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d oil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2초

유백피(Ulmi cortex)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Ulmi cortex Extract)

  • 이경행;전은경;유시영;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73-379
    • /
    • 2000
  • 유백피의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로 유백피 추출물을 제조하여 lard emulsion에 첨가하여 6$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분획물의 첨가농도의 결정 및 기질특이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생체내에서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흰쥐 간 micmsome 을 사용하여 유도된 지질 과산화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유백피의 추출물은 물추출물에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물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았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 0.05%(w/w) 첨가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0.01%, w/w)와 비슷한 항산화 활성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 0.05%(w/w)는 돈지, 대두유, 팜유 및 옥수수유에서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 microsome 분획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는 비효소적 지질 과산화 검정계인 Fe$^{++}$ascorbate system과 효소적 지질 과산화 검정계인 Fe$^{++}$-ADP/NADPH system 모두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 첨가가 caffeic acid보다 강한 억제율을 보였다.

  • PDF

패모, 어성초, 쇠비름 및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용매 분획별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ome Edible Plant Solvent Extracts with Various Synergists)

  • 이연재;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3-688
    • /
    • 1993
  • 예비 실험 결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패모, 어성초, 쇠비름 그리고 들깨박의 75%ethanol 추출물을 얻고 이를 다시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그리고 물 순으로 용리, 분획물을 얻고 이들과 함께 tocopherol, citric acid, ascorbic acid를 팜유와 돈지에 첨가, Rancimat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쇠비름 추출물이 돈지에 대한 산화 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AI 1.41)모든 실험 식물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불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고 synergist로서는 ascorbic acid가 우수하였고 ${\delta}-tocopherol$을 혼합시에도 효과가 상승하였다. 패모, 어성초, 쇠비름의 ethyl acetate 분획층과 ascorbic acid 200ppm씩을 팜유에 첨가하였을 때 antioxidative index(AI)는 각각 1.60, 1.53 그리고 1.47이었고 쇠비름과 들깨박 ethyl acetate 분획층과 ${\delta}-tocopherol$ 200ppm씩을 돈지에 첨가했을 때 AI는 각각 3.19 및 3.63으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 PDF

식용유지의 가열시 와송 추출물이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ong(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Edible Oil During its Heating)

  • 이수정;신정혜;서종권;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18
    • /
    • 2009
  •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된 와송의 열수추출물을 대두유 및 돈지에 0.1, 0.5 및 1.0 g/100 mL의 농도로 첨가하고 $180^{\circ}C$에서 가열하는 동안 유지의 산화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유지의 색도는 가열시간이 경과될수록 증가되었으며, HWE 첨가구에서 색도가 다소 높았다. 아니시딘가는 가열시간이 경과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48시간 가열 후 0.5 및 1.0 g/100 mL의 HWE 첨가구, 1.0 g/100 mL의 FWE 첨가구를 제외하면 모든 실험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돈지에서는 시료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든 실험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산가는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두유에서 시료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며, 가열 48시간 이후 HWE 첨가구가 FWE 첨가구에 비해 다소 낮았다. 과산화물가도 HWE 첨가구가 FWE 첨가구보다 낮았다. TBA가는 대두유에서 가열 24시간 이후에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돈지에서는 가열전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았다. 따라서 와송 열풍건조시료는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하며, 돈지의 가열시 산화안정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정어리유 섭취시 몇가지 산화방지제의 첨가가 혈장과 간의 Tocopherol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Antioxidants Added to Sardine Oil on Tocopherols Contents in Plasma and Liver of Rats)

  • 최임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1호
    • /
    • pp.44-51
    • /
    • 1990
  • 흰쥐의 비타민 E의 최소필요량인 30IU/kg diet를 공급하는 기본식이에 산화방지제로 800mg의 $\alpha$-tocopherol, 1000mg의 $\zeta$-tocopherol 및 rosemary extract를 첨가한 정어리유를 실험동물에 섭취시켜 혈장과 간에서의 tocopherol과 지질과산물(LPO)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돈지군에 비하여 정어리유 섭취군에서 평균 체중증가량의 변화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중에 대한 간의 무게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정어리 섭취유에 따라 혈장과 간에서 $\alpha$-tocopherol의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몇가지 산화방지제 첨가에 따라 tocopherol의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킬수는 있었지만 대조군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므로 효율적으로 조직의 LPO수준을 낮출 수 없었다. 따라서 정어리유 섭취시 조직내에서의 비타민 E의 감소를 방지하고 LPO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적절한 산화방지제의 첨가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화형 Sausage의 품질특성에 식물성유와 동물성유 CLA 첨가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A-vegetable Oils and CLA-lard Additiv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 이정일;이진희;곽석준;하영주;정재두;이진우;이제룡;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83-296
    • /
    • 2003
  • CLA-식물성유와 CLA-동물성유가 대체가 유화형 sausage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3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CLA- CO는 돼지 등지방 함량 중 30%를 CLA-corn oil로 대체시켰으며, CLA-SSO는 30% CLA- safflower seed oil, CLA-LD는 30% CLA-lard을 각각 대체하여 유화형 sausage를 제조한 후 1, 7, 14, 21 그리고 28일 동안 4$^{\circ}C$의 냉장고에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 조직감, 지방산패도,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CLA-식물성유와 CLA-동물성유를 첨가한 sausage의 pH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모든 처리구가 저장 14일째에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pH를 보였다(P<0.05). Sausage의 L*과 a* 값은 모든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b* 값의 경우 CLA-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CLA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지방산 조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인 반면에, linolenic acid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 처리구인 CLA-CO와 CLA-SSO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없었다. 조직감에서는 CLA-LD 처리구가 대조구나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응집성, 탄력성, 고무성 및 파쇄성 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화형 sausage의 지방산패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처리구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CLA-CO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 유화형 sausage 제조시 CLA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과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 및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고급 sausage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섭취지방(攝取脂肪)의 종류(種類) 및 그 양(量)이 저단백식(低蛋白食)으로 사육(詞育)하는 백서(白鼠)의 성장(成長) 및 대사(代謝)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urce and Level of Dietary Fats on Growth and Metabolism of Rats fed on Low Protein Diet)

  • 유정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권1호
    • /
    • pp.19-25
    • /
    • 1968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source and level of the commonly used dietary fats on growth and metabolism of rats fed on low protein diet (rice diet) the weaning white rats were fed on various different experimental diets (see tables 1 and 2) during 11 weeks. The observations were made as follows : 1. Growth: (see table 3 and figures 1-9) In all dietary fats, among the 3 levels, 5% fat level is the best. Especially, the perilla oil group was remarkably good. 10% and 20% fat levels impaired the growth, consequently the growth rates of both 10% and 20% fat level groups were worse than those of Basal group (no fat added). However, 10% and 20% fat levels did not impaired the growth of VII group (10% soy flour added) In 5% fat level, the growth was good in sequence of perilla oil, tallow, sesame oil, soy oil and lard. 2. Feed consumption: (see table 3) In 20% fat level, the feed consumption was lowered. Generally, the feed consumption rate was proportional to the growth rate. In feed efficiency, 5% fat level was the best. 3. Liver weight: (see table 4) In liver weight per 100 G body weight, 20% fat level was the largest. This may be due to the poor body growth and liver fat accumulation. 4. Liver nitrogen: (see table 4) Generally, lower fat level groups showed liver nitrogen. Liver nitrogen is low in the groups of 20% fat level. 5. Liver fat: (see table 4) Generally, higher fat level groups showed higher liver fat. 6. Serum cholesterol: (see table 5) Generally, higher fat level groups showed higher serum cholesterol. Lard, sesame oil, and tallow groups showed higher level and soy oil and perilla oil groups showed lower level. Especially, perilla oil group showed remarkably lower level and VII group (10% soy flour added) showed lower level than VI group (same fat but no soy flour added).

  • PDF

Rosemary, Sage, Clove 및 Nutmeg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성분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Effects of Volatile Oil and Oleoresin Extracted from Rosemary, Sage, Clove and Nutmeg)

  • 이영춘;윤종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1-354
    • /
    • 1993
  • 천연 향신료의 항산화력을 탐색하기 위하여 항산화력이 있다고 보고된 rosemary, sage, clove, nutmeg 등 4종의 휘발성 정유성분 및 비휘발성 추출물을 수증기 증류법 및 용매 추출법을 써서 추출하였다. 항산화성은 lard를 기질로 하여 랜시매트법과 POV를 측정하여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Rosemary, sage, clove 및 nutmeg 등 4종의 향신료를 랜시매트법에 의하여 휘발성 정유성분의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농도를 0.01, 0.05, 0.1%로 증가시켰으나, 4종 공히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항산화력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4종 향신료의 비휘발성 정유성분을 랜시매트법에 의하여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농도를 0.01, 0.05, 0.1%로 증가시킴에 따라, 항산화성이 증가하였고, 특히 rosemary, nutmeg가 항산화효과가 컸다. 4종 향신료의 항산화력을 POV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랜시매트법으로 측정한 결과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ard사용 제품류에 상기 4종 향신료의 비휘발성 정유성분을 0.1% 첨가시키면 현저한 항산화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국내산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검색과 용매 분획물의 비교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 임대관;최웅;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3-89
    • /
    • 1996
  • 116종의 생약을 75% 에탄올로 추출한 후 팜유와 돈지를 기질로 하여 Rancimat으로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추출물들이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는데 그중에서도 건강, 강황, 방기, 백작약, 석곡, 소목, 편축, 현호색, 황금 등의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생약 추출물보다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들의 팜유에 대한 항산화력은 소목>강황>건강 순이었고, 돈지에 대해서는 소목>백작약>석곡>건강 순이었으며, 소목 추출물 1,000 ppm 첨가구의 팜유와 돈지에 대한 AI는 각각 2.16, 7.85 였다. 항산화력이 비교적 높았던 생약류의 에탄올 추출물들은 순차분획을 함에 따라서 항산화 효과가 증가되었는데, 팜유에 대한 생약류의 chloroform 및 ethyl acetate 분획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소목>백작약>건강>산수유>석곡 순이었고, 돈지에 대해서는 소목>백작약>석곡>산수유>건강>강황 순이었다. 이들 추출물 중에서 소목 75% 에탄올 ethyl acetate 분획물 600 ppm 첨가구는 팜유의 유도기간을 2배 이상 증가시켰고, 돈지의 유도기간도 7배 이상 연장시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는데,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는 계속 수행중에 있다.

  • PDF

식이섬유와 지방의 종류가 고콜레스테롤식을 섭취한 흰쥐의 혈청과 조직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iber and Fat Sources on Lipid Contents of Serum and Tissues in Rats Fed Cholesterol Diet)

  • Park, Yaung-Ja;Kwon, Kee-Hwa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11-418
    • /
    • 1997
  • 본 연구는 식이섬유의 종류와 식이지방의 종류가 혈청 콜레스테롤과 간, 소장 조직의 지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콜레스테롤을 1% 첨가시킨 율무기름과 라아드식에 식이 섬유인 펙틴, 리그닌, 셀룰로스를 10%씩 첨가시킨 식이를 Sprague-Dawley종 평균 체중 135g인 흰쥐 수컷에게 28일간 자유급여 하였을 때 혈청, 간조직, 소장조직의 총지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준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증체 량은 율무기름식이 라아드식보다 유의적으로 컸으며 (p<0.05), 펙틴군이 리그닌군과 셀룰로스군보다 다소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총식이섭취량은 식이지방의 종류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펙틴군이 다른 식이섬유 첨가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2. 혈청 콜레스테롤은 율무기름식이 라아드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펙틴군이 가장 낮았고 다음이 리그닌, 셀룰로스군의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은 식이섬유 무첨가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p<0.05). 3. 간조직의 무게는 식이지방이나 식이섬유에 의해 영향을 밭지 않았으며 소장조직의 무게는 펙틴군과 셀룰로스군이 리그닌군과 식이섬유 무첨가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식이지방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4. 간의 단위 무게당 총지질과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함량은 펙틴군이 리그닌군과 셀룰로스군이나 식이섬유 무첨가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간의 총지질 함량은 율무기름식이 라아드식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5. 소장 조직의 단위 무게당 총지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함량은 식이섬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총지질과 중성지질 수준은 율무기름식이 라아드식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콜레스테롤 수준은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식이섬유인 펙틴, 리그닌, 셀룰로스 중 펙틴만이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켰으며 아울러 간과 소장조직의 총지질,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준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현저했으며 식이지방인 율무기름이 라아드보다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지방의 종류에 관계없이 식이섬유 무첨가식은 고지혈증을 초래했으며 불포화지방인 율무기름식에서는 셀룰로스 첨가군도 고지혈증을 초래하는 위험식이 임을 밝혔다. 고콜레스테롤식이에서 펙틴 첨가는 혈청 지질 수준의 저하와 함께 간과 소장조직의 지질 수준을 저하시킴으로써 펙틴식이 체내 지질 대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는 앞으로 더욱 자세하고 분명한 연구가 요망된다.

  • PDF

바이오디젤 구성분자와 유도세탄가 상관관계 연구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Biodiesel Components and Derived Cetane Number)

  • 임영관;박소라;김종렬;임의순;정충섭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22-129
    • /
    • 2011
  • Biodiesel produced from triglyceride which is main component of animal fats and vegetable oils by methanolysis was known for remarkable cetane number. In this study, the derived cetane number of 3 kinds of biodiesel came from vegetable oils such as soybean oil, palm oil, and perilla oil and 2 kind of biodiesel which were produced from beef tallow and pork lard were analyzed using IQT (Ignition quality tester). In IQT test result, the derived cetane number of palm- , beef tallow- and pork lard's biodiesel were more excellent than other biodiesels. After analysis of biodiesel composed molecular by gas chromatography-mass and determination of the derived cetane number of pure biodiesel components using IQT, we have found that the low olefin contented and long alkyl chained biodiesel have excellent derived cetane nu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