which could account for presence of same maturity genes (Lm) in both direct and reciprocal crosses. it was clear that reciprocal differences occur when the hybrids are prepared from the parental strains with different voltinism.

기주식물의 N.P.K. 및 Sugar의 함량이 흰불나방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 (Effects of N. P. K. and sugar contents of different host-plants on the Biology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 정규회;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39-46
    • /
    • 1968
  • 본시험은 5개 기주식물(뽕나무$\cdot$버즘나무$\cdot$미류나무$\cdot$네군도나무 및 사과나무)의 Nitrogen$\cdot$Phosphorus$\cdot$Potassium 및 Sugar함량이 흰불나방의(Hyphantria cunea DRURY) 유충기간$\cdot$용기간$\cdot$용체중$\cdot$자아의 포난수 및 $\gamma-BHC$에 대한 감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연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 기주식물엽의 Nitrogen$\cdot$Phosphorus$\cdot$Potassiuln 및 Sugar함양은 기주의 종류와 화기(1화기와 2화기)에 따라 각각 상이한 차가 있었다(표 1). (2) 1, 2화기 유충기간과 용기간은 비교적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짧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긴 경향이었으며, 1화기보다 2화기에서 더 짧아졌다. 이들은 기주의 N함량과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으나(1화기 유충기간은 제외),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P·K 및 Sugar에 비하여 크게 관여한 것 같았다. (3) 용체중과 포난수에 있어서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주의 종류, 자웅의 성 및 화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표 3). 용체중은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역시 가장 높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낮았으며, 자아당 평균 포란수에 있어서도 용체중의 경향과 비슷하였다. 용체중이나 포난수의 경우나 영양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크게 관여한 것은 N의 함량으로 생각되었다. (4) $\gamma-BHC$에 대한 천불나방유충의 내약력은 기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가 있었으며, 그 감응도는 네군도나무$\cdot$미류나무$\cdot$버즘나무$\cdot$사과나무$\cdot$뽕나무 순으로 강하였다(표 6). 역시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는 없었으나 N·P 및 Sugar보다 K의 함량이 많은 기주 일수록 $\gamma-BHC$에 대한 유충의 내약력이 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넙치 자어 사육에 있어서 먹이 종류에 따라 고밀도로 배양한 rotifer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rotifer fed on the different diets in high density culture for flounder larvae, Paralichthys olivaceus)

  • 박흠기;이균우;이상민;김성구;이종화;임영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3-97
    • /
    • 2000
  • 본 연구는 먹이종류에 따라 고밀도로 배양한 rotifer를 넙치 자어에게 공급하였을 때 이들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Rotifer 고밀도 배양의 실험구 먹이는 18 시간 동안 담수산 Chlorella를 공급한 후 6시간 유지효모 및 $Marine\;{\alpha}$를 공급한 것과 24시간 동안 담수산 농축 Chlorella 및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것으로 하였다. 배양수조는 $2l$를 이용하였고 수온 $28{\circ}C$를 유지하였다. $Marine {\alpha}$와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의 n-3 HUFA 함량이 유지효모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Marine\;{\alpha}$와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가 유지효모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넙치 자어의 성장과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Marine\;{\alpha}$로 배양된 rotifer를 섭취한 넙치 자어 자체의 지방산 중 n-3 HUFA비율이 다른 먹이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안정적 배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서 rotifer 고밀도 배양시 안정적인 rotifer 성장과 rotifer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24시간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들을 넙치 자어에게 공급하였을 때 가장 적절한 먹이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s of Vitamin C on Biological, Biochemical and Econ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Etebari, Kayvan;Ebadi, Rahim;Matindoost, Leil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1호
    • /
    • pp.81-87
    • /
    • 200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nutrients on silkworms, Bombyx mori,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scorbic acid treatments. Dietary supplements of ascorbic acid 1, 2 and 3% were fed to silkworm larvae through 1st to 5th instar, The larvae were fed by mulberry loaves of Kokoso variety and the supplementary loaves were used once a day. These treatment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larval weight, the rate of food consumption and the approximate digestibility of the food. But the economical parameters such as cocoon weight and cocoon shell weight didnt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Dietary supplement of 2% ascorbic acid increased the larval weight by 7.8% and reached to 1.065g, which had the highest weight increase in the fourth day of 4th instar larvae. The percentage of daily weight increase in this group of larvae (79.01%) ha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The nutritional efficiency index in this group of larvae was better than others. Also the abundance of biochemical macromolecules such as glucose, cholesterol, triacylglycerol and urea in haemolymph of larvae fed by 2% ascorbic acid increased to become 29.75 (mg/㎗), 24 (mg/㎗), 75.4(mg/㎗) and 32.1(mg/㎗) respectively. But protein contents of haemolymph of larvae in each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ince all the results achieved were not considerable either statistically or economically, this method could not be recommended to improve the sericultural parameters.

갈색거저리, Tenebrio molitor L.(Coleoptera: Tenebrionidae)의 산란수, 수명, 발육기간 및 번데기 중량 (Fecundity, Life span, Developmental periods and Pupal weight of Tenebrio molitor L.(Coleoptera: Tenebrionidae))

  • 박영규;최영철;이영보;이상현;이준석;강승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6-132
    • /
    • 2012
  • 갈색거저리를 소맥피와 가축사료를 먹이로 하여 $25{\pm}5^{\circ}C$, $65{\pm}10%RH$에서 사육한 결과 발육기간은 80.0 ~ 83.7일, 번데기크기는 18.1 ~ 18.7 mm로 유사하였고 2일간의 평균 산란수는 44.3 ~ 55.3개이었다. 갈색거저리 번데기의 평균 무게에 따라 0.12 g, 0.15 g, 0.18 g의 세 중량으로 구분하여 우화 후 성충의 일생동안 평균 산란수를 조사한 결과 각각 172.3, 191.2, 215.0개로 중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산란경향은 우화 2주차까지 51.8%를 산란하여 가장 왕성하였으며 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번데기 무게에 따른 성충의 수명은 각각 $27.1{\pm}6.9$, $30.1{\pm}7.8$, $27.4{\pm}8.5$ 일로 차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갈색거저리 유충사육 용기($16{\times}21.5{\times}7cm$)에 유충 사육밀도를 100, 300, 500, 700마리로 사육한 결과 용화 시작 후 3주 이내에 67.9%가 용화되었으며 단위 공간당 사육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번데기의 중량은 용화 시작 후 3주까지 각각 $146.9{\pm}6.5$, $142.1{\pm}8.3$, $122.0{\pm}9.6$, $118.5{\pm}5.2mg$으로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