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e and juveniles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4초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short ninespine stickleback, Pungitius kaibarae

  • Hwang, In Joon;Lee, Si Woo;Han, Young Sim;Kim, Kyeong Hw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375-382
    • /
    • 2021
  • In this study, the reproductive behavior and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short ninespine stickleback Pungitius kaibarae was described and illustrated based on observations during spawning, hatching, and larval rearing trials. Adult P. kaibarae were collected downstream in Jinhae during the reproductive season (April-May). Males had nuptial coloration on their entire black bodies, with blue dorsal spines and yellow eyes, whereas females had a brown spotted pattern on their bodies. Males built nests on the stems of water weeds and attracted females. Fertilization occurred in the nest immediately after spawning, and males guarded the eggs until hatching. The fertilized eggs of P. kaibarae were spherical, demersal, adhesive, and transparent, and each egg measured 1.43 ± 0.07 mm in diameter. The morula, blastula, and gastrula stages, as well as hatching began at 5, 18.5, 21.5, and 96 post fertilization (HPF), respectively, at 20.0 ± 0.5℃. The newly hatched larvae had a total length (TL) of 5.67 ± 0.50 mm, with a yolk volume of 0.583 ± 0.059 mm3. Their mouths and anuses had not yet opened. At 2 days posthatching (days post hatching, DPH), the yolk was completely absorbed and the larvae began to feed exogenously. Pigmentation was observed in freshly hatched larvae 4 h after hatching, with the presence of eight areas with a dotted pattern on the dorsal surface of the larvae and dispersed spots on the head and yolk sac. At 30 DPH, the TL of the juveniles was 21.34 ± 1.70 mm. The nest area and number of eggs were 259.56 ± 101.39 mm2 (75.18-506.04) and 155.33 ± 114.12 (0-437), respectively.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 and Juvenile of the Oryzias latipes

  • Lee, Sung-Hun;Kim, Chun-Cheol;Koh, Soo-Jin;Shin, Lim-Soo;Cho, Jae-Kwon;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3호
    • /
    • pp.173-178
    • /
    • 2014
  • In order to monitor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embryos, larvae, and juveniles of Oryzias latipes (Temminck and Schlegel), Oryzias latipes was caught in river of Shinduck-dong, Yeosu-si, Jeollanam-do, on May 2011,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Ichthyology laborator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blastodisc step was the first level for natural spawning. The optic vesicle, Kupffer's vesicle, myotome began to appear 75 hours 57 minutes later. After blastodisc development, the pectoral fins were made at 143 hours 37 minutes and the tail was separated started at the same time. Hatching was observed at 167 hours 27 minutes after blastodisc. The total length of the hatched larvae was 4.95~5.10 mm (mean, 5.01 mm), the mouth and anus were opened. Larvae used yolk completely after 3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larvae was 5.45~5.56 mm (mean, 5.52 mm) after 8 days after hatching, and appeared the stems for tail. The stems pectoral, anal fin were showed after 14 days and the stems dorsal, ventral fin were appeared after 19 days. For 35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of larvae 13.95~15.30 mm (mean, 14.64 mm), and at this time, fins and body were transferred like the adult Oryzias latipes.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in Korea (Pisces: Siluridae)

  • Mun, Seong Jun;Yim, Hu Sun;Han, Kyeong Ho;Park, Jae Mi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4호
    • /
    • pp.399-40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gg development and larva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catfish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clarify the genetic relationship with Siluriformes fish. The mother fish that was used in this study was caught in the stream of Nakdong River in Uiseong-gun, Gyeongbuk.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breeding was $23.0-25.0^{\circ}C$ (mean $24.0{\pm}1.0^{\circ}C$) and egg size was 1.62-1.70 mm (mean $1.66{\pm}0.05$, n=30). Eggs of catfish began hatching at 54 hours and 40 minutes after fertilization.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of larvae was 3.60-3.65 mm (mean $3.62{\pm}0.03$, n=5) and had an egg yolk without swimming ability. On the third day after hatching, the larvae at the medium stage was 8.00-8.65 mm (mean $8.32{\pm}0.45$) in total length, and two pairs of whiskers formed around the mouth were elongated. On the 12th day after hatching, the larvae at the juvenile stage was 16.5-17.0 mm (mean $16.7{\pm}0.35$) in total length, and the stem of each fin was in the range, and the juvenile at this period was morphologically similar to the mother fish.

학공치 Hyporhampus sajori (Temminck et Schlegel) 자치어(仔稚漁)의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s of Halfbeak Fish, Hyporhampus sajori (Temminck et Schlegel))

  • 이승주;한경호;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9-73
    • /
    • 2001
  • 1991년 5월에 포항시 청하면 방어리 소재의 포항수산 종묘시험장 앞 해안에서 채집한 학공치, Hyporhampus sajori (Temminck et Schlegel) 수정란을 부화 사육하여 자치어의 형태발달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7.00~8.50 mm(평균 7.80 mm, n=5)로 입과 항문이 열려 있었고, 근절은 40~42+17~18=57~60개였다. 흑색소포는 머리꼭대기에서 꼬리자루에 이르기까지 등쪽 정중선을 따라 줄지어 있었고, 또한 소화관 등쪽과 항문의 뒤쪽부터 꼬리자루까지 분포하였으며, 두부와 아래턱, 위턱, 그리고 난황 부위와 척색을 따라 흑색소포가 드문드문 분포하였다. 부화 후 3일의 자어는 전장이 8.60~10.90 mm (평균 9.83 mm, n=5)인 자어는 난황을 완전히 흡수하고, 척색 말단이 45^{\circ}로 굽어 후기자어기에 달하였다. 부화 후 37일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32.37~44.95mm (평균 35.26 mm, n=5)로 등지느러미 줄기수 15~17개, 뒷지느러미 줄기수 16~17개, 가슴지느러미 줄기수 12~13개, 배지느러미 줄기수 6개, 꼬리지느러미 줄기수 11~12+12=23~24개로 각 지느러미 줄기 수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 PDF

바위털갯지렁이 Marphysa sanguinea의 인공종묘생산에 미치는 사육환경의 영향 (Effects of Rearing Conditions on the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a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

  • 김창훈;장성욱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40
    • /
    • 2008
  • 갯지렁이류 중 산업적으로 가치가 높은 바위털갯지렁이 Marphysa sanguinea의 인공종묘생산 기술 개발을 위하여 산란습성, 유생발달 및 치충의 성장에 미치는 사육환경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바위털갯지렁이는 수온 $18^{\circ}C{\sim}22^{\circ}C$에 서식공 주변으로 담륜자(trochophore) 시기의 유생을 방출하였고, 방출된 유생은 서식공 주변에 잠시 머무른 후 수조 전체로 퍼져나가는 것이 관찰되었다. 서식공에서 방출된 유생은 8일이 지나면 개구하면서 점액질이 분비되어 몸 전체를 둘러싸는 것이 관찰되었고, 방출 후 20일이 지나면 10체절을 형성하였다. 시판용 모래의 입도별 선택성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phi}1{\sim}2mm$인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고, ${\phi}2{\sim}3mm$ 실험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온에 따른 치충의 성장은 $24^{\circ}C$ 실험구의 성장이 가장 좋았고, 50일간의 실험기간동안 이 실험구의 일간성장률은 1.1%을 나타내어 $21^{\circ}C,\;18^{\circ}C$$15^{\circ}C$구보다 2-3배가 높은 체중과 일간 성장률을 보였다. 염분 또한 치충의 성장과 생존율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30 psu 조건에서 가장 높은 증중 및 성장률을 보였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 및 치어의 섭식과 소화 (Feeding and Digestion by Postlarvae and Juveniles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원문성;장영진;유성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1
    • /
    • 1988
  • 넙치의 종묘생산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넙치 자어 및 치어에 Artemia nauplii와 배합사료를 먹이로 했을 때, 이들의 섭식과 소화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전장 11.38$\~$17.08 mm인 자어 및 치어의 포식에 이르는 시간은 수온 $24\~25^{\circ}C$에서 $45\~55$ 분이었으며, 포식량은 1마리당 236$\~$375개체였으나, 수온 $19\~21^{\circ}C$에서는 거의 1시간이 소요되었다. 소화관내에 섭식된 먹이중 장에서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때는 수온 $24\~25^{\circ}C$에서 먹이를 공급한 후 35분이었고, $19\~21^{\circ}C$에서는 45분이었다. 이때의 백분율은 $24.8\%$였다. 평균전장 4.39$\~$10.64 cm인 치어의 배합사료 포식양은 1마리당 0.04$\~$0.46g이고, 이때 섭식률과 일간성장률은 각각 $5.80\~4.01\%$, $1.13\~0.69\%$였다. 경과시간별 소화관 중량지수의 변화는 포식후 24시간 동안은 급격히 낮아졌으나, 그 이후는 완만하여 공복에 이르는 시간은 48시간으로 추정되었다.

  • PDF

당진 난지도 주변해역에서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coastal waters of Nanji Island)

  • 윤병일;한경호;이성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4호
    • /
    • pp.287-295
    • /
    • 2018
  • The ichthyoplanktons were sampled to study distribution of the ichthyoplankton in coastal waters of Nanji-Island in August and November 2015 and January and May 2016. During the study, fish eggs of eight different species were collected. Engraulis japonicu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which accounted 44.80%. Sebastes schlegeli comprised 31.39% of the total larvae and juveniles. The diversity index of species per month of the collected juveniles at Nanji Island from 2015 to 2016 was 0.598-1.770 and the evenness index was 0.432-0.761. In case of dominance index was 0.619-0.897 against the evenness index. The analyzed species diversity index by the each station was 0.818-1.945 and the dominance index was 0.492-0.897 against the species diversity index. The months of August and May exhibited similar results. In addition, the community structure was very similar in state 2 and state 3.

바다 송사리 Oryzias dancena의 난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발달 (Embryogenesis and Early Ontogenesis of a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 송하연;남윤권;방인철;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7-238
    • /
    • 2009
  • Oryzias dancena의 난발생 과정과 자치어의 형태발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수온 $25{\pm}1^{\circ}C$에서 수정란은 수정 후 1시간이 경과하면 배반이 형성되었다가 30분의 간격으로 4세포기까지 난할이 이루어졌다. 이후로 발생의 속도가 느려져 수정 후, 7시간 45분이 경과된 후 포배기에 이르렀다. 수정 후 5시간 30분 후에 상실기에 도달하였으며, 포배기는 수정 후 7시간 45분 후에 이루어졌다. 수정 후 11시간 30분이 경과된 후 낭배기에 이르렀고, 수정 후 1일 6시간 후, 신경배를 형성하였다. 심장 박동이 시작되는 시기는 수정 후 2일 4시간째에 이루어졌으며, 수정 후 6일 12시간째 장기에 혈관이 형성되었다. 수정 후 11일째에 부화하였고,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이 $4.40{\pm}0.24mm$였으며, 부화 3일 후에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 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1일째에 각 지느러미 기조가 완전하게 형성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으며, 이 때 전장은 $8.67{\pm}0.87mm$였다. 최초 산란이 이루어지는 시기는 부화 후 9주째로 전장은 $22.58{\pm}2.73mm$였다.

탁자볼락(Sebastes taczanowskii) 자치어의 형태발달 및 성장특성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ebastes taczanowskii)

  • 문성준;김진각;김윤하;권예솔;윤성민;박재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
    • /
    • 2023
  • 이 연구는 탁자볼락의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여 분류 및 종자생산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어미는 2016년 3월 강원도 고성군 주변 해역에서 포획한 것을 이용하였다. 자어 산출을 위한 사육수온은 11~12℃(평균 11.5±0.5℃)였다. 산출 직후 자어는 전장 5.25~5.96 mm (평균 5.60±0.19 mm)로 난황을 가졌고 입과 항문은 열려 있었다. 산출 후 35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7.16~11.4 mm (평균 9.02±1.00 mm, n=30)로 척추말단 끝부분이 완전히 휘어졌다. 산출 후 48일째 치어는 전장 9.45~18.7 mm (평균 14.4±1.75 mm, n=30)로 이 시기에는 등지느러미 XIII, 13~15개였고, 뒷지느러미 III, 6~8개, 꼬리지느러미 기조 수는 16개였다.

새만금호 유어기 돌가자미 (Kareius bicololaratus)의 성장과 서식환경 (Growth and Habitat Conditions of Young Stage Right Ey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in the Saemangeum Reservoir)

  • 최윤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1-5
    • /
    • 2009
  • 1995년부터 2007년까지 군산연안의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돌가자미 Kareius bicololaratus (Basilewsky) 유어의 성장과 서식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돌가자미의 부유성 치어는 3월 초순에 새만금 호 주변에서 출현하였고, 4월 중순에 군산 내초도 연안의 조수웅덩이에서 유어들이 저서생활을 시작하여 7월까지 성장하였다. 돌가자미의 유어들이 처음 조수웅덩이에 출현하는 4월 중순에 전장은 1.5$\sim$2.5cm(평균 2.1cm)이었고, 5월 중순에 2.8$\sim$3.5cm(3.3 cm), 6월 중순에 3.0$\sim$5.5cm(4.7cm), 7월 중순에는 6.0$\sim$7.2cm(6.7cm)이었다. 그러나 돌가자미의 유어는 새만금 방조제의 축조 이후 출현량이 감소하였고, 2005년 이후에는 채집이 되지 않았다. 새만금 방조제 축조 이후 염분도와 저질 변화 등의 환경변화가 새만금호 주변의 돌가자미의 산란과 성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