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 growth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4초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의 산란유발 및 유생사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Spawning Induction and Larvae Breeding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 김병학;문태석;박기열;조필규;김민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1-156
    • /
    • 2010
  • 본 연구는 말백합 산업화를 위하여 어미성숙 관리한 인위성숙개체군과 시기별로 어미를 수송 채란한 자연성숙개체군을 산란유발 방법 별로 산란을 유도하여, 수정율, 부화율, D형 유생 발생률을 조사하였고, 유생사육 방법별로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등을 조사하였다. 인위성숙개체군의 간출시간별로 산란 유도한 결과 간출 4시간 및 8시간이 반응률이 23% 및 32%로 비교적 높았고, 수온 상승별로는 $28^{\circ}C$ 이상 되어야 반응이 시작되었다. 간출 및 수온상승 병행 시험구에서는 간출 4시간 및 $28^{\circ}C$에서 반응률이 45% 이상으로 나타났고, 29, 30, $31^{\circ}C$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말백합 어미는 간출시간보다는 수온상승에 반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미수송개체군의 시기별 산란유발 결과는 2009년 8월 6일이 반응률 67.6%, D형 유생 발생률이 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생사육 시험 중 수온별로는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고려할 때 유생사육 적정수온은 $27-31^{\circ}C$, 최적수온은 $29^{\circ}C$로 나타났고, 염분은 25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수용밀도별로는 5 inds./mL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장수풍뎅이 유충의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다양한 식물 균류병의 생물적 방제 및 생장촉진 (Plant Growth Promotion and Biocontrol Potential of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Using Gut Microbes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

  • 김준영;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10-221
    • /
    • 2020
  • 곤충은 장내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과 상호작용을 통해 공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공생자는 공진화를 통하여 극한 환경에서도 서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토양 속에서 부엽토와 식물 잔재를 먹고 사는 장수풍뎅이 유충의 장내에 존재하는 공생자는 식물병원균을 방제하는 데 유용한 미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식물병원균에 대해 활성을 갖는 유용 미생물 10종을 장수풍뎅이 유충의 소화기관 전장, 중장, 후장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10종의 유용 미생물은 유묘 검정을 통하여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배추 뿌리혹병, 고추 탄저병, 고추 역병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10종의 항균활성 미생물은 형태적 특성과 16s rRNA gene 분석으로 Bacillus속 4종, Paenibacillus속 3종 및 Streptomyces속 3종으로 동정되었다. 유용 미생물은 인산 가용화, indole-3-acetic acid, siderophore 생성 활성이 우수하며 진균외막가수분해 효소인 β-1,3-glucanase, pretease 활성을 보였다. 10종의 유용 미생물 중, DM152 균주는 토마토와 고추 식물체의 모든 기관에서 생장을 촉진시켰다. 따라서, 장수풍뎅이 유충의 소화기관으로부터 분리된 10종의 장내 미생물은 생물학적 방제제 및 생물비료의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 자원조성을 위한 양식생물학적 연구 I. 난발생과 유생사육 (Biological Studies on Aquaculture for Resources Enhancement of Protothaca jedoensis I. Egg Development and Larva Reared)

  • 윤호섭;김정;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0-266
    • /
    • 2005
  • 살조개의 안정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온별 난발생, 먹이생물, 밀도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살조개의 발생가능 수은은 $15{\~}30^{\circ}C$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D형 유생에 이른시간은 $15^{\circ}C$에서 $30^{\circ}C$까지 각각 39.7, 31.2, 26.8, 26.2시간이 소요되었다 수온별 유생사육에서는 $30^{\circ}C$에서 성장과 생존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사육밀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4${\~}$6 ind./ml의 밀도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먹이생물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먹이생물농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1{\times}10^4$ cells/ml에서 $218{\mu}m$$45\%$로 가장 높았다.

솔나방의 變態에 따른 血蛋白質의 變化 (Studies on the Haemolymph Proteins during the Metamorphosis of the Pine Moth,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 Yoo, Chong-Myung;Lee, Kyung-R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1-92
    • /
    • 1974
  • 山林害蟲인 솔나방(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의 變態에 따른 血蛋白質의 變化를 調査하기 위하여 acrylamide gel 電氣永動法을 이용하여 測定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血蛋白質의 band는 移動度에 따라 22개(1-22)의 종류를 나타냈다. 2. 血蛋白質의 濃度는 band 數, 染色强度, 移動度를 가지고 비교할 때 stage에 따라서 定量的 差異를 나타내며, 幼蟲이 성장함에 따라 增加하였고, 終齡幼蟲에서 가장 높은 濃度를 나타냈다. 3. 血蛋白質의 band는 終齡幼蟲을 지나 幼蟲器官의 解消가 일어나는 용전기에서 減少하고, 成蟲器官의 新生이 시작되는 용후기에서 다시 增加하였다. 4. PAS 반응, toluidine, Sudan black을 이용한 조직화학적 반응결과 終齡幼蟲에서 가장 많은 glycoprotein, mucopolysaccharide, lipoprotein등이 검출되었다. 5. 脂肪體와 腸에 있어서도 血蛋白質의 band 數와 비슷한 特性을 나타내었고 濃度의 變化도 유사하였다.

  • PDF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sisr 유생의 발생단계별 냉동-해동후 생존율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Larvae in Five Developmental Stages)

  • 김영신;최윤희;이정용;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35-38
    • /
    • 2001
  • 동해안산 북방대합의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유생단계를 선택하기 위해, 담륜자, 초기 D상 유생, 후기 B상 유생, 초기 각정기, 후기 각정기 유생에 대한 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동해방지제로는 dimethyl sulfoxide와 ethylene g1yco1를 사용하였다. 동해방지제에 각 단계의 유생을 10분간 두어 평형상태에 달하게 한 다음, 냉동하여 액체질소에 보존하였다. 해동결과,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유생은 담륜자로서 동해방지제 2.0 M BMSO와 2.0 M ethylene glycol에서 생존율은 각각 97.4%와 85.0%였다. 발생이 진행된 유생일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곤충식품 개발 현황 및 전망 (Status and prospect for development of insect foods)

  • 윤은영;황재삼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9권4호
    • /
    • pp.31-39
    • /
    • 2016
  • The reasons for selecting insects as future food are high growth and feed conversion rates, reproduce quickly, low environmental footprint, valuable source of nutrients, and source of a various undeveloped functional materials. Since 2014, Tenebrio molitor larva, Protaetia brevitarsis larva, Allomyrina dichotoma larva, and Gryllus bimaculatus were registered as new food in Korea because it has been scientifically proven that they are not harmful to eat and nutritious. Therefore they can be legally produced and sold as food. Accordingly, there are 7 species of edible insects including grasshopper, silkworm pupa, and Baekgangjam in Korea. To improve aversion to edible insects, using their powder, chop, and gravy hidden their morphology, we developed more than 100 different kinds of recipes for general food menu, held several times tasting events to be familiar with edible insect food, and published cookbooks. Moreover, we developed more than 50 kinds of recipes for patients. To eat the insect food more and more people, we have been analyzed various function of insects. If health food based on the results of functional analysis is developed, edible insect's value will be raised. If various insect foods are developed and consumed by people, edible insect market will grow up more than 100 billion won in 2020.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의 성장과 삼투압 조절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and Osmoregulation of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 전민지;강경호;장영진;이종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3-135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and osmoregulation of the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the fish (post-larva, juvenile, adult) reared in seawater were directly transferred into the experimental rearing water of the different salinities (post-larva : $0\textperthousand$, $5\textperthousand$, $10\textperthousand$, $15\textperthousand$, $20\textperthousand$, $30\textperthousand$. juvenile : $0\textperthousand$, $\10textperthousand$, $20\textperthousand$, $30\textperthousand$. adult : $0\textperthousand$, $15\textperthousand$, $35\textperthousand$, respectively). Fish samples were taken in time courses after transfer for blood and body fluid collection. The changes of sodium, potassium concentration and osmolality of the body fluid and plasma, muscle water content, gonadosomatic index (GSI) and hepatosomatic index (HSI) in the experimental fish were observed in time courses. Growth rate of the post-larva in $\5~25\textperthousand$ were faster than in $0\textperthousand$ (P<0.05). Survival rate was very low in $0\textperthousand$ (P<0.05). No fish survived more than 50 days after transferred into $0\textperthousand$. The concentration of sodium, potassium and osmolality in body fluid of the juvenile sweetfish were slightly decreased at 0.25 day after the beginning of the maintainable level of sodium, potassium and osmolality were $36.4\pm6.2 mM/\ell, 47.5\pm0.7 mM/\ell, 366.3\pm19.1 mOsm/kg, respectively. Except potassium concetration, fish in $0\textperthousand$ and $10\textperthousand$ displayed the pattern of hypoosmotic regulation. Growth rate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s of $30\textperthousand$ are significantly low than other groups (P<0.05). The concentration of sodium, potassium and osmolality in plasma of adult sweetfish were slightly decreased at 1 day after the beginning of the maintainable level of sodium, potassium and osmolality were $159.0\pm2.5 mM/\ell, 5.8\pm0.9 mM/\ell, 338.1$\pm13.3 mOsm/kg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se values, fish in $0\textperthousand$ and $15\textperthousand$ displayed hypoosmotic regulti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adult in $35\textperthousand$ are significantly low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GSI was the highest in $15\textperthousand$ after 60 days. HSI was the lowest in $35\textperthousand$. With decreased salinities, oxygen consumption was found to be decreased i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more than $30\textperthousand$.

  • PDF

Supplementation of Dried Mealworm (Tenebrio molitor larva)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s in Weaning Pigs

  • Jin, X.H.;Heo, P.S.;Hong, J.S.;Kim, N.J.;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979-986
    • /
    • 201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ed mealworm (Tenebrio molitor larva)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s in weaning pigs. A total of 120 weaning pigs ($28{\pm}3days$ and $8.04{\pm}0.08kg$ of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one of five treatments, based on sex and body weight, in 6 replicates with 4 pigs per pen by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Supplementation level of dried mealworm was 0%, 1.5%, 3.0%, 4.5%, or 6.0% in experimental diet as treatment. Two phase feeding programs (phase I from 0 day to 14 day, phase II from 14 day to 35 day)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ll animals were allowed to access diet and water ad libitum. During phase I, increasing level of dried mealworm in diet linearly improved the body weight (p<0.01), average daily gain (ADG) (p<0.01)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p<0.01). During phase II, ADG also tended to increase linearly when pigs were fed higher level of dried mealworm (p = 0.08). In addition, increasing level of dried mealworm improved the ADG (p<0.01), ADFI (p<0.05) and tended to increase gain to feed ratio (p = 0.07)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As dried mealworm level was increased, nitrogen retention and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s well as crude protein were linearly increased (p = 0.05). In the results of blood profiles, decrease of blood urea nitrogen (linear, p = 0.05) and increase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linear, p = 0.03) were observed as dried mealworm was increased in diet during phase II.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munoglobulin A (IgA) and IgG concentration by addition of dried mealworm in the growth trial. Consequently, supplementation of dried mealworm up to 6% in weaning pigs' diet improves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 on immune responses.

교잡원종에 있어서 잠란의 크기가 계량형질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Egg Size an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in Silkworm, Bombyx mori)

  • 김충곤;노시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19
    • /
    • 1992
  • 몇 가지 교잡원종에 있어서 란의 크기가 차대잠의 계량형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모든 품종에 있어서 란의 크기와 의잠체중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2령까지의 유충체중에 있어서도 대형란구의 유충이 가장 무거웠고 소형란구의 유충이 가장 가벼웠다. 장잠기 유충체중은 유럽종 E16을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대형란구의 유충이 가장 무거웠으나 정상란구와의 차이는 적었다. 2. 유충경과일수에 있어서는 유럽종 El6을 제외하고는 대형란구가 가장 짧았으며 란의 크기와 화용비율과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유충체중, 유충경과일수 등의 형질은 품종에 따른 영향이 란의 크기에서 오는 영향보다 컸으며 견형질에 있어서는 대형란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암모니아의 영향 (Effects of Ammina on Survival and Growth of the Flounder Larva, Paralichthys olivaceus)

  • 김형수;김흥윤;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8-495
    • /
    • 1997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자어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암모니아의 급성 및 만성독성 영향을 단기 독성시험법에 준하여 생물검정시험을 실시하고 자어의 성장단계별 암모니아 내성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농도를 산출하였다. $96hr-LC_{50}$ 부화후 7일이 경과한 자어가 $0.300mg\;NH_3/\ell$, 21일된 것은 $0.572mg\;NH_3/\ell$로 증가하다가 부화후 23일째에는 $1023mg\;NH_3/\ell로 증가하여 넘치 자어는 성장단계의 초기에 암모니아의 독성에 민감하고 성장하면서 강한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화후 경과일수와 비이온성 암모니아의 농도(X)에 대한 $96hr-LC_{50}(Y)$과의 관계식은 $Y=0.0516+0.034{\cdot}X(r=0.854)$였다. 부화 후 1, 3, 5일째의 자어에서 $24hr-LC_{50}$은 부화후 경과일수가 길어질수록 높았으나, 노출시간이 지속되이도 $LC_{50}$은 매우 완만하게 감소하여 threshold $LC_{50}$ 각각 $0.293mg\;NH_3/\ell,\;0.248mg\;NH_3/\ell$ 이었다. 부화 후 16일째의 자어를 암모니아 농도별로 7일간 노출시킨 후의 생존율은 대조구의 경우 $96.7\%,\;0.341mg\;NH_3/\ell$에서는 $83.3\%$였으며, 자어의 체장과 체중은 암모니아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체장에 대한 NOEC와 LOEC는 각각 0.102 및 0.151mg $NH_3/\ell$, 체중에 있어서는 각각 0.151 및 $0.198mg\;NH_3/\ell$으로 체장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자어의 체장측정치에 대한 변동계수 (CV, coefficient of variation)는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서 고농도일수록 체장성장은 느리고 개체간 체장변이가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