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ix kaempferi forest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s of Experimental Drought on Soil CO2 Efflux in a Larix Kaempferi Stand

  • Kim, Beomjeong;Yun, Youngjo;Choi, Byoungk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53-257
    • /
    • 2018
  • Climate models forecast more frequent and a longer period of drought events which may impact forest soil carbon dynamics, thereby altering the soil respiration (SR) rate. We examine the simulated drought effects on soil $CO_2$ effluxes from soil surface partitioning heterotrophic and autotrophic soil respiration sources. Three replicates of drought plots ($6{\times}6m$) were constructed with the same size of three control plots.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CO_2$ and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each being measured at a soil depth of 15 cm. We also compared which factor affected $CO_2$ efflux more under drought conditions. Total SR, autotrophic respiration (AR) and heterotrophic respiration (H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il temperature (p < 0.05), and the relationships were stronger in roof plots than in control plots. Total SR, AR, and HR were negatively correlated only in roof plots, and the only HR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 < 0.05, r = -0.59). Soil respiration rates were more influenced by soil temperature than by soil moisture, and this relationship was more evident under drought conditions.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의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 (Selecting the Optimal Method of Competition Index Computation for Major Coniferous Species in Korea)

  • 이정호;이대성;서영완;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93-204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을 대상으로 거리종속 경쟁지수 모델 및 경쟁목 선정방법에 따른 최적 경쟁지수 모형을 선발하고, 수종별 간벌강도 및 입목밀도에 따른 경쟁지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료는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국유림 내 분포하는 소나무림, 잣나무림,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각 2회씩 조사된 표준지 80개소의 총 240개 시험구 내 입목정보를 활용하였다. 경쟁지수가 산출된 입목 수는 수종별로 소나무 1126본, 잣나무 4093본, 낙엽송 3399본 이었다.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을 위하여 흉고단면적 정수, 수고 및 지하고의 각도를 이용하여 경쟁목을 선정하는 방법을 고려하였으며, 기존 Lorimer, Martin-EK, Braathe, Heygi, Daniels 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Modified Daniels 모델까지 총 6가지 경쟁지수 모델을 비교하였다. 최적 모형 선정을 위한 상관분석 결과, 흉고단면적 정수 $4m^2/ha$를 이용한 경쟁목 선정방법과 Modified Daniels 경쟁지수 모델이 이용된 모형에서 가장 좋은 상관이 나타나 최종적인 모형으로써 경쟁지수가 산출되었다. 임분특성에 따른 경쟁지수를 파악한 결과,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모두 간벌강도가 강할수록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경쟁지수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기후와 지형 조건을 반영한 우리나라 주요 수종의 반경 생장 반응 예측 (Estimating Radial Growth Response of Major Tree Species using Climatic and Topographic Condition in South Korea)

  • 최고미;김문일;이우균;강현우;정동준;고은진;윤병현;김찬회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7-137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의 주요 수종을 대상으로 기후와 지형 조건에 따른 반경 생장 반응 및 잠재 분포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후와 지형 인자에 따른 반경 생장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의 임목조사 및 연륜 정보, 지형습윤지수, 기온, 강수량자료를 반영한 생장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잠재 분포를 예측하기 위해 RCP8.5 시나리오를 활용하였다. 생장 반응을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은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밤나무 생장에 부(-)의 영향을 주는 반면, 신갈나무를 포함한 참나무류 생장에는 정(+)의 영향을 주며, 강수량의 증가는 소나무와 신갈나무 생장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기후인자에 의한 수종별 생장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온도 및 강수량이 임목의 수분스트레스, 생장기간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모형에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밤나무의 생장이 참나무류에 비해 기후변화에 취약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소나무의 경우 내륙보다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생장이 저조해질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참나무류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그 분포가 크게 넓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주요 수종의 생장 변화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방안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산 주요 침엽수재 문양의 출현 형태 (Appearance Pattern of Figures in Commercial Domestic Softwoods)

  • 박병호;권성민;권구중;장재혁;김남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8-195
    • /
    • 2010
  •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domestic softwood timbers to replace imported timbers for woodcrafts and furniture-making. Figures on radial and tangential sections were observed with naked eyes. As the result of study on the figures appeared on the wood surface of 6 species of trees, flat grain and edge grain were clearly found from Taxus cuspidata. Juniperus chinensis and Ginkgo biloba had wavy grain figure and pigment figure, and blister figure was found in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showed pitch streak and irregular figures on its tangential section due to growth abnormalities. Wavy grain figure appeared weakly on near knot of Pinus koraiensis. The characteristic figures shown from each species of tree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crafts, sculptures, furniture, and interior decoration. They are also considered to have great potential to substitute imported timber sufficiently, which are currently used a lot for wood crafts and furniture-making.

  • PDF

청주시 매봉산 도시림의 식생, 토양특성 및 토양미소절지동물상 분석 (The Vegetation,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Microarthropods of Maebongsan Urban Forest in Cheongju-si, Korea)

  • 김흥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17
    • /
    • 2016
  • The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Maebongsan urban forest in Cheongju-si through investigating the vegetation,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microarthropods. Phytosociological analysis for twenty plots revealed that th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Pinus rigid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Castanea crenat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strobus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Larix kaempferi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showed that afforestation tree species like Castanea crenata,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dominate the urban forest. DBH analysis indicated that although the plant communities seem to be under the succession to Quercus forest, the dominance of Castanea crenata and Robinia pseudoacacia might still persist for several more decades. The properties of soils from the plant communities showed that loamy sand and sandy loam in soil texture, low organic matters, and severe acidification. The abundance of soil microarthropod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plant communities except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The two communities showed especially low abundance of collembola and acarina. Thus, we can say that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strongly by anthropogenic activities.

Evaluation of Friction Properties According to Normal Force and Direction of Wood Grain in Real Contact Area

  • Park, Chun-Young;Kim, Chul-Ki;Kim, Hyung-Kun;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5호
    • /
    • pp.437-443
    • /
    • 2011
  • In Korea, there has been a traditional post and beam wood construction with large roof load. Because a large friction is generated in wooden joint or member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friction between wood members according to wood direction. Because most of studies have been concerned with friction between wood and steel, excluding effect of real area of contact, there are a few studies on the friction between wood member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riction or coefficient of friction according to normal force and real area of contact of wood. With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test specimens, five steps of normal force and combinations of test were prepared. Results indicated that normal force had almost no affection on the friction,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about friction or coefficient of friction according to real contact conditions of wood grain and contact area.

국산 낙엽송재의 횡압축과 다우얼 지압 성능 (Lateral Compression and Dowel Bearing Property of Japanese Larch Grown in Korea)

  • 황권환;박병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61-69
    • /
    • 2008
  • 구조부재의 압축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낙엽송 소재에 대해 섬유방향 및 섬유직각방향 압축시험을 행하였다. 시험편의 길이와 가압판의 크기에 따른 압축성능을 검토하였으며 현행 기준의 최소끝면거리의 적정성에 대해 검토하기 위하여 다우얼 지압지점으로부터 시험편의 섬유방향에 대해 변형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가압판의 크기에 따라 압축성능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다우얼형 파스너의 최소끝면거리(end distance)는 내부변형을 고려할 경우 현행 7 D보다 높게 적용하여야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잎갈나무와 리기다소나무 고사목의 호흡속도: 고사목의 부후등급과 이화학적 특성의 영향 (Coarse Woody Debris (CWD) Respiration Rates of Larix kaempferi and Pinus rigida: Effects of Decay Clas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WD)

  • 이민규;권보람;김성근;윤태경;손요환;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40-49
    • /
    • 2019
  • 고사목(CWD)은 산림생태계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산림의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고사목은 탄소를 격리하는 장기 저장고로서, 산림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탄소의 속도를 지연시키는 측면에서 고사목의 호흡속도를 구명하는 것은 의의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대중부지역의 일본잎갈나무와 리기다소나무 고사목을 대상으로 호흡속도를 측정하고, 호흡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밀도, 함수율, 탄소농도, 질소농도 및 C/N비)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2018년 여름, 우리나라 중부지역 14개 임분에서 부후등급 별로 시료를 채취하고, 실험실에서 휴대용 이산화탄소 센서를 부착한 밀폐형 챔버를 이용하여 고사목 호흡을 측정하였다. 두 수종 모두 부후가 진행함에 따라 고사목 밀도는 감소하였으며, 함수율은 증가했다. 또한 탄소농도는 부후등급에 따라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질소농도는 증가하고 C/N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본잎갈나무의 경우 부후 IV등급까지 고사목의 호흡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리기다소나무에서는 부후 II등급까지 증가 후 평형상태를 보였다. 따라서 탄소농도를 제외하고, 모든 인자들이 호흡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단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두 수종 모두 함수율이 고사목 호흡속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고사목의 수분은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여 호흡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온도와 광 환경 등 복잡하게 연결된 환경인자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향후 이들의 상호관계 및 수분의 시계열적패턴 추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Relationship between Lignin Content and the Durability of Wood Pellets Fabricated Using Larix kaempferi C. Sawdust

  • Yang, In;Jeong, Hanseob;Lee, Jae Jung;Lee, Soo 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110-123
    • /
    • 2019
  • This work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ignin content and the durability of larch (LAR) pellets. LAR sawdust was immersed in tap water (TW), sulfuric acid (AC) and sodium hydroxide (AK) solutions, and then the immersed sawdust was used for pellet fabrication. Klason lignin (KL) content of the immersed LAR, contents of soluble lignin (SL) and monomeric sugars liberated from the immersion of LAR, and durability of LAR pellets were measured. KL content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C and AK solutions increased, but glucose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e in AC and AK concentration. Durability of wood pellets fabricated using non-immersed LAR sawdus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made using TW-, AK- and AC-immersed sawdust. LAR pellets became more durable as the concentration of KL and SL increased, bu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only between pellet durability and KL content. Through the fluorescent microscopic observation and SEM-EDX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lignin content of non-immersed LAR pellets was higher than that of AC- and AK-immersed LAR pell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gnin might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inter-particle bonding in wood pellets.

목탄 및 수피탄의 중금속 이온 제거 (Removal of Heavy Metal Ions Using Wood Charcoal and Bark Charcoal)

  • 조태수;이오규;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9-37
    • /
    • 2007
  • 탄화온도 차이에 따른 목질 탄화물의 중금속 흡착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목부와 낙엽송(Larix kaempferi) 수피분말을 $400{\sim}900^{\circ}C$에서 탄화하였다. 목질 탄화물의 pH는 재료의 종류와 관계없이 탄화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여 $900^{\circ}C$의 목탄 및 수피탄은 각각 10.8, 10.4를 나다내었다. 또한 탄화 온도 증가와 함께 탄소함량비가 증가하고 동일 탄화온도에서 목탄에 비해 수피탄의 탄소함량비가 큰 경향을 보였다. 액상흡착력을 나타내는 요오드흡착력은 목탄이 수피탄보다 다소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목탄과 수피탄에 의한 15ppm의 Cd, Zn 및 Cu 중금속용액에 대한 흡착제거율을 조사한 바, 높은 탄화온도에서 제조된 목탄과 수피탄일수록 높은 중금속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탄화물 종류에 있어서는 목탄이 수피탄 보다 높은 중금속 제거율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목탄의 경우, $500^{\circ}C$ 이상에서 제조된 탄화물 0.2 g의 사용으로 거의 100%에 가까운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흡착질 종류에 있어서의 제거성능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탄화물의 흡착성은 Cu>Cd>Zn 순으로 높았다. 이는 목탄과 같은 흡착제와 흡착의 대상이 되는 흡착질과의 물리 화학적 상호관계가 흡착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목탄의 흡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