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Leachate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31초

불량 매립지 오염평가를 위한 지구물리 탐사 사례연구 (Environmental Geophysical Survey of Abandoned Landfills for Contamination Evaluation: A Case Study)

  • 이성순;이진용;윤희성;이강근;김창균;유영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63-47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천안시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불량매립지 일대에 대해 지구물리 탐사 중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과 3차원 비저항 역산 모델링을 수행하여 매립지 주변 지질구조와 침출수 오염영역, 침출수 유동을 평가하였다. 천안 직산매립지는 매립지가 논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립지로부터 침출수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어 물리탐사 측선 배열을 매립지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하는 측선배열을 수행하였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 매립지와 주변 논밭의 경계가 매립지 옹벽으로 나뉘며, 매립지 경계로부터 침출수 침전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나 현재는 방치된 상태로 침출수 누출로 인한 농지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이에 총 4개 측선에 대해 3개 측선은 매립지 경계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을 하였으며, 나머지 한 개 측선은 이 3개 측선을 교차하도록 배열하였다. 2차원 비저항 역산모델을 수행한 결과 천안매립지의 경우 침출수가 외부 논으로 확대되지 않고 매립지 내부에 정체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지하수 관측정 정기 수질분석시 측정된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값의 분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원주 매립지의 경우는 매립지로부터 유래된 침출수가 매립지 경계 부근 폐기된 침출수 처리시설 밑으로 흐르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매립지 주변 기존 저수지였던 곳에서는 매립지 주변에 위치한 계곡의 영향으로 계곡에서 흘러드는 지하수에 의한 흐름과 과거 저수지의 영향으로 지표 근처에서 낮은 비저항대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 제방에서는 하부 $7{\sim}8m$ 심도에서 지하수가 논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하의 반응온도 기준으로 약 $10{\sim}80%$ 이상이었다. 따라서, CVOCs 제거반응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일 $CrO_x/Al_2O_3$ 촉매보다는 $CrO_x$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우수한 반응활성을 얻을 수 있는 $CrO_x/TiO_2$-based복합 산화물 촉매가 보다 바람직하며 하나의 대안적인 촉매 디자인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EX>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다.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델은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미량 오염 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매립장 침출수의 생물학적 난분해성물질 특성 규명 (Characteristics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in Landfill Leachate)

  • 임봉수;박혜숙;김흥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84-489
    • /
    • 2005
  • In order to determine the removal rate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and the change of their structural proper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an ozone-treatment experiment on leachate collected from the landfill area of D City in Chung chung nam-do and examined the change of the chemical properties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The main elements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in landfill leachate were benzene, toluene, trichloroethane, trichloroethylene, xylene, etc. and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was 15.7 mg/L on the average, benzene 7.2 mg/L, trichloroethane 1.1 mg/L, trichloroethylene 0.75 mg/L and xylene 0.5 mg/L. When leachate was treated with ozone for 10 min, 30 min and 60 min, UV absorbance was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reaction time, and the reduction rate was 38.6% at 60 min. TOC was removed by 13.2% at 60 min. The low reduction rate of TOC may be because TOC reacts indirectly with OH radical produced from reaction with ozone while UV absorbance usually relies on direct reaction between organic matters and ozone molecules. Color was removed by up to 97%, which suggests that ozonation is highly effective in removing coloring elements in leachate. Sixteen kinds of non-biodegradable compounds were found in the leachate and most of them had the characteristic of aromatic hydrocarbon. Among them dibutyl phthalate was identical with a substance included in the list of US EPA, which is classified as a mutagen that may cause the mutation of genes and disorders in chromosomes. In addition, 2,5-Cyclohexadiene-1,4-dione, 1,2-Benzenedicarboxylic acid and butyl octyl ester were found to be similar to substances listed by USEPA.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structural changes before and after ozonation using GC-MS, cyclic compounds and aromatic compounds were observed in the original water and aliphatic compounds were newly observed after ozonation. In addition, through ozonation, humic substances of high molecular weight were oxidized and decomposed and produced low-molecular compounds such as aldehyde, ketone and carboxyl acid and highly biodegradable aliphatic carbon, which suggests the bio-degradability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매립지반의 화학적 불균질성이 침출수 이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Chemical Heterogeneities in Landfill Subsurface Formations on the Transport of Leachate)

  • 이근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5호
    • /
    • pp.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매립장에서 하부 지반으로 누출된 침출수의 이동에 흡착 불균질성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차수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매립장을 대상으로 일련의 Monte-Carlo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균질한 지층에서 강불균질 지층에 이르는 다양한 불균질도를 가진 랜덤 분배계수 장에 대하여 포화 유동 모델과 오염물 이동 모델을 연결시켜 침출수의 이동을 계산하였다. 100회에 걸쳐 수행된 Monte-Carlo 시뮬레이션의 결과치로부터 얻은 평균, 표준편차, 변이계수와 같은 점기반 통계치들을 이용하여 화학적 불균질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통계치 결과에 따르면 매립지반의 분배계수 분포가 지반 내 침출수 농도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균질 흡착의 경우와 비교할 때 불균질 분배계수 장에서는 실현 간 침출수 농도 분포의 변동성이 나타났다. 분배계수 장의 분산 및 오염원과 감시정 간의 이동 시간이 커질수록 농도의 변동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화학적 변동성이 큰 지반 내에서의 침출수 이동을 예측할 때 단일 분배계수 값을 사용하면 상당한 오차를 유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전기분해법에서의 전극변화에 따른 위생매립장 침출수의 처리특성 (Characteristics of treatment by Electrolysis with a change of electrodes in sanitary landfill leachate)

  • 허목;김병현;김광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1호
    • /
    • pp.68-74
    • /
    • 2002
  • 본 연구는 매립지로의 재순환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전처리된 생활폐기물 위생매립장의 침출수를 대상으로 잔류된 생물학적 난분해성 부식질(humus)과 잔류 색깔(color)의 제거를 위해 전기분해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립층을 통과한 침출수의 전기분해에서 CODcr과 Color의 제거율은 70~80%범위였고, Color의 제거에서 전기분해만으로도 배출기준을 충족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2) pH7~8범위에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3) 양극(+)으로 Al, Fe, Stainless를 사용했을 때 CODcr과 Color의 제거율은 Fe, Al, Stainless순으로 높았고, 반응물의 침전성 또는 전기적인 응집 후의 제거효율을 고려하면 Fe전극이 가장 높았다. 4) 본 연구에서 CODcr과 Color의 동시 제거를 위한 조건은 양극(+)은 Fe, 전극간격은 2cm 그리고 8volt의 전압에서 40분간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Structures in a Two-Stage Moving-Bed Biofilm Reactor (MBBR) During Nitrification of the Landfill Leachate

  • Ciesielski, Slawomir;Kulikowska, Dorota;Kaczowka, Ewelina;Kowal, Przemyslaw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7호
    • /
    • pp.1140-1151
    • /
    • 2010
  • Differences in DNA banding patterns, obtained by ribosomal intergenic spacer analysis (RISA), and nitrification were followed in a moving-bed biofilm reactor (MBBR) receiving municipal landfill leachate. Complete nitrification (>99%) to nitrate was obtained in the two-stage MBBR system with an ammonium load of 1.09 g N-$NH_4/m^2{\cdot}d$. Increasing the ammonium load to 2.03 g N-$NH_4/m^2{\cdot}d$or more caused a decline in process efficiency to 70-86%. Moreover, at the highest ammonium load (3.76 g N-$NH_4/m^2{\cdot}d$), nitrite was the predominant product of nitrification. Community succession was evident in both compartments in response to changes in ammonium loa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supported by similarity analysis (ANOSIM) showed that microbial biofilm communities differed between compartments. The microbial biofilm was composed mainly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AOB), with Nitrosomonas europeae and N. eutropha being most abund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ammonium concentrations suit particular AOB strains.

부산 석대 폐기물 매립지 및 그 주변의 지하수 수리시스템 분석 (Groundwater Hydrological System in the Seokdae Waste Landfill, Pusan)

  • 김윤영;이강근;정상용;권해우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91-198
    • /
    • 1997
  • 석대동 매립장은 부산광역시에서 1987년부터 93년까지 발생한 생활폐기물을 매립한 곳으로 산간매립에 속한다. 매립장 표면의 토양특성과 식생 분포를 근거로 12구역으로 나누고 디스크-장력 침투계 (Disc Tension Infiltrometer)로 불포화대 수리 특성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매립장 상부의 복토된 토양은 2.2$\times$$10^{-4}$~8.1$\times$$10^{-3}$ cm/sec 범위의 포화수리전도도를 갖는다. 이 값을 근거로 순침투율을 추론하면 939 ㎥/day이다. 주변에서 유입되는 지하수가 없거나 폐기물에서 수분 발생이 없다고 가정할 때 순침투율을 근거로 일침출수 발생율을 추정할 수 있다. 유사적 수문현상에 관한 모델들을 이용하여 침출수 수위상승과 산간매립장 옆 사면과 매립장 하부를 통한 침출수 누출율을 분석하였다.

  • PDF

매립지에서 반응성 투수벽체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ermeable Preactive Barriers in Landfill)

  • 천병식;박재우;도종남;박중섭;박찬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26-1131
    • /
    • 2006
  • This study is part of the project that develops the permeable preactive barrier to be applied in a landfill. The geotechnical applicability of the permeable preactive barrier that filters the leachate from the landfill was evaluated. Dry specimens were made using a mixture of sand, loess and bentonite. A series of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permeability of various mixing ratio of bentonite, loess, and sand. The laboratory test indicate that the optimum-mixing ratio that satisfied the regulation of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490kPa) and coefficient of permeability$(10^{-3}\sim10^{-4}cm/s)$ of the landfill was when the ratio of sand and loess was 8:2 with bentonite content of 2%. The permeable preactive barrier is different from an impermeable barrier in that it permits a limited diffusion of the leachate, which will be directly purified biologically and chemically in the landfill.

  • PDF

고화처리물(固化處理物)의 매립(埋立)에 따른 장기용출특성(長期溶出特性) (Long Term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Solidified Landfill Sludge)

  • 권기홍;정동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51-58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by the landfill of solidified sludge. pH of leachate was 3.7 - 5.8 and 8.0 - 10.4 in each column using sand as a top-soil layer on filled municipal waste and solidified cake. $NH_3$-N in leachate was increasing in the each column using sand as a top-soil layer on filled dewatered sludge and solidified cake, but decreasing in the each column using sand and solidified cake by top-soil layer on filled municipal waste. Also the concentration of $NO_3$-N was on the way of stabilizing but was difficult to find any tendency until now. Zn and Mn in leachates were the highest in the column filled with the solidified sludge, Cr, Pb and Cd were low concentration at each column.

  • PDF

울산광역시 삼산동 매립장 침출수 처리를 위한 AquaMats®상에서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bes from AquaMats® for the Treatment of Leachate Originated with the Samsan Dong Landfill in Ulsan Metropolitan City)

  • 이준우;김좌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2호
    • /
    • pp.1185-1191
    • /
    • 2006
  • The high surface area polymer, AquaMats$^{circledR}$ was used for the leachate purification process originated from the Samsan Dong Landfill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then, three species of dominant microb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AquaMats$^{circledR}$. Gram staining revealed these microbes to be Gram-negative rod strains: They were identified as Agrobacterium radiobacter, Pseudomonas cepacia, Flavobacterium indologenes. All they showed no growth on media in which the leachate was added alone, but a rapid proliferation rate on media with yeast extract as nutrient requirements.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eachate in Landfill Site)

  • 나규환;이장훈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7권3_4호
    • /
    • pp.81-84
    • /
    • 1992
  • Physical compositions of solid waste in Wonju, shopping area were investigated with combustibles 78.13% (papers 35.89%, foods 14.41% etc.) incombustibles 21.87% (glass and ceramics 11.02%, metals 6.0% etc.) in 1991, solid waste in apartment area were investigated with combustibles 84.27% (foods 34.29%, papers 22.58% etc.), incombustibles 15.73% (glass and ceramics 8.77%, metals 4.85% etc.) and residence area were characterised with combustibles 70.37% (foods 33.55% , papers 10.53% etc.) and incombustibles 29.63% (ash of briquet 17.29%, glass and ceramics 7.49% etc.). Water qualities of a leachate from municipal landfill of Wonju city were analysed pH 8.0~8.4, total suspended solid 102~140 mg/1, CN ̄ 0.003~ 0.008 mg/1, NO$_2$-N 0.108~0.294 mg/1 and phenols 0.46~1.12 mg/1. Volume of the leachate for 20% methemoglobin formation were 0.2~0.4 mg/ml in Octever, 0.3~0.4 ml/ml in December sampling, 0.2~0.3 ml/ml in St.1 and 0.4 ml/ml in St.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