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at Thematic Mapper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19초

Landsat Thematic Mapper 화상자료를 이용한 월악산 지역 산림식생의 무감독분류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the Mt. Wolak Experimental Forest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 이상희;박재현;이준우;김재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6-44
    • /
    • 200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effectively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 data(June, 1994) in mountainous region. The research area was the Mt. Wolak Experimental Forest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near Chungju and Jecheon city, Chungcheongbuk-do.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effectively,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was used to reduce topographic effects. This NDVI was modified and transformed to the value of 0 to 255, and then the modified values were combined with other Landsat Thematic Mapper bands. To classify forest and land cover types,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binations of band "3, 5, NDVI" in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showed a good separation with high accuracy. The expected classification accuracy was 95.1% in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2. The Land Cov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 coniferous forest, deciduous forest, mixed forest, paddy and grass, non-forest, and other undetectable areas. As these classifi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connaissance survey and aerial black and white infrared photographs, the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was 76.5% in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3. The portion of non-forest in Mt. Wolak area was 1.9%. The percentages of coniferous, deciduous and mixed forests were 30.9%, 35.7% and 26.4%, respectively. 4. As these classifi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 reference data, the percentages of coniferous, deciduous and mixed forests increased, but the portion of non-forest was exceedingly diminished. These differences are thought to be from the different research method and the different season of received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 PDF

방조제 건설에 의한 해수면 온도 변화 추정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Change after Tide Embankment Construction using Landsat Data)

  • 신동훈;이규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4-232
    • /
    • 2006
  • 본 연구는 Landsat Thematic Mapper (TM) 영상의 열적외선 (Thermal Infrared: TIR) 밴드 자료를 이용하여 시화호와 그 주변지역의 해수면 온도 (SST: sea surface temperature)를 검출하고, 시화방조제 공사 후의 토지피복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해수면 온도의 측정은 해양체계 뿐만 아니라 해양과 대기 사이의 열적인 경계범위 연구에 있어 중요하다. 1970년대 이후, AVHRR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과 Landsat TM (Thematic Mapper)과 같은 인공위성 영상의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해수면 온도의 추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AVHRR 영상은 우리나라의 서해안 지역과 같은 매우 복잡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조악한 공간 해상도로 인해 해수표면온도 추출에 한계가 있다. Landsat TM 위성영상은 본 연구지역과 같이 복잡하고 좁은 해안지역의 해수면 온도 추출에 유용하게 사용된다고 판단된다.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이용분류에 관한 연구 (Landuse classifications from Thematic Mapper Images Using a Maximum Likelihood Method)

  • 박희성;박승우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66-369
    • /
    • 1998
  • To get the knowledge of land uses for watersheds, Thematic Mapper image from Landsat 5 satellite was used. The image was classified into land covers/uses by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technique. Land uses from the satellite image in this study was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topographical map in previous. It was found that Land uses from the satellite image had a good reflection of real situations and more advantage in the reduction of time and cost.

  • PDF

비접근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 분석 연구 (Study on the Image Information Analysis for Inaccessible Area)

  • 함영국;김영환;신석철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3-34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및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추출하였다. 시간적으로 차이가 있는 Landsat TM (Thematic Mapper) 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변화 지역을 검출하였다. 변화지역 검출시 각 연도별로 비교사 알고리듬인 ISODATA를 이용하여 영상 분류를 행한 후, 분류 결과를 이용하여 지형이 변화된 지역을 추출함으로써 지형변화 추출 곁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부화소 (sub-pixel) 개념을 도입하여 비접근 지역의 도로망과 경작지역에 대한 피복 분류를 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알고리듬이 비접근 지역에 대한 지형정보 분석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nge of Coastal Ocean According to Kwang Yang Bay Development based on Landsat TM Images

  • Lee, Byung-Gul;Choo, Hyo-Sang;Lee, Gyu-Hyung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4권3호
    • /
    • pp.149-156
    • /
    • 2000
  •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of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the coastal ocean area of Kwangyang Bay located in the South Coastal region of Korea using remote sensing data based on Landsat Thematic Mapper (TM) multispectral digital data from 1988 and 1996. The coastal changes were detected using the digital histogram method and vector trace method. All the images were preprocessed, i.e. geometrically corrected, before the training set selection. when comparing the histograms of 7-band TM data, it was found that the band 5 image exhibited two critical Digital Number(DN) peaks, thereby indicating new coastal water and coastal land data.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coastal ocean area of the band 5 image was calculated using the vector tracing method supported by a CAD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the coastal ocean area decreased by about 5 % between 1988 to 1994. Accordingly, this gives a strong indication that the continuing land development will have a serious impact on the ecosystem of Kwangyang Bay.

  • PDF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서남해 연안 습지의 시공간 변화 분석에 관하여 (An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nge of Southwestern Coastal Wetlands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 이기철;임병선;우창호;조영환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1호
    • /
    • pp.55-66
    • /
    • 1997
  • This study summarizes the use of satellite data to detect the change of southwestern coastal wetlands in Korea. The images used for this study were two Landsat Thematic Mapper(TM) images (June 12, 1984 & June 2, 1992). TM images were used to classify such different types of wetlands as aquatic bed, nonaquatic bed and other land use in the region. Then it, was possible to a) determine the status of wetlands using image classification products, and b) detect the changes of various types of wetlands influenced by both human and nature. The results from spatiotemporal analysis showed that approximately 120 lad of coastal wetlands were lost from the year of 1984 to 1992. 71 % of the lost wetlands were converted to the reclaimed land. This loss of wetlands has been causing the profound environmental impacts. It has been successfully proved that satellite data are very effective for spatiatemporal change analysis, especially for that of coastal wetlands.

  • PDF

CLUE-S 모델과 시계열 Landsat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 예측 (The Expectation of the Land Use and Land Cover Using CLUE-S Model and Landsat Images)

  • 김우선;윤공현;허준;자야쿠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3-41
    • /
    • 2008
  • 특정 기간 사이의 토지의 변화들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토지를 변화 시킬 수 있는 요소들은 많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요인들을 규명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토지 변화 요인들을 정량적으로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CLUE-S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한 자료는 1987년 Landsat TM 영상과 2001년 Landsat ETM+ 영상이며, 1987년부터 2010년까지 23년 동안의 토지 이용도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 결과, 2001년 영상의 감독 분류 결과와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2001년 결과 사이의 정확도는 93.69%가 나왔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미래의 토지 피복 현황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Landsat TM 영상자료를 이용한 평택지역의 토지피복 현황 및 분류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Pyeong-Taeg Area by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 윤성탁;김선오;임상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3-170
    • /
    • 2001
  • 본 연구는 평택 지역에 대한 Landsat TM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평택지역의 토지피복분류도를 만들고 DGPS, 항공사진, 지형도 등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참조자료를 만들어 분류도의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논, 밭 등 12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면적을 산출한 결과 1997년 6월 현재 평택시의 논면적은 16,157$\textrm{km}^2$, 밭면적은 4,949$\textrm{km}^2$로 나타났다. DGPS, 항공사진, 지형도 등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간석지, 논, 물 및 바다 등이 90%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밭, 비닐, 산림, 초지, 촌락 등은 낮게 평가되었다. 전체 정확도는 85.8%로 비교적 양호하게 평가되었으며, 논의 경우 92%의 높은 정확도가 나와 원격탐사 자료의 효용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해양, 수역, 도심지 등의 분류결과는 높게 나타났는데 반해 밭, 비닐하우스, 초지 등은 적은 면적으로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분류 결과가 낮았다.

  • PDF

수치지형고도자료의 영상처리 (Digital image processing for digital elevation model data)

  • 이봉주;조민호;강필종
    • 지질공학
    • /
    • 제2권2호
    • /
    • pp.141-146
    • /
    • 1992
  • 미국 DMA사에서 제공되고 있는 수치지형고도자료를 이용하여 Shaded Relief Umage와 Landsat TM자료의 Stereo-pair image를 작성하였다. 이는 지형지세의 3차원적 표현 및 관찰을 통한 위성자료로 부터 지질구조 판독의 정확도 및 객관성 제고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다시기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소유역의 토지이용변화분석 (A Study on the Land-Use Changes on the Balan Water sheds Using the Multi-temperature Landsat TM Images)

  • 강문성;박승우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473-478
    • /
    • 1999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detect and evaluate the land use and changes on the Balan Watersheds, located southwest of Suwon, using the Thematic Mapper(TM) data. Three sests of TM taken in 1985 , 1993 and 1996 were used and the changes in the land use analyzed and compared. The suupervised and unsuperivised classification methods were adoppted to classify five land-cover categories ; Paddy , upland , forest , residential , and water. Future ladn use patterns were simulated using a Markow chain method, and the change ratios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