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effect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7초

강우시 시화호 농촌 및 공단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Runoff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in Lake Sihwa Watershed)

  • 김세원;최광순;김동섭;이미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8-777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was examined on distinct types of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 in Lake Sihwa 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 the peak concentrations of SS, $COD_{Mn}$, and TP were observed after 6~11 hours of rainfall in agricultural areas. Whereas, the peak concentrations occurred within the first one hour after rainfall and the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PS pollutants sharply decreased, showing strong first flush effect in industrial areas. The strong first flush effect of suspended solid was apparent in agricultural areas, while those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were clear in industrial areas. The cumulative load curves for NPS pollutants showed above the $45^{\circ}$ straight line, indicating that first flush effect occurred in industrial areas. The mean SS EMC values of agricultural areas ranged from 60~598 mg/L (Avg. 285 mg/L), it was higher value when compare to other areas. While the mean $COD_{Mn}$, TN, and TP EMCs values of industrial areas were shown the highest values as 67.7 mg/L, 12.1 mg/L and 2.1 mg/L respectively.

환경요인에 따른 청평호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우점종의 천이 특성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Dominant Species Succession in Lake Cheongpyeong)

  • 윤석제;김헌년;임종권;김용진;백준수;이수웅;이은정;유순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13-925
    • /
    • 2017
  • Phytoplankton populations were examined at three sites in Lake Cheongpyeong, South Korea from March 2008 to December 2016, including measurement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their dominant species, abunda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annual average ranges of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and conductivity were $15.2-18.8^{\circ}C$, 10.3-12.2 mg/L, $86-140{\mu}S/cm$, respectively, with similar values at all studied sites. The highest phytoplankton cell density was observed in spring and fall, and it subsequently decreased rapidly during heavy rainfall. Diatoms were dominant in spring (mainly Stephanodiscus hantzschii, Asterionella formosa) and fall (mainly Aulacoseira granulata), while greenalgae and cyanobacteria had high appearance in early-summer and summer,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water temperatur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ir growth. Stephanodiscus hantzschii and Asterionella formosa frequently occurred at low water temperature ($4.5-15.0^{\circ}C$ and $5.4-21.6^{\circ}C$, respectively) while Aulacoseira granulata and Anabaena spp. were favored by high water temperature (8.6-28.4 and $14.9-26.2^{\circ}C$, respectively) and phosphorus. Additionally, Fragilaria crotonensis occurred at low nutrient conditions. Rhodomonas spp. frequently appeared year-round.

충남대학교 대덕캠퍼스내 상수도 물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Hydrogeochemistry of Supply Water in the Daedeok Campu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 이찬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3호
    • /
    • pp.181-193
    • /
    • 2000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drinking water quality based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upply water in the Daedeok Campus, and to verify the analytical reliabilities of ICP-MS and IC equipped in the Central Research Facilities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Korea. The supply water belongs to $Ca^{2+}-({HCO_3}^-+{SO_4}^{2-})$type, whereas the original water from the Daecheong lake belongs to $(Ca^{2+}-(Mg^{2+})-{HCO_3}^-$ type. Generally, temperature (14.1$^{\circ}C$), pH (6.95), Eh (0 mV), electrical conductivity (117${\mu}$S/cm) and TDS (86.975mg/l) of supply water were higher than those of original lake water . Results using WATEQ4F revealed that potentially toxic ions of the supply water might exist mainly as free metals ($M^{2+}$) and a small amount as ${CO_3}^{2-}$ and $OH^-$ complexes. Also, the water composition belongs to the kaolinite field. Calculated average enrichment indies of the supply water normalized to lake water for anions, mamor cations, toxic cations and total ions are 1.05 , 1.56, 13.05 and 1.17 , respectively. Those values of the ground water in the Daedeok Campus showed 1.71, 4.78, 5.71 and 2.49 , respectively. However , contents of all constituents of these water are within the drinking water standard. All samples were filtered before the chemical analysis. Pale yellow or yellowish brown colored materials of colloidal particles coated the filter paper to thickness of 0.02 to 0.2mm. these are mainly Fe-Cy-Zn compounds with traces of Ni and Pb, the net weights of which compounds range from 0.01to 3.20mg/l. Most elements did not show any conceivable filtering effect of Cu, Fe and Zn. Especially, mean concentration of total Fe decreased considerably from 168.52${\mu}g$/lto 42.58${\mu}g$/l by filtering .

  • PDF

하천·호소의 유기물 지표 평가 (Index of Organic Matter in Stream and Lake)

  • 유순주;황종연;윤영삼;천세억;한의정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81-92
    • /
    • 1999
  • This study discussed the appropriateness of organic matter indexes such as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and chemical oxygen demand with potassium permanganate($COD_{Mn}$) in water quality environmental standard of streams and lake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items to water quality environmental standard to add or substitute COD with potassium dichromate ($COD_{Cr}$) and total organic carbon(TOC) being used as index of organic matter. And indexes of organic matter content and organic carbon concentration were distinguished between dissolved and particulate component in water sample to estimate their effect on pollutants loading in lake and stream. The ratio of $COD_{Cr}$/BOD was 5.1 under BOD concentration 3mg/L in river water quality environmental standard II, and 2.67 above it. This ratio was diminished to 2.04 when BOD concentration was more than 8mg/L, in river quality environmental standard IV. Also the ratio of $COD_{Mn}$/BOD showed 2.16 under 3mg/L(BOD), and 1.1 above it. This ratio is also diminished to 0.84 over 8mg/L(BOD). Accordingly, we should apply this ratio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level to add and change organic matter index of water quality environmental standard newly. The ratio $COD_{Cr}/COD_{Mn}$ both in lake and stream shows 2.37(r=0.986, p<0.001). But the ratios showed range of 2.34~2.50, which is no much difference of this ratio according to $COD_{Mn}$ concentration.

  • PDF

경천호에서의 수중 음향 통신 채널 환경 분석 (Analysis of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channel environment in Kyungcheon Lake)

  • 김용철;안종민;이호준;이상국;정재학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
    • /
    • 2019
  • 본 논문은 호수에서의 원활한 수중음향통신을 위해 호수의 수중 채널 환경에 따른 통신 변수들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호수 환경에서의 두 번의 실험을 통하여 상관 시간과 상관 대역폭을 산출하였다. 두 번의 실험에서 채널 추정과 비트오류율 산출을 위해 chirp 신호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신호를 전송하였고, 각각의 실험은 송신단과 수신단과의 거리가 300 m에서 400 m일 때와 500 m에서 600 m일 때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과 두 번째 실험에서 각각 산출한 상관 시간은 175 msec와 340 msec이고, 상관 대역폭은 10 Hz와 5.71 Hz이다. 동기 신호의 길이와 프레임 내 파일럿 신호의 간격이 상관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만 동기화와 비트오류율 성능이 더 우수하여 산출한 실험 결과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시화호 외측 해역 주상 퇴적물 내 미량금속 수직분포 특성 및 오염도 평가 (Vertical Profiles and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ediment Cores From Outer Sea of Lake Shihwa, Korea)

  • 나공태;김종근;김은수;김경태;이정무;김의열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1-8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 외측 해역 주상 퇴적물 내 미량금속의 수직분포 특성과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LNG 기지 인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미량금속 농도를 보였으며, 퇴적물 주상퇴적물 내 미량금속의 평균농도는 Cr 58.8 mg/kg, Co 10.3 mg/kg, Ni 22.8 mg/kg, Cu 18.1 mg/kg, Zn 74.0 mg/kg, As 6.75 mg/kg, Cd 0.14 mg/kg, Pb 27.4 mg/kg, Hg 0.026 mg/kg 이었다. 시화호 외측 퇴적물 내 Cu, Zn, As, Cd의 평균 농축계수는 1.5를 초과하여 인위적인 오염이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농집지수를 이용한 결과, 대부분의 미량금속 원소가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LNG 기지 인근인 정점 C, D, E에서 Cu 및 Hg의 농집지수가 1을 초과하고 있어 약간 오염된 결과를 보였다. LNG 기지 인근지역에서 일부 미량금속이 약간 오염된 결과를 보였으나, 측정된 모든 미량금속이 입도 보정이 가능한 Al과 매우 양호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어 시화호 외측 퇴적물 내에서 미량금속 농도는 오염원의 영향보다는 퇴적물의 입도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퇴적물 기준인 주의기준과 관리기준과의 비교를 통하여 시화호 외측에서의 퇴적물 내 미량금속 농도는 대부분 저서생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안전한 농도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Cr과 Cu는 외국의 주의기준(TEL) 기준을 초과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포연안지역의 안개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og in the Coastal Area of Mokpo)

  • 김도용;이상득;김지영;우종택;오재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7호
    • /
    • pp.623-634
    • /
    • 2006
  •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fog at Mokpo as the west coastal area of Jeonnam were investigat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of observed fog and meteorological data. Higher frequency of the fog occurrence at Mokpo was showed in spring(32%) and summer(34%) due to the seasonal high atmospheric pressur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radiation cooling, advection of fog and water vapor from surrounding sea and Yeongsan lake, and frontal fog had major effect on the coastal fog at Mokpo on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of north-west/south wind and calm($0{\sim}2m/s$). Also, as the results of analyzing data of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Yeongsan dam, the frequency of annual mean fog days increased 41 %, specially increased 178% in autumn. The increase of fog days mainly resulted from evaporation during colder seasons and from temperature inversion during warmer seasons over the water surface of Yeongsan lake. The construction of Yeongsan dam had a little effect on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concerning fog occurrence, because Yeongsan dam which only supplies the water for use do not always carry out outlet of the cold water. In addition, the sea fog at Heuksando located in offshore had not effect on the occurrence of fog at Mokpo.

안료폐수의 탈색연구 (Color Removal of the Wastewater containing the Pigml:mts using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ies)

  • 이병규;조성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29-439
    • /
    • 2000
  • Lake Red C(바롬) 계열 및 Lithol Rubine(칼슘) 계열의 안료나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 안료폐수에 대하여 여러 가지 폐수처리 및 탈색기법을 적용하였다. 우선, 오존처리법에서는 전체적으로 오존주입량 증가에 따른 폐수의 $COD_{Mn}$ 감소는 다소 있었지만 일부의 Lithol Rubine 계열을 제외하고는 탈색효과는 아주 미미하였다. Fenton 산화법 및 전기분해법의 적용에 있어서는 폐수시료 모두 좋은 $COD_{Mn}$ 감소효과가 있었고 일부의 Lithol Rubine 계열 안료폐수의 색깔제거 효과도 관찰되었다. UF와 RO를 이용한 막분리법의 적용에서는, UF 자체만 적용한 여기에 경우에도 상당한 $COD_{Mn}$ 제거효과가 있었고, 약간의 색깔 제거효과가 있었다. UF 적용후 여기에 RO를 적용하였더니 방류수 기준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아주 우수한 $COD_{Mn}$ 제거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색깔제거 측면에서도 거의 100%의 색도제거가 확인되었고, 처리수의 pH도 중성에 가까워서 이를 재활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부남호·천수만의 갈수기와 강우기 수질 오염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공간 분포 특성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during dry and rainy seasons in Bunam Lake and Cheonsu Bay, Korea)

  • 이민지;서진영;백승호
    • 환경생물
    • /
    • 제39권2호
    • /
    • pp.184-194
    • /
    • 2021
  • 부남호는 하굿둑 건설 이후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어 농업용수로 사용이 불가할 만큼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따라서 해수 교환이나 유통의 필요성이 있으나, 극히 오염된 부남호의 물을 대량 방류할 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시기에 따른 환경 조사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수기(4월)와 강우기(7월)에 천수만과 부남호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갈수기에는 부유 생물이 정체되어 부남호 내에서 남조류 Oscillatoria spp. 세포수가 8.92×107 cells L-1로 대증식하였고, Nitrate+Nitrite을 제외한 영양염 대부분이 소비되었다. 강우기에는 담수 유입의 영향으로 부남호에서 용존 영양염이 크게 증가하였고 부남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이 대증식하였다. 강우기 방류의 영향으로 천수만 내측 역시 높은 농도의 생물량을 보였다. 강우기 부남호에서 우점했던 남조류 Oscillatoria spp.와 Microcystis spp.가 천수만 내측에서도 다수 출현하였으며, 해수에서는 Cheatoceros spp., Eucampia zodiacus와 같은 규조류가 빠르게 증식하였다. 부영양화 지수는 부남호 내측에서 1을 초과하여 부영양 해역으로 평가되었다. 천수만은 강우기에 담수 방류의 영향을 받을 경우 부영양화 해역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부남호 내 방조제에 인접한 B3 정점의 8 m 이상 수심에서 정체된 해수 기원의 강한 빈산소 수괴가 관찰되었고, Nitrate+Nitrite를 제외한 영양염 농도가 극단적으로 높았다. 특히 COD 농도가 206 mg L-1로 심하게 오염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부남호는 지속적으로 육상기원의 영양염이 누적되며,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과 침강으로 수질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수역으로 판단되었고,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수유통을 통한 생태계 복원이 필수적이다.

신경망모형을 이용한 새만금호 수온 예측 (The Prediction of Water Temperature at Saemangeum Lake by Neural Network)

  • 오남선;정신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56-62
    • /
    • 2015
  •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수면과 기온이 상승하고, 이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수온이 증가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가 하천의 수질과 생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수온에 대해 이해하고 수온의 변화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온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온과 수온자료를 입력자료로 하여 수온의 예측을 실시하였다. 2012년에서 2014년까지 환경부의 수질환경관측소에서 관측한 새만금호내의 신시, 가력, 만경, 동진 4개 지점의 수온자료와 기상청에서 같은 기간에 관측한 부안의 자동관측 기온 자료를 활용하였다. 신경망이론을 이용하여 최고 및 최저 수온을 예측한 결과 4개 지점의 모든 결과에서 아주 높은 상관계수를 가지고 있다.