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 dam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3초

댐 비상방류 설계기준 선정을 위한 수리수문학적 검토(II) (Hydraulic & Hydrologic Design Criteria for an Emergency Drainage of Reservoir (II))

  • 이재응;손광익;강민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3호
    • /
    • pp.159-167
    • /
    • 2015
  • 댐 운영에 있어서 저수지 초기 담수 시 또는 집중호우 등에 의한 급격한 수위 상승 방지나 운영 중에 댐체 점검 및 수리 또는 자연재해로 인한 위급한 상황 발생 등 저수지를 비워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비상 시 방류할 계획 및 설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이러한 비상방류에 대한 기준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댐 안정성 제고를 위해 유사시 저수지 저류량을 안전하게 배제시킬 수 있는 비상방류 설비를 저수지 모의 모형인 HEC-ResSim 모형을 이용하여 규모 및 배제일수에 대하여 모의하고 산정하였다. 저수지 규모에 따라 세 개의 댐에 대해 검토하였다. 대상댐은 저류용량을 기준으로 10억 $m^3$ 이상인 소양강댐과 1~10억 $m^3$ 댐으로 합천댐, 1억 $m^3$ 미만의 댐으로 대곡댐을 선정하여, 방류시설의 규모를 산정하고 배제일수를 모의하여 기준의 적정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댐 건설에 따른 하류 유황의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due to Dam Construction)

  • 김태균;윤용남;안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807-81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에 따른 댐 하류 유황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청댐이 위치해 있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댄 건설 전후의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분석해서 댐 하류 수표면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유황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대청댐 하류에 위치한 공주 수위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해서 댐의 건설에 따른 하류 유황변화를 분석을 실시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댐의 홍수조절에 따른 홍수량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청댐 하류의 공주와 규암지점의 연 초과치 계열에 대한 빈도해석을 실시하고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댐이 하류하천의 유황을 개선하고 일정하게 유지해서 안정적인 수자원 공급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과 첨두유량의 감소로 홍수피해를 저감시켜주는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수자원의 관리 및 이용측면에서 이·치수에 기여하는 댐의 긍정적인 효과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사력댐의 정상상태 침투량 예측식 (An Equation to Estimate Steady-State Seepage Rate of Rockfill Dam)

  • 이종욱;임희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0호
    • /
    • pp.69-8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자원공사가 건설 및 관리하고 있는 8개 대규모 사력댐을 대상으로 불포화 침투류해석을 실시하고 저수위의 변화, 차수죤의 형상변화와 포화 및 불포화 수리특성의 변화에 대한 사력댐 제체의 침투량을 분석하여, 불포화 영역을 통한 침투량을 고려할 수 있고 높이 50m 이상의 국내 대규모 사력댐에 적용 가능한 사력댐 제체의 침투량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예측식에 의한 침투량은 불포화 흐름을 고려하지 않는 기존 이론식 (Sakamoto, 1998)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큰 값을 나타내었고, 그 차이는 저수위가 낮아지면서 증가하고, 저수위가 높아지면서 감소하였다. 기존 사력댐에서 측정된 실측 침투량을 제안된 예측식에 의한 예측치와 비교한 결과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예측식은 차수죤의 상 하류 사면경사가 1V:(0.2 ~0.3)H의 범위인 사력댐에 대한 불포화 침투류해석 결과에 기초하며, 불포화 흐름을 고려하므로 기존 예측식(Sakamoto, 1998, Chapuis와 Aubertin, 2001)에 비해 실제 현상에 가까운 예측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금강유역 대형댐 하류 하도지형 경년변화 및 하상재료 종적변이 연구 (Temporal Adjustment of Channel Geometry and Spatial Changes in Riverbed Materials along the Downstream Channels of Large Dams in the Geum River basin)

  • 옥기영;최미경;박형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87-294
    • /
    • 2019
  • 대형댐 하류의 수용생태계에서는 상류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과 토사 이동의 양적 단절과 질적 변환에 따라 서식처의 물리화학적 교란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금강 중상류역을 대상으로 대형댐에 의한 하상재료와 토양의 종적변화, 그리고 대형댐 건설 이후 하류 하천의 하도지형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댐 상·하류 하상재료 입도분석 결과, 용담댐 구간은 상·하류 모두 호박돌, 굵은자갈로 조립화되어 있었으며, 대청댐 구간은 댐하류에서 중간입경이 가는자갈로 급격히 감소하고 모래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토양유기물은 두 개의 댐 모두 하류에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고지도와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대청댐 하류의 하도지형을 분석한 결과, 사주면적의 감소와 사주 내 식생비율의 급격한 증가, 사행도와 저수로폭의 감소 경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댐 건설에 따른 서식처 변화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댐 하류 조절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기 위한 복원관리 방안을 도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청주 지방의 시정 변화에 관한 연구 (On the change of visibility in the Chongiu area during 1989-1992)

  • 이성범;정용승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09-216
    • /
    • 1994
  • The Daechong dam is located nearby Chongju city, and the population alone in the Chongju-Chongwon area is over one half million.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days for fog occurrence after constructing the dam was much fewer than those before constructing it. It appears that the construction of a large dam did not cause to increase in the occurrence of fog in the Chongju area, and that was the increase due to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wind direction. Low visibility in the Chongju-Chongwon area occurred frequently. In summer, Chongwon recorded more days of poor visibility than those observed at Chongju. It is thought that TSP, $\textrm{SO}_2$ and $\textrm{NO}_2$ 씨오투 were the main constituents of air pollutants causing the reduction in visibility. Those air Pollutants are produced by vehicles and industrial activities in the region.

  • PDF

CFRD의 담수 후 정부침하량 예측 (Crest Settlement Prediction of Concrete Faced Rock-Fill Dam After Initial Impounding)

  • 김용성;박한규;임희대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349-354
    • /
    • 2005
  • In this study,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23 CFRD was investigated from monitoring data and the method to estimate the crest settlements considering internal settlement during constructions was proposed. Moreover, crest settlement smaller than 20cm and deflection of face slab smaller than 20cm are not considered to be critical to the stability of large dam whose height is over 40m. Therefore, we assigned the region as safe zone that can be used as a guideline of maintenance of dam. These estimated data can be used in the design, construction and long-term maintenance in domestic CFRD hereafter.

  • PDF

SWAT 모형을 이용한 소양강댐 유역의 비점오염 모델링 (Modeling of sediment and nutrients loadings from the Soyang Dam upstream watershed with SWAT)

  • 김철겸;김남원;이정은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88-293
    • /
    • 2005
  • In this study, SWAT model was applied to the Soyang Dam upstream watershed in order to evaluate the model applicability for estimating runoff, sediment, and nutrients loadings from the watershed. By trial and error method, the model parameters related with runoff, sediment,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calibrated step by step. Then the simulated runoff, sediment, and nutrients loadings by the model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measured at the Soyang Dam, the outlet of the watershed. And several statistical criteria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model performance. From the comparison and statistical criteria, good agreement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stream flows was found. For sediment and nutrients, it was not reliable to quantitatively model the observed values, but the model could simulate the trend with reasonable accuracy. Hence, it was concluded that the model can be applied for the long-term non-point modeling in a large watershed.

  • PDF

강원 인제지역 토석류 사방시설의 준설 및 퇴적 특성 (Characteristic Analysis of Dredging and Sedimentation Debris Control Facilities in Inje, Gangwon)

  • 박병수;전상현;엄재경;조광준;유남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5-22
    • /
    • 2013
  • 강원도 인제지역의 토석류 사방시설 유형에 따른 준설 및 퇴적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불투과형 및 투과형 사방댐을 각각 5개소를 선정하고 선정된 사방댐에 대한 퇴적특성 및 지하수위 분포에 대한 현장조사와 지역 내에 분포하는 51개 사방시설에 대한 유역면적, 저장능력, 준설량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불투과형 사방댐은 평상 시 대규모 토석류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퇴적물이 쌓여있어 대규모 토석류 발생 시 사방댐 저장능력이 작아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불투과형 사방댐의 평상 시 수위는 퇴적토의 지표에 위치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나, 투과형 사방댐 수위는 버트리스 부분 하단에 존재하여 큰 강우에서도 사방댐으로 인하여 지반 포화를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방시설의 저장능력과 유역면적, 준설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사방시설의 설치에 있어 유역면적에 따른 사방시설의 규모가 잘 반영되지 않았으며 큰 사방댐 시설을 건설하였으나 실제 퇴적량은 작게 나타나 향후 효율적인 사방시설의 계획 및 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상류 댐 방류량 및 하천수 사용량이 팔당댐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ing the Effect of Upstream Dam Outflows and River Water Uses on the Inflows to the Paldang Dam)

  • 김철겸;김남원;이정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1호
    • /
    • pp.1017-10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의 팔당댐 상류를 대상으로, 상류 댐들의 운영 및 하천수 사용이 하류구간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SWAT-K 유역모형을 적용하여, 2001~2009년에 대해 상류댐 운영 및 하천 취수량 적용 유무에 따른 조건별 모의결과를 분석한 결과, 소양강댐과 충주댐 등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방류량이 갈수기와 홍수기의 하류구간 유출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갈수량이 팔당댐 지점에서 $100.57m^3/s$, 북한강 종점 $33.01m^3/s$, 양평수위표 지점 $49.66m^3/s$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천수 사용에 따른 영향은 북한강 지역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한강 지역도 양평수위표 지점에서 $0.98m^3/s$의 갈수량 감소가 나타나 팔당댐 유입량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장기간의 유출 및 유황분석에서는 횡성댐과 같이 규모가 작은 댐 운영이나 하천수 취수 영향은 제외시켜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물이용이 집중되는 특정기간의 정교한 수문해석이나 취수량이 많은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하는 유출 분석에서는, 취수량은 물론 유역내 물이동량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복통을 갖는 저수지의 결함 조사 및 보수보강 방안 (Methodologies for Survey and Retrofit of Small Dams Pierced by Diversion Tunnel)

  • 장봉석;임은상;오병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75-82
    • /
    • 2008
  • 국내에는 약 18,000여개의 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중에서 대댐으로 분류되는 1,200여개의 대댐은 비교적 양호하게 운영 관리되고 있으나, 지자체 등에서 관리하는 소규모의 댐들은 대부분 제체를 관통하는 복통을 갖고 있으며, 제도적 장치의 미비와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댐들에서 자주 발생하는 결함의 유형에 대해서 고찰하고, 결함의 보수보강을 통하여 소규모 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전기비저항 탐사를 통하여 결함의 진행정도를 파악하고, 보수보강 이후의 보수보강 효과를 판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