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e density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초

콩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의 경제적 피해수준 (Economic Injury Levels for the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on Soybean)

  • 이건휘;배순도;김현주;박성태;최만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3-337
    • /
    • 2006
  • 담배거세미나방에(Spodoptera litura)에 의한 콩의 피해해석을 하고자 콩 생육기 및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밀도를 달리하여 조사한 결과 콩 생육시기별 유충 밀도에 따른 수량감소율과의 관계식은 개화기에는 (1) Y = 1.655X - 6.025 ($R^{2}=0.952$), 착협기에는 (2) Y = 0.725X - 0.475 ($R^{2}=0.986$), 립비대기에는 (3) Y = 0.635X - 1.325 ($R^{2}=0.986$)였다. 이 관계식을 근거로 하여 콩 생육시기별 피해허용수준(수량감소 5% 기준)을 산출한 결과, 주당 2-3령 유충의 밀도는 개화기6.7 마리, 착협기 7.5마리, 립비대기는 10.0마리였다. $28^{\circ}C$에서 1령, 2령, 3령, 4령, 5령 및 6령 유충의 1일 섭식량은 0.3, 0.7, 2.6, 4.0, 20.1 및 $55.8\;cm^{2}$ 이었다.

동해안의 산불피해지역에서 참나무 잎 생산량과 초식 피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amage by Herbivore and Leaf Production of Oaks in the Burnt Area of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 이경신;홍보람;이규송
    • 환경생물
    • /
    • 제36권2호
    • /
    • pp.206-216
    • /
    • 2018
  • 동해안 산불피해지역에서 참나무 잎 생산량의 시공간적 변이가 초식자의 밀도, 종풍부도 및 초식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조사지역에서 참나무 잎의 주요 초식자는 나방 유충이었다. 초식곤충의 유충의 종풍부도와 밀도가 가장 높아지는 시기는 8월 중순이었다. 연간 출현한 초식곤충 유충의 60.5%가 8~9월에 집중적으로 출현하였다. 참나무 잎 생산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7~8월이었고, 초식곤충에 의한 피해가 가장 많은 시기는 8~9월이었다. 조사시기와 장소에 따라 참나무 잎 생산량, 초식곤충의 유충밀도 및 종풍부도는 큰 변이를 나타내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7~8월에 평균 참나무 잎 생산량은 $0.96ton\;ha^{-1}$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참나무 잎의 생산량은 $0.34{\sim}1.89ton\;ha^{-1}$의 공간적인 변이를 나타내었다. 8월에 초식자에 의한 참나무 잎의 소비량은 $0.15{\sim}1.51ton\;ha^{-1}$의 공간적인 변이를 나타내었다. 참나무 잎의 생산량이 많은 곳일수록 초식자의 종풍부도와 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참나무 잎 생산량의 증가에 따라 초식자에 의한 소비량과 소비비율도 증가하였다. 이것은 참나무 잎의 생산이 많은 시기와 공간으로 초식자들이 모이는 집중화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불피해지역에서 먹이자원의 시공간적인 이질성과 그로 인한 먹이망의 상위단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산불지역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까시잎혹파리, Obolodiplosis robiniae (Diptera: Cecidomyiidae) 연간 밀도변동과 아까시나무 수관 내 분포 (Seasonal Fluctuation and Distribution of Obolodiplosis robiniae (Diptera: Cecidomyiidae) Within Crown of Robinia pseudoacacia (Fabaceae))

  • 이정수;정유미;최광식;김일권;권영대;전문장;신상철;최원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47-451
    • /
    • 2009
  • 아까시잎혹파리(Obolodiplosis robiniae(Haldeman))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innaeus(Fabaceae)) 잎 가장자리에 혹을 형성하는 혹파리과 해충으로 북미대륙 동부가 원산으로 국내와 일본에 2002년 유입되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아까시잎혹파리의 계절별 밀도변동과 수관 내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밀도조사는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과 시흥시 대야동의 아까시숲에서 5월부터 8월까지 조사되었으며 아까시잎혹파리 밀도는 잎당 유충수를 기준으로 추정되었다. 아까시잎혹파리 세대 수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 오산에서는 3세대, 시흥에서는 2세대가 관찰되어 국내에서는 최대 3세대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오산지역 아까시나무내 아까시잎혹파리 유충 밀도분포는 수관 상부가 수관 중간 부분과 하부보다 높았다. 시흥지역 아까시나무의 수관 하부 바깥쪽 밀도가 안쪽보다 높았다. 아까시잎혹파리의 혹 당 유충수는 오산, 시흥에서 각각 $3.3{\pm}0.1$, $2.8{\pm}0.1$ 마리였다.

소안도에 서식하는 해마(Hippocampus haema) (Pisces: Syngnathidae)의 서식지 특성 및 산란생태 (Habitat Characteristics and Spawning Ecology of Hippocampus haema (Pisces: Syngnathidae) Inhabiting the Soando (Island))

  • 조현근;안중관;김형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15-626
    • /
    • 2022
  • 본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도 일대에서 해마의 서식지 특성 및 산란생태를 밝히기 위해 조사하였다. 해마가 서식하는 조사지점은 주로 거머리말 개체군의 초지가 형성되었다. 거머리말 생육밀도와 생물량(Mean±SE)은 각각 춘계(5월)에 136±14.4shoots/m2, 489.8g DW/m2로 가장 높았고, 생육밀도는 추계(10월)에 93±7.0shoots/m2, 생물량은 동계(2월)에 122.3g DW/m2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 기간 동안 다이빙과 족대 조사를 통해 293개체의 해마가 확인되었고 해마의 전장은 10.1~87.0mm의 범위였다. 수정란 또는 자어를 보육중인 수컷 개체는 2015년, 2016년 모두 5월부터 출현하여 10월까지 채집되었고, 미성어의 출현은 2015년에는 7월, 2016년에는 6월부터 확인되었다. 산란기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해마의 산란시기는 4~10월까지로 추정되었다. 수컷의 보육낭에서 확인된 수정난수 또는 자어수는 38.3±14.8(20~76)개였고 암컷에서 확인된 포란수는 47.2±8.6(31~59)개였다. 해마의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1:1.7로서 수컷의 출현비율이 우세하였다.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Leaf Surface Trichomes in Mulberry and Its Influence on Rearing Performance of Silkworm Bombyx mori L.

  • Kesavacharyulu, K.;Kumar, Vineet;Sarkar, 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1호
    • /
    • pp.33-41
    • /
    • 2004
  • The type of trichomes, their density and pattern of distribution on leaves of 16 genotypes of mulberry, belonging to both diploid and polyploid categories, were studi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ttributes, especially the density and trichome types with higher acceptability and better rearing performance by the silkworm Bombyx-mori L. Two types of trichomes glandular and non-glandular types were observed on both the leaf surfaces of all the mulberry genotypes studied. In general, greater densities of trichomes were observed on the abaxial surface than the adaxial surface of leaves in most of the genotypes. Distribution of glandular trichomes were more in abaxial surface and non-glandular trichomes were more in adaxial surface. Overall, distribution of glandular and non-glandular trichomes per unit area of leaf did not follow any regular pattern. When leaves of those genotypes were fed to silkworms, trichome dens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urvival of larvae i.e., effective rate of rearing, but trichome density did not influence the economic characters of rearing. As the distribution of glandular trichomes (GT) and non-glandular trichomes (NGT) did not follow any definite pattern, no relation could be established between the GT and NGT densities with silkworm rearing performance. However, the ratio of GT and NGT in a particular genotype influenced the rearing parameters, higher the ratios better the rearing performance. High GT and NGT ratio (>1.00) was found positively significant when correlated with economic parameters viz., larval weight, single cocoon weight and single shell weight. The study is useful in screening different mulberry genotypes for their better acceptability to silk-worm and higher rearing performance at the early stage of selection without actually conducting the rearing.

고밀도 배양에 있어 먹이종류와 공급량 및 vitamin B12 첨가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의 성장 (Effects of Food and Vitamin B12 on the Growth of a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in the High Density Culture)

  • 이균우;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06-613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od type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dried Chlorella, dried Spirulina, dried Schizochytrium, baker's yeast and $\omega-yeast$) and amount, and supplementation of vitamin $B_{12}$ on the growth of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in high density culture. Growth of rotifers fed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as the highest and its density ranged $7.65-8.14{\times}10^3\;inds./mL.$ The primary lipid acids of rotifers fed condensed freshwater Chloyella were linoleic and linolenic, and their amount ($\%$ of total fatty acids) were $48.8\%\;and\;26.8\%,$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ould be an effective diet for high quality and quantity rotifers, which in turn serve as live food for freshwater fish larvae. Growth rate of rotifers with Chlorella supplementation increased as amount of supplementation increased up to 1.5 and 2.5 mg at 28 and $32^{\circ}C$, respectively. However, undissolved ammonia toxicity and packing volume of Chlorella in culture medium, reach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stable and effective cultivation of rotifers when amount of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as 1.5 mg in dry weight per 1,000 rotifers at $28^{\circ}C\;and\;32^{\circ}C$ Growth of rotifers in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ith vitamin $B_{12}$ supplemen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otifers without supplement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itamin $B_{12}.$ Therefore, vitamin $B_{12}$ could improve the growth of rotifers (B. calyciflorus).

한국 남해 동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Southern Sea of Korea)

  • 이예지;이정훈;김영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45-455
    • /
    • 2021
  • We aimed to study the structure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ern Sea of the Republic of Korea.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in February (winter), May (spring), August (summer), and November (autumn) of 2020. The zooplankton collected belonged to a total of 166 taxa and 12 phyla, including some unidentified individuals and those from upper taxa. The number of taxa collected were the highest in winter at 117, and the lowest in May at 93. The dominant taxa were Oikopleura spp. in the winter, Gastropoda larvae in the spring, and Paracalanus parvus s.l. in the summer and autumn.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e zooplankton was clearly distinguishable between the seasons. The mean density of zooplankton was the highest in autumn and the lowest in summer (576,039 and 313,000 individuals/1,000 m3, respectively).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density of the six major taxa and environmental factors,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5) between the four taxa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found.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changes in the zooplankton communit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vestigations of biological factors as well as physical factors should be conducted.

이화명나방의 발생양상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in the Occurrence Pattern of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Korea)

  • 이승찬;박해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49-257
    • /
    • 1991
  • 우리나라 33개 예찰소를 대상으로 1968년부터 1989년까지 지역별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 및 발생량의 변동과 이앙시기에 따른 성충과 유충발생 및 피해와의 관계,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의 우화율 등의 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관느다음과 같다. 이화명나방의 발생시기 변동을 보면 1968~1972년에 비하여 1985~1989년에는 1화기 발생이 30일 가량 앞당겨진 지역이 광주이고, 20~25일이 상주, 나주이며, 10~15일이 울진, 지누, 고양, 밀양, 김제, 고창등 11개지역이고, 5일정도 앞당겨진 지역은 수원, 진천, 대전, 남원, 해남등 10개지역이며, 지금까지 발생시기 변동이 별로 엇는 지역은 원성, 충주, 서산, 영주, 논산 등지이다. 또한 2화기의 발생이 20일 가량 앞당겨진 지역이 울진이고, 15일이 충주, 영덕, 함천이며, 영주를 제외하고는 그 밖의 대부분지역이 5~10일 정도 더 빨리 발생하였다. 전국 이화명나방 발생량 변동을 보면 1969~1972에 비하여 195~1989년에는 1화기 발생량이 전국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화기에는 중부, 서남부일부 지역에서, 특히 광주, 나주, 대구 등지가 3배이상, 진주, 밀양, 공주 등지는 2배 가량 증가하고, 상주, 청주, 김제 등 8개 지역에서 모두 증가한 반면, 보은, 서산, 논산, 해남 등 19개지역은 감소하였다. 이앙시기를 달리한 포장에서는 유충 발생밀도를 보면 1화기는 이앙이 빠른 포장일수록 발생이 빨고 발생량도 많으며, 2화기의 유충은 중기이앙답(5월 30일)에서 유충발생이 빠르고 peak도 빨리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5월 15일, 6월 15일, 4월 30일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성충발생 peak보다 유충발생 peak는 1화기에는 15일, 2화기에는 10일 정도 후에 나타났다. 이앙시기별 이화명나방의 발생피해는 1화기에는 조기 이앙할수록 피해가 더 심하지만, 2화기에는 증기이앙시(5월 30일)에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이앙시기별 월동전 평균 유충체중은 조기이앙답이 65.6 mg, 중기 이앙답이 61.2 mg, 후기이앙답이 55.5 mg의 순으로 낮았다. Field cage내에서는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의 우화율은 평균 28.3%~39.8%로 매우 낮은 편으로 빨리한 이앙답일수록 월동유충의 체중이 무거웠고 제중이 무거울수록 우화율이 높은 편이었다. 이앙시기별 월동유충에서 우화시기까지의 기간은 조기이앙답이 44일, 중기이앙답이 47일, 후기 이앙답이 51일간으로 늦게 이앙할수록 기간이 더 긴 경향이었다.

  • PDF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Toxocara canis Larval Antigen Reacted with a Seropositive Human Serum

  • Lee, Soo-Ung;Yu, Jae-Ran;Huh, S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65-68
    • /
    • 2009
  • Excretory-secretory products of Toxocara canis larvae have been considered as a major functional antigen in immune responses against toxocariasis. We studied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T. canis second-stage larval antigen using a seropositive human serum under immunogold electron microscopy. High-density gold particles were observed in the secretory cells, excretory duct, intestinal epithelium, and cuticle of the larval worm sections. The distribution of the positive reactions in the larval worms suggests that the nature of the antigen is excretory-secretory antigen including waste metabolites and secretory enzymes.

가잠의 연화병바이러스에 관한 연구 I. 연화병바이러스의 정제 (Studies on Flacherie and Ina-flacherie Viruse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I. Purification of Viruses)

  • 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2
    • /
    • 1977
  • 1. 종내의 보고된 FV의 체제법을 비교검토한 결과, 어느방법도 정제도 및 정제효률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2. 종내의 정제방법을 개량하여 정제도.정제효율이 뛰어난 FV의 정제법을 확립하였다. 3. 새로운 정제법을 이나주바이러스의 정제에 적용한 결과, 본바이러스의 정제에도 유효함이 구명되었으며 동시에 최초로 본 바이러스를 정제하는데 성공하였다. 4. 새로운 정제법으로 정제한 FV 및 이나주바이러스 입자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이들 바이러스입자는 구형입자이고, 그 직경은 전자는 27nm, 후자는 20nm이었다. 또 이나주바이러스 입자의 침강정수는 80S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