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at 5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3초

시계열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한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수온도 분포분석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Around Uljin Nuclear Power Station Using Time Series Landsat Satellite Images)

  • 최승필;육운수;홍성창;송영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1-5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핵발전소의 운영을 위해 사용되는 냉각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발전소 주변의 해수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으로는 비교적 큰 원자력 발전소에 속하는 울진 원자력 발전소의 근해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원자력 발전소 온배수에 대한 환경 문제의 감시는 해안지역이며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이므로 현장 감시에 대하여 어려운 점이 많다. 핵발전소 주변의 온도분석을 위해서 비교적 취득이 용이하고 수면온도 변화탐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Landsat 5위성영상과, Landsat 7 위성영상을 활용하였다. 대상지역의 Landsat 영상에 대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고, 방사휘도 및 온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핵발전소 주변 인근해 지역과 온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동쪽으로 3km 떨어진 동일 면적의 지역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약 $2^{\circ}C$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재난 모니터링을 위한 Landsat 8호 영상의 구름 탐지 및 복원 연구 (Cloud Detection and Restoration of Landsat-8 using STARFM)

  • 이미희;천은지;어양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5_2호
    • /
    • pp.861-871
    • /
    • 2019
  • Landsat 위성영상은 재난 피해 지역에 대해 주기적이며 광역적인 관측이 가능하여 재난 피해분석, 재난 모니터링 등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광학위성영상 특성상 구름으로 인한 결측된 영역으로 인해 주기적인 재난 모니터링에는 한계가 있어 결측된 영역의 복원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호 영상 취득 시 제공되는 QA밴드를 이용하여 구름 및 구름그림자를 탐지 및 제거하고, STARFM 알고리즘을 통해 제거된 영역의 영상 복원을 수행하였다. 복원된 영상은 기존의 영상 복원 방법으로 복원된 영상과 MLC 기법을 통해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STARFM으로 인한 복원방법이 전체정확도 89.40%로, 기존의 영상 복원 방법보다 효율적인 복원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재난분석 수행 시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기보정된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수온도 분석 (The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Using Atmospheric Corrected Landsat Imagery)

  • 김기홍;홍성창;윤준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9-225
    • /
    • 2008
  • 원자력 발전소의 주변 지역은 해안지역이고 비교적 광범위하므로, 환경 변화를 감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Landsat ETM+영상은 해상도가 30m 급이나 온도정보 추출에 있어 대기보정을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MODIS 영상의 경우 2개의 적외선 밴드를 이용하여 대기보정된 비교적 적확한 온도를 추출할 수 있으나 해상도가 1km이다. 따라서, 두 위성영상의 자료를 이용한다면 대기보정된 고해상도의 온도자료를 추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Landsat ETM+영상에 대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고, 방사휘도 및 온도를 산정한 후 MODIS영상을 이용하여 대기보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연근해 지역과 온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동쪽으로 5km 떨어진 동일 면적의 지역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약 $3.5^{\circ}C$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ESTIMATION OF THE AREA AND THE YIELD OF A RICE PADDY BY LANDSAT-5/TM

  • Ishiguro, E.;Hidaka, Y.;Sato, M.;Miyazato, M.;Chen, J.Y.;Ogawa, Y.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383-392
    • /
    • 1993
  • Identification of rice paddy fields and estimation of their areas from the images taken by LANDSAT-5/TM were attempted.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aerial photographs and also by ground observations. Changes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rice plants were measured with a portable spectroradiometer during the growth period. Analyzing these characteristics, an index was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growth and the yield of rice . Applying the index to the data observed by LANDSAT-5.TM on Sep. 26, 1986, Oct .20, 1989 and Sep, 21, 1990,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imated derived from the index agreed with actual values. The results well demonstrated its feasibility for evaluating the yield of rice by a satellite like LANDSAT-5/TM.

  • PDF

LANDSAT-5의 TM과 MSS 데이타의 비교에 관한 연구 -인천지역의 토지이용분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LANDSAT-5 TM and MSS Data -laying stress on the landuse mapping of Incheon area-)

  • 안철호;박병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7-41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5호의 TM과 MSS 데이타를 비교분석함으로서 TM 데이타의 활용방안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하였다. TM과 MSS 데이타의 비교는 인천지역의 토지이용분류 결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아울러 화상강조처리의 방법에 따른 정확도의 비교도 행하였다. 연구결과, 토지이용분류에 있어서 TM 데이타가 MSS보다 약 20%의 정확도 향상을 가져왔으며, TM 화상의 강조처리에서는 평활화처리가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POT 영상을 이용한 Landsat-7의 SLC-off 영상 복원 (Restoration of Landsat ETM+ SLC-off Gaps Using SPOT Image)

  • 김혜진;유기윤;김용일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9-234
    • /
    • 2006
  • On May 31, 2003. Landsat 7 experienced an anomaly causing the Scan Line Corrector(SLC) to stop functioning normally. The SLC-off causes individual scan lines to alternately overlap and then leave large gaps at the edge of the Image. A many scientists with ongoing experience using ETM+ data evaluated the scientific usability and validity of Landsat 7 products containing the SLC anomaly The best reference scene for gap-filling is the other SLC-on Landsat scene that provide same resolution, few changes, and similar data acquisition. But receiving of Landsat imagery is not stable in Korea. So SPOT image can be another alternative solution because it is a steady-state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 as Landsat image. In this study, we filled the SLC-off gap s of 2, 3, 4 bands using SPOT image by a local regression technique, and assigned the optimum spectral value to gaps of 1, 5, 7 bands based on a spectral adjacency.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restore Landsat SLC-off image and evaluated the accuracy of the results.

  • PDF

Landsat 영상과 DTM 자료의 하천유역 해석에의 응용기법 개발 (Applications of Landsat Imagery and Digital Terrain Model Data to River Basin Analyses)

  • 조성익;박경윤;최규홍;최원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7-131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chniques acquiring hydrologic parameters that affect runoff conditions from Landsat imagery. Runoff conditions in a study area were analyzed by employing the U.S. Soil Conservation Service(SCS) Method. SCS runoff curve numbers(CN) were estimated by the computer analysis of Landsat imagery and digiral terrain model(DTM) data. The SCS Method requires land use/cover and soil conditions of the area as input parameters. A land use/cover map of 5 hydrological classes was produced from the Landsat multi-spectral scannerr imagery. Slope-gradient and contour and contour maps were also made using the DTM topographic data. Inundation areas depending on reservoir levels were able to be mapped on the Landsat scene by combining the contour data.

Delineation Of Coastal Features And Relative Turbidity Levels In The Mid West Sea Of Korea Using Landsat Imagery

  • Youn, Oong Koo;Lee, Byung Don;Kwak, Hi-Sang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7
    • /
    • 1976
  • Multispectral scanner data collected by LANDSAT-1 over the mid West Sea of Kore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for delineation of coastal features and turbidity distribution patterns during different portions of the tidal cycle. Imagery from two successful LANDSAT-1 overpasses of the area in October 1972 and in October 1973 had been used to prepare schematic maps of coastal features and turbidity distributions. Color composite imagery of LANDSAT MSS 4, 5 and 7 gave the best representation of shorelines, coastlines and tidal flats. MSS 5 imagery was most effective in differentiating relative turbidity levels through density slicing techniques. Referring to the tidal power development of Garolim Bay, the basin area measurements assuming dyke construction at the bay entrance,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coastal reature maps comiled from LANDSAT imagery, and thos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existing data. General areal patterns of surface turbidity distribution in the study area revealed close similarity with bathymetry of the area. Synoptic circulation patterns were also well discriminated from the LANDSAT imagery using the suspended sediment as a tracer.

  • PDF

Landsat TM을 이용한 표층수온 분석 오차 (The Analysis Errors of Surface Water Temperature Using Landsat TM)

  • 정종철;유신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1999
  • 위성자료를 이용한 표층수온 분포에 관한 연구는 AVHRR을 이용하여 해양이나 내륙의 거대 호수에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AVHRR은 공간적인 해상력이 낮아 (1.1 Km) 연안해역이나 시화호에 AVHRR을 적용하여 표층수온을 분석하기는 어렵다. 반면에 Landsat TM은 6번 밴드 (10.4-12.5 $\mu\textrm{m}$)를 이용하여 표층수온을 추출할 수 있으며, 120m 의 공간해상력을 가지고 있어서 시화호와 인근 해역의 표층수온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TM의 공간해상력이 가지는 장점을 이용하여 연안해역과 시화호의 표층수온을 분석하였다. 또한, 표층수온을 파악하기 위해 영상에서 얻은 신호에 경험적 방법, NASA, RESTEC, Quadratic 방법을 적용하여 휘도온도(Brightness Temperature: $^{\circ}C$)를 구하고 이들을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각각의 방법을 적용하여 얻은 계산치는 실측치 보다 1-5$^{\circ}C$ 낮게 나타났으며, NASA방법은 $R^2$=0.9343, RMSE=3.5876$^{\circ}C$, RESTEC방법은 $R^2$=0.8937, RMSE=3.76$^{\circ}C$, Quadratic 방법은 $R^2$=0.8967, RMSE=2.949$^{\circ}C$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Landsat TM은 단일밴드에 의해 표층수온을 추출하므로 대기중의 수증기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TM 자료에 의한 표층수온 분포는 실측치보다 낮게 추정될 수 있다. 하지만, 연안해역과 시화호의 표층수온 분석에 있어서 공간해상력이 가지는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기중의 수증기와 에어로졸에 의한 대기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Landsat 8/9 및 Sentinel-2 A/B를 이용한 울진 산불 피해 탐지: 다양한 지수를 기반으로 다시기 분석 (Forest Burned Area Detection Using Landsat 8/9 and Sentinel-2 A/B Imagery with Various Indices: A Case Study of Uljin)

  • 김병철;이경일;박선영;임정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765-77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9 OLI와 Sentinel-2 MSI 위성 영상을 활용한 다시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광 지수를 기반으로 국내 산불 피해 면적 탐지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2022년 3월 경상북도 울진에서 발생하였던 산불을 대상으로 Difference Normalized Burn Ratio (dNBR), Relative Difference Normalized Burn Ratio (RdNBR), Burned Area Index (BAI) 등의 지수를 활용하여 산불피해 면적 탐지에 활용하였다. 비교적 높은 공간 해상도를 가진 Sentinel-2 영상을 기반으로 참조 자료를 제작하였다. 총 6개의 지수 산출물을 기반으로 Sentinel-2, Landsat 8/9으로 총 4개 위성에 대해 산불 피해 정확도를 각각 분석하였다. Landsat 8/9과 Sentinel-2는 각각 16일, 10일 주기로 영상을 제공하고 있지만 구름으로 인해 영상 취득에 어려움이 많은 편이며, 우리나라는 4월부터 식생의 생장이 시작되어 봄철 산불 피해 분석 시 산불발생 전후 영상을 활용하는 경우 식생의 생장으로 인한 변화가 커서 정확도 높은 탐지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월에서 5월까지의 다시기 Landsat 8/9과 Sentinel-2 영상 중 같은 날짜를 기반의 영상을 서로 사용하여 시간해상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탐지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수를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형 산불피해 탐지 지수/모델 개발을 위한 입력 자료 등으로 활용되어 최적화된 산불 지수를 기반으로 정확도 높은 산불 피해 면적 탐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